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용지:건물 짓는 제도:담장:영롱담"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내용== '''영롱담<ref>영롱담:벽돌·기와 등을 장식으로 구멍을 내어 쌓아 하중을 담당하지 않는 담장을 가리킨다. 담장일 경우 ‘영롱담...)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내용== | ==내용== | ||
− | '''영롱담<ref>영롱담:벽돌·기와 등을 장식으로 구멍을 내어 쌓아 하중을 담당하지 않는 담장을 가리킨다. 담장일 경우 ‘영롱담[玲瓏墻]’이라 하며, 이처럼 쌓는 조적 기법을 ‘영롱 쌓기[玲瓏積]’라 한다.</br>[[파일:영롱담(수원 화성).png|200픽셀]]</ref>'''</br></br> | + | '''5) 영롱담<ref>영롱담:벽돌·기와 등을 장식으로 구멍을 내어 쌓아 하중을 담당하지 않는 담장을 가리킨다. 담장일 경우 ‘영롱담[玲瓏墻]’이라 하며, 이처럼 쌓는 조적 기법을 ‘영롱 쌓기[玲瓏積]’라 한다.</br>[[파일:영롱담(수원 화성).png|200픽셀]]</ref>'''</br></br> |
− | 중국 민가에서 담장을 두르며 쌓을 때 어깨높이 위로는 다시 기와를 잘라 둘씩 둘씩 짝지어 파도 무늬를 만든다. 넷이 합하여 이어진 고리 모양이 되기도 하고, 넷이 등져서 옛 노전[古魯錢]<ref>옛 노전[古魯錢]:이덕무의 《청장관전서(靑莊館全書)》 권62 〈서해여언(西海旅言)〉 “윤회매십전(輪回梅十篆)” ‘오지화(五之花)’에서 “꽃잎 5개가 말려 있고 꽃술이 나와 있지 않은 매화를 옛 노전[古魯錢]이라 한다.”라고 했다.</ref>모양이 되기도 한다. 이때 깊게 뚫린 굴과 같은 부분이 광채가 찬란하고[玲瓏] 안팎이 서로 비춘다.《열하일기》<ref>《熱河日記》 〈馹汛隨筆〉 “秋七月十五日”.</ref></br></br> | + | 중국 민가에서 담장을 두르며 쌓을 때 어깨높이 위로는 다시 기와를 잘라 둘씩 둘씩 짝지어 파도 무늬를 만든다. 넷이 합하여 이어진 고리 모양이 되기도 하고, 넷이 등져서 옛 노전[古魯錢]<ref>옛 노전[古魯錢]:이덕무의 《청장관전서(靑莊館全書)》 권62 〈서해여언(西海旅言)〉 “윤회매십전(輪回梅十篆)” ‘오지화(五之花)’에서 “꽃잎 5개가 말려 있고 꽃술이 나와 있지 않은 매화를 옛 노전[古魯錢]이라 한다.”라고 했다.</ref>모양이 되기도 한다. 이때 깊게 뚫린 굴과 같은 부분이 광채가 찬란하고[玲瓏] 안팎이 서로 비춘다.《열하일기》<ref>《熱河日記》 〈馹汛隨筆〉 “秋七月十五日”.</ref><ref>《임원경제지 섬용지(林園經濟志 贍用志)》1, 풍석 서유구 지음, 임원경제연구소 옮김(풍석문화재단, 2016), 195~196쪽.</ref></br></br> |
+ | |||
==각주== | ==각주== | ||
− | [[분류:한양도성타임머신]][[분류:Architecture]][[분류: | + | [[분류:한양도성타임머신]][[분류:Architecture]][[분류:건축물]][[분류:건축부품]][[분류:영조지제]][[분류:담장]][[분류:담장기초]][[분류:토담쌓기]][[분류:돌담쌓기]][[분류:가요담]][[분류:영롱담]][[분류:담장덮기]][[분류:판장]][[분류:섬용지]][[분류:임원경제지 섬용지]][[분류:김광명]][[분류:열하일기]][[분류:임원텍스트]] |
2020년 12월 3일 (목) 22:45 기준 최신판
내용
5) 영롱담[1]
중국 민가에서 담장을 두르며 쌓을 때 어깨높이 위로는 다시 기와를 잘라 둘씩 둘씩 짝지어 파도 무늬를 만든다. 넷이 합하여 이어진 고리 모양이 되기도 하고, 넷이 등져서 옛 노전[古魯錢][2]모양이 되기도 한다. 이때 깊게 뚫린 굴과 같은 부분이 광채가 찬란하고[玲瓏] 안팎이 서로 비춘다.《열하일기》[3][4]
각주
- ↑ 영롱담:벽돌·기와 등을 장식으로 구멍을 내어 쌓아 하중을 담당하지 않는 담장을 가리킨다. 담장일 경우 ‘영롱담[玲瓏墻]’이라 하며, 이처럼 쌓는 조적 기법을 ‘영롱 쌓기[玲瓏積]’라 한다.
- ↑ 옛 노전[古魯錢]:이덕무의 《청장관전서(靑莊館全書)》 권62 〈서해여언(西海旅言)〉 “윤회매십전(輪回梅十篆)” ‘오지화(五之花)’에서 “꽃잎 5개가 말려 있고 꽃술이 나와 있지 않은 매화를 옛 노전[古魯錢]이라 한다.”라고 했다.
- ↑ 《熱河日記》 〈馹汛隨筆〉 “秋七月十五日”.
- ↑ 《임원경제지 섬용지(林園經濟志 贍用志)》1, 풍석 서유구 지음, 임원경제연구소 옮김(풍석문화재단, 2016), 195~196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