"섬용지:일상생활에 필요한 도구:가리거나 막는 여러 도구:병풍"의 두 판 사이의 차이

pungseok
이동: 둘러보기, 검색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내용==
 
==내용==
 
1) 병풍[屛]<ref>병풍:바람을 막거나 가리기 위해, 또는 장식용으로 방 안에 치는 물건. 직사각형으로 짠 나무틀에 종이를 바르고 그림이나 글씨를 붙이기도 하고 직물 그 자체만으로 꾸며, 접었다 폈다 할 수 있게 만든다.
 
1) 병풍[屛]<ref>병풍:바람을 막거나 가리기 위해, 또는 장식용으로 방 안에 치는 물건. 직사각형으로 짠 나무틀에 종이를 바르고 그림이나 글씨를 붙이기도 하고 직물 그 자체만으로 꾸며, 접었다 폈다 할 수 있게 만든다.
<br> 그림 삽일 예정 : 조선 책가도(冊架圖) 8폭 병풍(국립민속박물관) 접은 병풍(국립민속박물관)</ref> <br>
+
<br> 그림 삽입 예정 : 조선 책가도(冊架圖) 8폭 병풍(국립민속박물관) 접은 병풍(국립민속박물관)</ref> <br>
 
우리나라 병풍 제도는 처음에 일본에서 들어왔는데, 지금은 팔도에 두루 퍼졌다. 화려하게 만드는 사람들은 문양 없이 견(絹) 그대로를 바탕으로 하고 능(綾)이나 단(緞)으로 가선 마감[贉]<ref>가선 마감[贉]:병풍이나 방장 등 기물의 가장자리를 깨끗하게 정리하기 위해 비단을 덧대서 마무리하는 것.</ref>하며 옛사람의 시문(詩文)을 쓰거나 산수(山水), 새나 짐승, 꽃과 나무, 누각 같은 종류를 그리기도 한다. 나이 드신 부모나 어른을 모시면 대부분 서왕모(西王母)<ref>서왕모(西王母):선녀들을 지배하는 전설상의 여제(女帝)이다. 곤륜산(崑崙山) 꼭대기에 있다는 서왕모의 궁전은 천계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인간이 쉽게 길을 더듬어 오를 수 있는 곳은 아니라고 한다.</ref>의 반도(蟠桃)<ref>반도(蟠桃):서왕모의 곤륜산에 있다는, 3천 년에 한 번씩 열리는 복숭아.</ref>나 십장생(十長生)<ref>십장생(十長生):오래 살고 죽지 않는다는 10가지 물건. 해・달・산・내・대나무・소나무・거북・학・사슴・불로초이다.</ref>을 그리고, 딸을 시집보내거나 며느리를 들이면 대부분 곽자의(郭子儀)<ref>곽자의(郭子儀):697~781. 당(唐)의 무장(武將)으로, 안녹산(安祿山)의 난을 평정하고, 그 공으로 분양왕(汾陽王)에 봉해져 ‘곽분양’이라고도 한다. 토번(吐蕃, 티베트)이 당을 치려 하자 회흘(回紇, 위구르)을 회유하고 토번을 쳐서 당을 구하기도 했다.</ref>의 행락도(行樂圖)7<ref>행락도(行樂圖):곽자의가 80명이 넘는 자손들과 한집에서 함께 살며 화평하고 즐겁게 지내는 모습을 그린 그림.
 
우리나라 병풍 제도는 처음에 일본에서 들어왔는데, 지금은 팔도에 두루 퍼졌다. 화려하게 만드는 사람들은 문양 없이 견(絹) 그대로를 바탕으로 하고 능(綾)이나 단(緞)으로 가선 마감[贉]<ref>가선 마감[贉]:병풍이나 방장 등 기물의 가장자리를 깨끗하게 정리하기 위해 비단을 덧대서 마무리하는 것.</ref>하며 옛사람의 시문(詩文)을 쓰거나 산수(山水), 새나 짐승, 꽃과 나무, 누각 같은 종류를 그리기도 한다. 나이 드신 부모나 어른을 모시면 대부분 서왕모(西王母)<ref>서왕모(西王母):선녀들을 지배하는 전설상의 여제(女帝)이다. 곤륜산(崑崙山) 꼭대기에 있다는 서왕모의 궁전은 천계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인간이 쉽게 길을 더듬어 오를 수 있는 곳은 아니라고 한다.</ref>의 반도(蟠桃)<ref>반도(蟠桃):서왕모의 곤륜산에 있다는, 3천 년에 한 번씩 열리는 복숭아.</ref>나 십장생(十長生)<ref>십장생(十長生):오래 살고 죽지 않는다는 10가지 물건. 해・달・산・내・대나무・소나무・거북・학・사슴・불로초이다.</ref>을 그리고, 딸을 시집보내거나 며느리를 들이면 대부분 곽자의(郭子儀)<ref>곽자의(郭子儀):697~781. 당(唐)의 무장(武將)으로, 안녹산(安祿山)의 난을 평정하고, 그 공으로 분양왕(汾陽王)에 봉해져 ‘곽분양’이라고도 한다. 토번(吐蕃, 티베트)이 당을 치려 하자 회흘(回紇, 위구르)을 회유하고 토번을 쳐서 당을 구하기도 했다.</ref>의 행락도(行樂圖)7<ref>행락도(行樂圖):곽자의가 80명이 넘는 자손들과 한집에서 함께 살며 화평하고 즐겁게 지내는 모습을 그린 그림.
  

2020년 10월 27일 (화) 17:18 기준 최신판

내용

1) 병풍[屛][1]
우리나라 병풍 제도는 처음에 일본에서 들어왔는데, 지금은 팔도에 두루 퍼졌다. 화려하게 만드는 사람들은 문양 없이 견(絹) 그대로를 바탕으로 하고 능(綾)이나 단(緞)으로 가선 마감[贉][2]하며 옛사람의 시문(詩文)을 쓰거나 산수(山水), 새나 짐승, 꽃과 나무, 누각 같은 종류를 그리기도 한다. 나이 드신 부모나 어른을 모시면 대부분 서왕모(西王母)[3]의 반도(蟠桃)[4]나 십장생(十長生)[5]을 그리고, 딸을 시집보내거나 며느리를 들이면 대부분 곽자의(郭子儀)[6]의 행락도(行樂圖)7[7]나 백자도(百子圖)[8]를 그려 기원하는 마음을 담는다. 대체로 서재에는 엷은 먹으로 그린 산수화가 알맞고, 안방에는 채색한 인물화가 알맞다. 금으로 그린 일본 병풍은 또한 침실에 펼쳐 둘 만하니, 새벽에 해가 막 떠오를 때 네 벽을 환하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금화경독기》[9]


각주

  1. 병풍:바람을 막거나 가리기 위해, 또는 장식용으로 방 안에 치는 물건. 직사각형으로 짠 나무틀에 종이를 바르고 그림이나 글씨를 붙이기도 하고 직물 그 자체만으로 꾸며, 접었다 폈다 할 수 있게 만든다.
    그림 삽입 예정 : 조선 책가도(冊架圖) 8폭 병풍(국립민속박물관) 접은 병풍(국립민속박물관)
  2. 가선 마감[贉]:병풍이나 방장 등 기물의 가장자리를 깨끗하게 정리하기 위해 비단을 덧대서 마무리하는 것.
  3. 서왕모(西王母):선녀들을 지배하는 전설상의 여제(女帝)이다. 곤륜산(崑崙山) 꼭대기에 있다는 서왕모의 궁전은 천계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인간이 쉽게 길을 더듬어 오를 수 있는 곳은 아니라고 한다.
  4. 반도(蟠桃):서왕모의 곤륜산에 있다는, 3천 년에 한 번씩 열리는 복숭아.
  5. 십장생(十長生):오래 살고 죽지 않는다는 10가지 물건. 해・달・산・내・대나무・소나무・거북・학・사슴・불로초이다.
  6. 곽자의(郭子儀):697~781. 당(唐)의 무장(武將)으로, 안녹산(安祿山)의 난을 평정하고, 그 공으로 분양왕(汾陽王)에 봉해져 ‘곽분양’이라고도 한다. 토번(吐蕃, 티베트)이 당을 치려 하자 회흘(回紇, 위구르)을 회유하고 토번을 쳐서 당을 구하기도 했다.
  7. 행락도(行樂圖):곽자의가 80명이 넘는 자손들과 한집에서 함께 살며 화평하고 즐겁게 지내는 모습을 그린 그림.
    그림 삽입 예정:〈곽분양행락도〉 병풍(19세기, 국립민속박물관)
  8. 백자도(百子圖):많은 사내아이들이 노는 광경을 소재로 그린 그림.
    그림 삽입 예정 : <백자도> 병풍(19~20세기 초, 국립고궁박물관)
  9. 《임원경제지 섬용지(林園經濟志 贍用志)》 2, 풍석 서유구 지음, 추담 서우보 교정, 임원경제연구소 옮김 (풍석문화재단, 2017), 243~244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