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운지:명승지 여행:산에 오를 때의 부적과 주문:도수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pungseok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강이나 하천을 건널 때 붉은색으로 ‘우(禹)’<ref>우(禹):중국 고대 하(夏)나라 임금으로 치수(治水)를 잘하여 순(舜)임금의 뒤를 이어 왕...)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
==내용==
 +
<strong>6) 도수부(渡水符, 물 건널 때의 부적)</strong><br/>
 
강이나 하천을 건널 때 붉은색으로 ‘우(禹)’<ref>우(禹):중국 고대 하(夏)나라 임금으로 치수(治水)를 잘하여 순(舜)임금의 뒤를 이어 왕이 되었다. 물을
 
강이나 하천을 건널 때 붉은색으로 ‘우(禹)’<ref>우(禹):중국 고대 하(夏)나라 임금으로 치수(治水)를 잘하여 순(舜)임금의 뒤를 이어 왕이 되었다. 물을
잘 다스린 왕이므로 물을 건널 때 그의 이름을 써서 위험으로부터 몸을 보호할 수 있다고 믿은 것으로
+
잘 다스린 왕이므로 물을 건널 때 그의 이름을 써서 위험으로부터 몸을 보호할 수 있다고 믿은 것으로 보인다.</ref> 자를
인다.</ref> 자를
+
써서 몸에 차고 있으면 길하다. 손바닥 가운데에 ‘토(土)’ 자를 쓰면 배에서 내릴 때까지 두려운 마음이
써서 몸에 차고 있으면 길하다. 손바닥 가운데에 ‘토
+
들지 않는다. 《준생팔전》<ref>《遵生八牋》 卷8 〈起居安樂牋〉下 “三才避忌條” ‘地道諸忌’(《遵生八牋校注》, 267쪽).</ref><ref>《임원경제지 이운지(林園經濟志 怡雲志)》4, 풍석 서유구 지음, 추담 서우보 교정, 임원경제연구소 옮김 (풍석문화재단, 2019), 427쪽. </ref><br/><br/>
(土)’ 자를 쓰면 배에서 내릴 때까지 두려운 마음이
 
들지 않는다. 《준생팔전》<ref>《遵生八牋》 卷8 〈起居安樂牋〉下 “三才避忌條” ‘地道諸忌’(《遵生八牋校注》, 267쪽).</ref><br/>
 
 
==각주==
 
==각주==
  
[[분류:한양도성타임머신]][[분류: object]][[분류:object-물품]][[분류:명승지 여행]][[분류:산에 오를 때의 부적과 주문]][[분류:도수부]][[분류:임원경제지-이운지]][[분류:김용미]]
+
[[분류:한양도성타임머신]][[분류: object]][[분류:임원경제지]][[분류:이운지]][[분류:명승지 여행]][[분류:명승유연]][[분류:산에 오를 때의 부적과 주문]][[분류:도수부]][[분류:임원경제지 이운지]][[분류:준생팔전교주]][[분류:김용미]][[분류:임원텍스트]]

2020년 10월 29일 (목) 15:08 기준 최신판

내용

6) 도수부(渡水符, 물 건널 때의 부적)
강이나 하천을 건널 때 붉은색으로 ‘우(禹)’[1] 자를 써서 몸에 차고 있으면 길하다. 손바닥 가운데에 ‘토(土)’ 자를 쓰면 배에서 내릴 때까지 두려운 마음이 들지 않는다. 《준생팔전》[2][3]

각주

  1. 우(禹):중국 고대 하(夏)나라 임금으로 치수(治水)를 잘하여 순(舜)임금의 뒤를 이어 왕이 되었다. 물을 잘 다스린 왕이므로 물을 건널 때 그의 이름을 써서 위험으로부터 몸을 보호할 수 있다고 믿은 것으로 보인다.
  2. 《遵生八牋》 卷8 〈起居安樂牋〉下 “三才避忌條” ‘地道諸忌’(《遵生八牋校注》, 267쪽).
  3. 《임원경제지 이운지(林園經濟志 怡雲志)》4, 풍석 서유구 지음, 추담 서우보 교정, 임원경제연구소 옮김 (풍석문화재단, 2019), 427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