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용지:색을 내는 도구:채색:쪽물"의 두 판 사이의 차이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내용== | ==내용== | ||
− | 15) 쪽물 [靛花] <br> | + | 15) 쪽물[靛花]<ref>쪽물[靛花]:남색(藍色, 쪽색)을 내는 가장 좋은 재료인 쪽풀에서 얻은 물감으로, 한여름에 수확해 색소를 분리 추출한 다음 염료로 쓴다. 청대라고도 한다.</ref> <br> |
− | + | 남전(藍澱, 쪽앙금)을 또한 ‘정(淀)’이라 쓰고, 민간에서는 ‘전(靛)’이라 쓴다. 남쪽 사람들은 땅을 파서 구덩이를 만들고 여기에 쪽을 하룻밤 물에 담갔다 석회를 넣고 1천 번 정도 저은 다음 가라앉혀서 물을 걸러 내는데, 이렇게 하면 청흑색이 된다. 또한 말려 거두었다가 청벽색으로 물들이는 데도 쓴다. 쪽을 저을 때 물거품이 일어나면 이것을 건져 그늘에서 말리는데, 이를 ‘전화’라 한다.【 | |
− | <ref>《임원경제지 섬용지(林園經濟志 贍用志)》 2, 풍석 서유구 지음, 추담 서우보 교정, 임원경제연구소 옮김 (풍석문화재단, 2017), | + | 안 지금 사람들은 전화를 가져다 둥근 환(丸)을 만들고 이를 ‘청화(靑花)’라 하는데, 이는 아마도 전화라는 음(音)이 바뀐 것일 터이다. 다시 둥근 환으로 만든 청화를 분에 개고 아교와 섞어 절굿공이로 찧은 뒤 이를 모형틀에 넣고 굳힌 다음 빼낸 것을 ‘청화묵(靑花墨)’이라 하는데, 화가들이 쓴다.】 <br> |
+ | 【우안 쪽앙금 만드는 방법은 《만학지》에 자세히 보인다.<ref>《만학지》 권5 <기타 초목류> “쪽(청대)” ‘제조’.</ref>】 《본초강목》 | ||
+ | <ref>《임원경제지 섬용지(林園經濟志 贍用志)》 2, 풍석 서유구 지음, 추담 서우보 교정, 임원경제연구소 옮김 (풍석문화재단, 2017), 296~297쪽.</ref> | ||
+ | 94 | ||
==각주== | ==각주== | ||
− | [[분류: 한양도성타임머신]][[분류: Object]] [[분류: 임원경제지]][[분류: 섬용지]] [[분류:임원경제지 섬용지]] [[분류:설색지구(設色之具)]] [[분류:채색]] [[분류: | + | [[분류: 한양도성타임머신]][[분류: Object]] [[분류: 임원경제지]][[분류: 섬용지]] [[분류:임원경제지 섬용지]] [[분류:설색지구(設色之具)]] [[분류:채색]] [[분류:본초강목]] [[분류:민철기]] [[분류:임원텍스트]] |
2020년 12월 3일 (목) 17:27 기준 최신판
내용
15) 쪽물[靛花][1]
남전(藍澱, 쪽앙금)을 또한 ‘정(淀)’이라 쓰고, 민간에서는 ‘전(靛)’이라 쓴다. 남쪽 사람들은 땅을 파서 구덩이를 만들고 여기에 쪽을 하룻밤 물에 담갔다 석회를 넣고 1천 번 정도 저은 다음 가라앉혀서 물을 걸러 내는데, 이렇게 하면 청흑색이 된다. 또한 말려 거두었다가 청벽색으로 물들이는 데도 쓴다. 쪽을 저을 때 물거품이 일어나면 이것을 건져 그늘에서 말리는데, 이를 ‘전화’라 한다.【
안 지금 사람들은 전화를 가져다 둥근 환(丸)을 만들고 이를 ‘청화(靑花)’라 하는데, 이는 아마도 전화라는 음(音)이 바뀐 것일 터이다. 다시 둥근 환으로 만든 청화를 분에 개고 아교와 섞어 절굿공이로 찧은 뒤 이를 모형틀에 넣고 굳힌 다음 빼낸 것을 ‘청화묵(靑花墨)’이라 하는데, 화가들이 쓴다.】
【우안 쪽앙금 만드는 방법은 《만학지》에 자세히 보인다.[2]】 《본초강목》
[3]
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