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용지:복식 도구:이부자리:작은 이불"의 두 판 사이의 차이

pungseok
이동: 둘러보기, 검색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3번째 줄: 3번째 줄:
 
《광운》에서 “횡답(𧝒褡)은 작은 이불이다.”<ref>《重修廣韻》 卷2 〈下平聲〉 “十二庚”;《重修廣韻》 卷5 〈入聲〉 “二十七合”.</ref>라 했는데, 지금 민간에서 말하는 ‘처네[薦衣]’<ref>처네[薦衣]:조선시대의 처네는 장옷(여성들의 겉옷)보다 길이가 짧고 소매가 없는 여성용 쓰개이다. 본래는 작은 이불로서, 잘 때 덮거나 앉아 있을 때도 사용하는 다용도의 처네가 후에 양쪽에 끈을 달면서 여성용 쓰개로 자리 잡게 된 것으로 보인다.(차서연, 앞의 논문, 48쪽)<br/>
 
《광운》에서 “횡답(𧝒褡)은 작은 이불이다.”<ref>《重修廣韻》 卷2 〈下平聲〉 “十二庚”;《重修廣韻》 卷5 〈入聲〉 “二十七合”.</ref>라 했는데, 지금 민간에서 말하는 ‘처네[薦衣]’<ref>처네[薦衣]:조선시대의 처네는 장옷(여성들의 겉옷)보다 길이가 짧고 소매가 없는 여성용 쓰개이다. 본래는 작은 이불로서, 잘 때 덮거나 앉아 있을 때도 사용하는 다용도의 처네가 후에 양쪽에 끈을 달면서 여성용 쓰개로 자리 잡게 된 것으로 보인다.(차서연, 앞의 논문, 48쪽)<br/>
 
[[파일:조선시대의 처네(국립민속박물관).jpg|200픽셀|섬네일|조선시대의 처네(국립민속박물관)|왼쪽]]
 
[[파일:조선시대의 처네(국립민속박물관).jpg|200픽셀|섬네일|조선시대의 처네(국립민속박물관)|왼쪽]]
<br/><br/><br/><br/><br/><br/><br/><br/><br/><br/><br/><br/><br/><br/></ref>가 바로 옛날 횡답이 전해 내려온 제도이다. 색 있는 주(紬)【주는 겉은 자주색・녹색・검누른 붉은색 등의 색을 쓰고, 안은 청색이나 녹색을 뜻대로 쓴다.】에 솜을 쟁여 넣고 드문누비<ref>드문누비:누비는 간격에 따라 잔누비(세누비), 중누비, 드문누비(광누비)로 나뉜다. 잔누비는 누비 간격이 0.5cm 내외에서 1cm까지이고, 중누비는 2.5cm 내외의 간격이며, 드문누비는 5cm 내외의 간격으로 누빈다.</ref>로 누빈다. 크기는 이불보다 작지만 위는 둥글고 아래는 네모나서 앉으면 허리와 무릎을 보호할 수 있고, 누우면 겹쳐 덮어서 몸을 따뜻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늙고 병든 사람들에게 더욱 편리한 이불이다.《금화경독기》<br/>
+
<br/><br/><br/><br/><br/><br/><br/><br/><br/><br/><br/><br/><br/><br/></ref>가 바로 옛날 횡답이 전해 내려온 제도이다. 색 있는 주(紬)【주는 겉은 자주색・녹색・검누른 붉은색 등의 색을 쓰고, 안은 청색이나 녹색을 뜻대로 쓴다.】에 솜을 쟁여 넣고 드문누비<ref>드문누비:누비는 간격에 따라 잔누비(세누비), 중누비, 드문누비(광누비)로 나뉜다. 잔누비는 누비 간격이 0.5cm 내외에서 1cm까지이고, 중누비는 2.5cm 내외의 간격이며, 드문누비는 5cm 내외의 간격으로 누빈다.</ref>로 누빈다. 크기는 이불보다 작지만 위는 둥글고 아래는 네모나서 앉으면 허리와 무릎을 보호할 수 있고, 누우면 겹쳐 덮어서 몸을 따뜻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늙고 병든 사람들에게 더욱 편리한 이불이다.《금화경독기》<ref>《임원경제지 섬용지(林園經濟志 贍用志)》 2, 풍석 서유구 지음, 추담 서우보 교정, 임원경제연구소 옮김 (풍석문화재단, 2016), 125~126쪽. </ref><br/><br/>
 
==각주==
 
==각주==
[[분류:한양도성타임머신]][[분류: clothing]][[분류:임원경제지]][[분류:섬용지]][[분류:복식 도구]][[분류:복식 도구]][[분류:작은 이불 ]][[분류:임원경제지 섬용지]][[분류:김용미]]
+
[[분류:한양도성타임머신]][[분류: clothing]][[분류:임원경제지]][[분류:섬용지]][[분류:복식 도구]][[분류:이부자리]][[분류:작은 이불]][[분류:임원경제지 섬용지]][[분류:금화경독기]][[분류:김용미]][[분류:임원텍스트]]

2020년 10월 26일 (월) 17:53 기준 최신판

내용

3) 작은 이불 [褡] 《광운》에서 “횡답(𧝒褡)은 작은 이불이다.”[1]라 했는데, 지금 민간에서 말하는 ‘처네[薦衣]’[2]가 바로 옛날 횡답이 전해 내려온 제도이다. 색 있는 주(紬)【주는 겉은 자주색・녹색・검누른 붉은색 등의 색을 쓰고, 안은 청색이나 녹색을 뜻대로 쓴다.】에 솜을 쟁여 넣고 드문누비[3]로 누빈다. 크기는 이불보다 작지만 위는 둥글고 아래는 네모나서 앉으면 허리와 무릎을 보호할 수 있고, 누우면 겹쳐 덮어서 몸을 따뜻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늙고 병든 사람들에게 더욱 편리한 이불이다.《금화경독기》[4]

각주

  1. 《重修廣韻》 卷2 〈下平聲〉 “十二庚”;《重修廣韻》 卷5 〈入聲〉 “二十七合”.
  2. 처네[薦衣]:조선시대의 처네는 장옷(여성들의 겉옷)보다 길이가 짧고 소매가 없는 여성용 쓰개이다. 본래는 작은 이불로서, 잘 때 덮거나 앉아 있을 때도 사용하는 다용도의 처네가 후에 양쪽에 끈을 달면서 여성용 쓰개로 자리 잡게 된 것으로 보인다.(차서연, 앞의 논문, 48쪽)
    조선시대의 처네(국립민속박물관)















  3. 드문누비:누비는 간격에 따라 잔누비(세누비), 중누비, 드문누비(광누비)로 나뉜다. 잔누비는 누비 간격이 0.5cm 내외에서 1cm까지이고, 중누비는 2.5cm 내외의 간격이며, 드문누비는 5cm 내외의 간격으로 누빈다.
  4. 《임원경제지 섬용지(林園經濟志 贍用志)》 2, 풍석 서유구 지음, 추담 서우보 교정, 임원경제연구소 옮김 (풍석문화재단, 2016), 125~126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