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용지:건물 짓는 제도:부엌과 부뚜막:부엌"의 두 판 사이의 차이

pungseok
이동: 둘러보기, 검색
(부엌 만드는 법)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4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25번째 줄: 25번째 줄:
 
===둥근 못 이용하는 법===
 
===둥근 못 이용하는 법===
 
모든 쌀뜨물, 설거지물, 생선 씻은 물, 닭이나 돼지 삶은 물 등을 일일이 와두에 부어 못에 이르게 한다. <br/>
 
모든 쌀뜨물, 설거지물, 생선 씻은 물, 닭이나 돼지 삶은 물 등을 일일이 와두에 부어 못에 이르게 한다. <br/>
이는 대개 밭두둑에 거름으로 주거나 뽕밭이나 모시밭에 물을 주기 위해서이다.<br/>
+
이는 대개 밭두둑에 거름으로 주거나 뽕밭이나 모시밭에 물을 주기 위해서이다. 《[[금화경독기]]》<ref>《임원경제지 [[섬용지]](林園經濟志 贍用志)》1, 풍석 서유구 지음, [[임원경제연구소]] 옮김(풍석문화재단, 2016), 156~157쪽.</ref>
출처:《[[금화경독기]]》
 
<ref>서유구 지음, [[임원경제연구소]] 옮김, 『임원경제지 [[섬용지]]』1, 156~157쪽.</ref>
 
  
[[분류:한양도성타임머신]] [[분류:Architecture]] [[분류:Architecture-건축부품]] [[분류:정명현]]
+
==각주==
 +
 
 +
[[분류:한양도성타임머신]] [[분류:Architecture]] [[분류:Architecture-건축부품]][[분류: 금화경독기]][[분류: 본리지]][[분류: 임원경제지]][[분류: 섬용지]][[분류:정명현]][[분류: 임원텍스트]]

2020년 10월 30일 (금) 13:43 기준 최신판

1) 부엌

부엌 , , 만드는 법

부엌에서는 더욱 불을 조심해야 하므로 사방을 벽돌로 쌓아 벽을 만든다.
일반적으로 기둥이나 인방[欂] 등의 일체의 목재는 모두 벽돌 속에 묻히도록 한다.
만일 바람이 통하고 햇빛이 들게 하려면 벽 위의 중간 지점에 모두 영롱담[玲瓏墻]을 만든다.
서유구 안설(案說): 영롱담 만드는 방법에 관해서는 아래(14. 담장)를 보라.】

회반죽 바르는 부분

부뚜막에서 10~20척 거리를 두고 남북으로 문을 뚫어 왕정(王禎, ?~? 13~14세기 활동)의 ‘장생옥(長生屋) 짓는 법’에 따라 법제한 회반죽을 문짝 안팎에 바른다.
만약 부엌이 다락 아래에 있으면 위로 마룻널이 보이니, 여기에도 법제한 회반죽을 두껍게 바른다.
살강으로 쓴 목재가 드러난 곳에는 모두 법제한 회반죽을 칠한다.

살강 만드는 법

부뚜막에서 10~20척 거리를 두고 북쪽 벽을 따라 살강[廚棧][1] 2~3칸을 설치한다.

와두 설치하는 법

살강 아래에는 구덩이를 파고 와두(瓦竇:질그릇으로 만든 배수관)를 놓는다.
【서유구 안설: 와두의 제도는 『본리지』에 자세히 나온다.[2]
이때는 와두를 하나씩 비늘처럼 차례로 끼우고 이어서 담장 밖까지 곧장 통하게 한다.

부엌 외부에 둥근 못 만드는 법

담장 밖의 와두가 끝나는 곳에는 둥근 못을 깊고 넓게 파고, 바닥과 주위에 벽돌을 2~3겹 쌓아 물이 새지 않게 한다.
못 위에는 처마를 낮게 덮고서 이엉지붕이나 회지붕을 얹는다.

둥근 못 이용하는 법

모든 쌀뜨물, 설거지물, 생선 씻은 물, 닭이나 돼지 삶은 물 등을 일일이 와두에 부어 못에 이르게 한다.
이는 대개 밭두둑에 거름으로 주거나 뽕밭이나 모시밭에 물을 주기 위해서이다. 《금화경독기[3]

각주

  1. 살강[廚棧]:부엌의 벽 중간에 가는 통나무 두 개를 건너질러서 달아맨 선반으로, 식기·부엌기구 등을 올려놓아 두는 데 쓴다.
  2. 와두의……나온다:『임원경제지 본리지』 권12 〈그림으로 보는 관개시설〉 상 ‘와두’ 참조.
  3. 《임원경제지 섬용지(林園經濟志 贍用志)》1, 풍석 서유구 지음, 임원경제연구소 옮김(풍석문화재단, 2016), 156~157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