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운지:각 절기의 구경거리와 즐거운 놀이:절일의 세부 내용:단오절"의 두 판 사이의 차이

pungseok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내용== '''단오절의 쑥떡[艾糕]<ref>쑥떡[艾糕]:《정조지(鼎俎志)》 권7 〈절식지류(節食之類)〉 “단오절식(端午節食)” ‘차륜병방(車輪...)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내용==
 
==내용==
'''단오절의 쑥떡[艾糕]<ref>쑥떡[艾糕]:《정조지(鼎俎志)》 권7 〈절식지류(節食之類)〉 “단오절식(端午節食)” ‘차륜병방(車輪餠方)’에 만드는 법이 있다.</ref>'''<br/>
+
'''18) 단오절의 쑥떡[艾糕]<ref>쑥떡[艾糕]:《정조지(鼎俎志)》 권7 〈절식지류(節食之類)〉 “단오절식(端午節食)” ‘차륜병방(車輪餠方)’에 만드는 법이 있다.</ref>'''<br/>
 
단오절에는 쑥떡을 만드는데 수레바퀴처럼 둥근모양으로 만들어 먹는다. 무규(武珪)<ref>무규(武珪):?~?. 중국 송(宋)나라의 관리. 자는 사경(思卿). 하반전시(下班殿侍)·하북연변안무사지휘(河北沿邊安撫司指揮)를 역임했다. 거란에 잡혀갔다가 도망쳐 돌아와서 자신이 그린 《거란광평정수례도(契丹廣平淀受禮圖)》를 바쳤으며, 《연북잡록(燕北雜錄)》을 저술했다.</ref>의 《연북잡지
 
단오절에는 쑥떡을 만드는데 수레바퀴처럼 둥근모양으로 만들어 먹는다. 무규(武珪)<ref>무규(武珪):?~?. 중국 송(宋)나라의 관리. 자는 사경(思卿). 하반전시(下班殿侍)·하북연변안무사지휘(河北沿邊安撫司指揮)를 역임했다. 거란에 잡혀갔다가 도망쳐 돌아와서 자신이 그린 《거란광평정수례도(契丹廣平淀受禮圖)》를 바쳤으며, 《연북잡록(燕北雜錄)》을 저술했다.</ref>의 《연북잡지
 
(燕北雜志)<ref>연북잡지(燕北雜志):중국 송나라 무규(武圭)가 거란에 잡혀가서 10여 년간 보고 들은 내용을 기록한 책. 지금은 전하지 않고 각종 유설(類說)에서 단편적인 내용을 살필 수 있다.</ref>》를 살펴보면, “요나라 풍속에 5월 5일 발해(勃海)<ref>발해(勃海):발해(渤海)를 말한다. 698년부터 926년까지 한반도 북부와 만주·연해주에 존속하며 남북국을 이루었던 고대 국가.</ref>의 요리사가 쑥떡을 올린다.”라 했다. 이것이 우리나라 단오절 풍속의 연원이다. 《한양세시기(漢陽歲時記)》<ref>《京都雜志》 卷2 〈歲時〉 “端午”(《조선대세시기》3, 85~88쪽).</ref><br/><br/>
 
(燕北雜志)<ref>연북잡지(燕北雜志):중국 송나라 무규(武圭)가 거란에 잡혀가서 10여 년간 보고 들은 내용을 기록한 책. 지금은 전하지 않고 각종 유설(類說)에서 단편적인 내용을 살필 수 있다.</ref>》를 살펴보면, “요나라 풍속에 5월 5일 발해(勃海)<ref>발해(勃海):발해(渤海)를 말한다. 698년부터 926년까지 한반도 북부와 만주·연해주에 존속하며 남북국을 이루었던 고대 국가.</ref>의 요리사가 쑥떡을 올린다.”라 했다. 이것이 우리나라 단오절 풍속의 연원이다. 《한양세시기(漢陽歲時記)》<ref>《京都雜志》 卷2 〈歲時〉 “端午”(《조선대세시기》3, 85~88쪽).</ref><br/><br/>
 
[[파일: 그네타기.png|300픽셀|썸네일|가운데|그네타기(국립중앙박물관)]]
 
[[파일: 그네타기.png|300픽셀|썸네일|가운데|그네타기(국립중앙박물관)]]
어린 여자 아이들이 울긋불긋한 새 옷을 입고 창포를 끓인 물에 세수를 한다. 또 창포 뿌리를 잘라 비녀를 만들고 거기에 주사(朱砂)를 찍어 묶은 머리에 꽂는데, 이를 ‘단오장(端午粧, 단오 날의 화장)’이라 한다. 민간의 부녀들은 대규모로 그네타기 놀이[秋千戲]를 한다.<br/>
+
어린 여자 아이들이 울긋불긋한 새 옷을 입고 창포를 끓인 물에 세수를 한다. 또 창포 뿌리를 잘라 비녀를 만들고 거기에 주사(朱砂)를 찍어 묶은 머리에 꽂는데, 이를 ‘단오장(端午粧, 단옷날의 화장)’이라 한다. 민간의 부녀들은 대규모로 그네타기 놀이[秋千戲]를 한다.<br/>
 
[[파일: 단오장.png|300픽셀|썸네일|가운데|단오장]]
 
[[파일: 단오장.png|300픽셀|썸네일|가운데|단오장]]
 
[[파일: 창포.png|300픽셀|썸네일|가운데|창포물에 머리감기]]
 
[[파일: 창포.png|300픽셀|썸네일|가운데|창포물에 머리감기]]
 
《완서잡기(宛署雜記)》를 살펴보면, “연도(燕都, 연경)에서는 5월 1일부터 5일까지 규방의 어린 아가씨들을 한껏 아름답게 꾸며주고, 출가한 여인들은 또한
 
《완서잡기(宛署雜記)》를 살펴보면, “연도(燕都, 연경)에서는 5월 1일부터 5일까지 규방의 어린 아가씨들을 한껏 아름답게 꾸며주고, 출가한 여인들은 또한
저마다 친정에 돌아가 부모님을 뵙는다. 그래서 이날을 ‘여아절(女兒節)’이라 한다.”<ref>연도(燕都)에서는……한다:《欽定日下舊聞考》 卷147 〈風俗〉2 (《文淵閣四庫全書》499, 286쪽).</ref>라 했다. 우리나라가 연경과 그다지 멀지 않으므로 그 풍속이 서로 따라 행해졌다. 《한양세시기》<ref>《京都雜志》 卷2 〈歲時〉 “端午”(《조선대세시기》3, 85~88쪽).</ref><br/>
+
저마다 친정에 돌아가 부모님을 뵙는다. 그래서 이날을 ‘여아절(女兒節)’이라 한다.”<ref>연도(燕都)에서는……한다:《欽定日下舊聞考》 卷147 〈風俗〉2 (《文淵閣四庫全書》499, 286쪽).</ref>라 했다. 우리나라가 연경과 그다지 멀지 않으므로 그 풍속이 서로 따라 행해졌다. 《한양세시기》<ref>《京都雜志》 卷2 〈歲時〉 “端午”(《조선대세시기》3, 85~88쪽).</ref><ref>《임원경제지 이운지(林園經濟志 怡雲志)》4, 풍석 서유구 지음, 추담 서우보 교정, 임원경제연구소 옮김 (풍석문화재단, 2019), 540~541쪽.</ref><br/>
  
 
==각주==
 
==각주==
  
[[분류: 한양도성타임머신]][[분류: Event]][[분류: 행사]][[분류: 쑥떡]][[분류: 임원경제지]][[분류: 이운지]][[분류: 최시남]][[분류: 임원경제지 이운지]][[분류: 절신상락]][[분류: 금화경독기]][[분류: 연북잡지]][[분류: 무규]][[분류: 한양세시기]][[분류: 완서잡기]][[분류: 단오장]][[분류: 여아절]][[분류: 임원텍스트]]
+
[[분류: 한양도성타임머신]][[분류: Event]][[분류: 행사]][[분류: 쑥떡]][[분류: 임원경제지]][[분류: 이운지]][[분류: 최시남]][[분류: 임원경제지 이운지]][[분류: 절신상락]][[분류: 연북잡지]][[분류: 무규]][[분류: 한양세시기]][[분류: 완서잡기]][[분류: 단오장]][[분류: 여아절]][[분류: 임원텍스트]]

2020년 10월 29일 (목) 17:16 기준 최신판

내용

18) 단오절의 쑥떡[艾糕][1]
단오절에는 쑥떡을 만드는데 수레바퀴처럼 둥근모양으로 만들어 먹는다. 무규(武珪)[2]의 《연북잡지 (燕北雜志)[3]》를 살펴보면, “요나라 풍속에 5월 5일 발해(勃海)[4]의 요리사가 쑥떡을 올린다.”라 했다. 이것이 우리나라 단오절 풍속의 연원이다. 《한양세시기(漢陽歲時記)》[5]

그네타기(국립중앙박물관)

어린 여자 아이들이 울긋불긋한 새 옷을 입고 창포를 끓인 물에 세수를 한다. 또 창포 뿌리를 잘라 비녀를 만들고 거기에 주사(朱砂)를 찍어 묶은 머리에 꽂는데, 이를 ‘단오장(端午粧, 단옷날의 화장)’이라 한다. 민간의 부녀들은 대규모로 그네타기 놀이[秋千戲]를 한다.

단오장
창포물에 머리감기

《완서잡기(宛署雜記)》를 살펴보면, “연도(燕都, 연경)에서는 5월 1일부터 5일까지 규방의 어린 아가씨들을 한껏 아름답게 꾸며주고, 출가한 여인들은 또한 저마다 친정에 돌아가 부모님을 뵙는다. 그래서 이날을 ‘여아절(女兒節)’이라 한다.”[6]라 했다. 우리나라가 연경과 그다지 멀지 않으므로 그 풍속이 서로 따라 행해졌다. 《한양세시기》[7][8]

각주

  1. 쑥떡[艾糕]:《정조지(鼎俎志)》 권7 〈절식지류(節食之類)〉 “단오절식(端午節食)” ‘차륜병방(車輪餠方)’에 만드는 법이 있다.
  2. 무규(武珪):?~?. 중국 송(宋)나라의 관리. 자는 사경(思卿). 하반전시(下班殿侍)·하북연변안무사지휘(河北沿邊安撫司指揮)를 역임했다. 거란에 잡혀갔다가 도망쳐 돌아와서 자신이 그린 《거란광평정수례도(契丹廣平淀受禮圖)》를 바쳤으며, 《연북잡록(燕北雜錄)》을 저술했다.
  3. 연북잡지(燕北雜志):중국 송나라 무규(武圭)가 거란에 잡혀가서 10여 년간 보고 들은 내용을 기록한 책. 지금은 전하지 않고 각종 유설(類說)에서 단편적인 내용을 살필 수 있다.
  4. 발해(勃海):발해(渤海)를 말한다. 698년부터 926년까지 한반도 북부와 만주·연해주에 존속하며 남북국을 이루었던 고대 국가.
  5. 《京都雜志》 卷2 〈歲時〉 “端午”(《조선대세시기》3, 85~88쪽).
  6. 연도(燕都)에서는……한다:《欽定日下舊聞考》 卷147 〈風俗〉2 (《文淵閣四庫全書》499, 286쪽).
  7. 《京都雜志》 卷2 〈歲時〉 “端午”(《조선대세시기》3, 85~88쪽).
  8. 《임원경제지 이운지(林園經濟志 怡雲志)》4, 풍석 서유구 지음, 추담 서우보 교정, 임원경제연구소 옮김 (풍석문화재단, 2019), 540~541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