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용지:색을 내는 도구:채색:쪽물"의 두 판 사이의 차이

pungseok
이동: 둘러보기, 검색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내용==
 
==내용==
15) 쪽물 [靛花] <br>
+
15) 쪽물[靛花]<ref>쪽물[靛花]:남색(藍色, 쪽색)을 내는 가장 좋은 재료인 쪽풀에서 얻은 물감으로, 한여름에 수확해 색소를 분리 추출한 다음 염료로 쓴다. 청대라고도 한다.</ref> <br>
 
남전(藍澱, 쪽앙금)을 또한 ‘정(淀)’이라 쓰고, 민간에서는 ‘전(靛)’이라 쓴다. 남쪽 사람들은 땅을 파서 구덩이를 만들고 여기에 쪽을 하룻밤 물에 담갔다 석회를 넣고 1천 번 정도 저은 다음 가라앉혀서 물을 걸러 내는데, 이렇게 하면 청흑색이 된다. 또한 말려 거두었다가 청벽색으로 물들이는 데도 쓴다. 쪽을 저을 때 물거품이 일어나면 이것을 건져 그늘에서 말리는데, 이를 ‘전화’라 한다.【
 
남전(藍澱, 쪽앙금)을 또한 ‘정(淀)’이라 쓰고, 민간에서는 ‘전(靛)’이라 쓴다. 남쪽 사람들은 땅을 파서 구덩이를 만들고 여기에 쪽을 하룻밤 물에 담갔다 석회를 넣고 1천 번 정도 저은 다음 가라앉혀서 물을 걸러 내는데, 이렇게 하면 청흑색이 된다. 또한 말려 거두었다가 청벽색으로 물들이는 데도 쓴다. 쪽을 저을 때 물거품이 일어나면 이것을 건져 그늘에서 말리는데, 이를 ‘전화’라 한다.【
안 지금 사람들은 전화를 가져다 둥근 환(丸)을 만들고 이를 ‘청화(靑花)’라 하는데, 이는 아마도 전화라는 음(音)이 바뀐 것일 터이다. 다시 둥근 환으로 만든 청화를 분에 개고 아교와 섞어 절굿공이로 찧은 뒤 이를 모형틀에 넣고 굳힌 다음 빼낸 것을 ‘청화묵(靑花墨)’이라 하는데, 화가들이 쓴다.】
+
안 지금 사람들은 전화를 가져다 둥근 환(丸)을 만들고 이를 ‘청화(靑花)’라 하는데, 이는 아마도 전화라는 음(音)이 바뀐 것일 터이다. 다시 둥근 환으로 만든 청화를 분에 개고 아교와 섞어 절굿공이로 찧은 뒤 이를 모형틀에 넣고 굳힌 다음 빼낸 것을 ‘청화묵(靑花墨)’이라 하는데, 화가들이 쓴다.】 <br>
+
【우안 쪽앙금 만드는 방법은 《만학지》에 자세히 보인다.<ref>《만학지》 권5 <기타 초목류> “쪽(청대)” ‘제조’.</ref>】 《본초강목》
우안 쪽앙금 만드는 방법은 《만학지》에 자세히 보인다.95】 《본초강목》
+
<ref>《임원경제지 섬용지(林園經濟志 贍用志)》 2, 풍석 서유구 지음, 추담 서우보 교정, 임원경제연구소 옮김 (풍석문화재단, 2017), 296~297쪽.</ref>  
<ref>《임원경제지 섬용지(林園經濟志 贍用志)》 2, 풍석 서유구 지음, 추담 서우보 교정, 임원경제연구소 옮김 (풍석문화재단, 2017), 258쪽.</ref>  
 
  
  
 +
94
  
 
==각주==
 
==각주==
 
[[분류: 한양도성타임머신]][[분류: Object]] [[분류: 임원경제지]][[분류: 섬용지]] [[분류:임원경제지 섬용지]] [[분류:설색지구(設色之具)]]  [[분류:채색]] [[분류:본초강목]] [[분류:민철기]] [[분류:임원텍스트]]
 
[[분류: 한양도성타임머신]][[분류: Object]] [[분류: 임원경제지]][[분류: 섬용지]] [[분류:임원경제지 섬용지]] [[분류:설색지구(設色之具)]]  [[분류:채색]] [[분류:본초강목]] [[분류:민철기]] [[분류:임원텍스트]]

2020년 12월 3일 (목) 17:27 기준 최신판

내용

15) 쪽물[靛花][1]
남전(藍澱, 쪽앙금)을 또한 ‘정(淀)’이라 쓰고, 민간에서는 ‘전(靛)’이라 쓴다. 남쪽 사람들은 땅을 파서 구덩이를 만들고 여기에 쪽을 하룻밤 물에 담갔다 석회를 넣고 1천 번 정도 저은 다음 가라앉혀서 물을 걸러 내는데, 이렇게 하면 청흑색이 된다. 또한 말려 거두었다가 청벽색으로 물들이는 데도 쓴다. 쪽을 저을 때 물거품이 일어나면 이것을 건져 그늘에서 말리는데, 이를 ‘전화’라 한다.【 안 지금 사람들은 전화를 가져다 둥근 환(丸)을 만들고 이를 ‘청화(靑花)’라 하는데, 이는 아마도 전화라는 음(音)이 바뀐 것일 터이다. 다시 둥근 환으로 만든 청화를 분에 개고 아교와 섞어 절굿공이로 찧은 뒤 이를 모형틀에 넣고 굳힌 다음 빼낸 것을 ‘청화묵(靑花墨)’이라 하는데, 화가들이 쓴다.】
【우안 쪽앙금 만드는 방법은 《만학지》에 자세히 보인다.[2]】 《본초강목》 [3]


94

각주

  1. 쪽물[靛花]:남색(藍色, 쪽색)을 내는 가장 좋은 재료인 쪽풀에서 얻은 물감으로, 한여름에 수확해 색소를 분리 추출한 다음 염료로 쓴다. 청대라고도 한다.
  2. 《만학지》 권5 <기타 초목류> “쪽(청대)” ‘제조’.
  3. 《임원경제지 섬용지(林園經濟志 贍用志)》 2, 풍석 서유구 지음, 추담 서우보 교정, 임원경제연구소 옮김 (풍석문화재단, 2017), 296~297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