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용지:색을 내는 도구:채색:석록"의 두 판 사이의 차이

pungseok
이동: 둘러보기, 검색
1번째 줄: 1번째 줄:
 
==내용==
 
==내용==
석록(石綠)<ref></ref> <br>
+
석록(石綠)<ref> 석록(石綠):녹색 보석의 하나인 공작석(孔雀石)으로, 아교에 공작석 가루를 섞어 색을 만들어 쓴다.</ref> <br>
석록은 구리 광산에서 나온다. 구리가 자양(紫陽)의 기운을 받으면 녹이 생기고, 녹이 오래되면 돌이 되기 때문에 이를 ‘석록(石綠)’이라 하는데, 공청(空靑)100<ref></ref>・증청(曾靑)101<ref></ref>과 근원이 같다. ‘대록(大綠)’이라 부르기도 한다.<br>
+
석록은 구리 광산에서 나온다. 구리가 자양(紫陽)의 기운을 받으면 녹이 생기고, 녹이 오래되면 돌이 되기 때문에 이를 ‘석록(石綠)’이라 하는데, 공청(空靑)<ref>공청(空靑):아연과 알루미늄을 함유한 산화광물로, 짙은 녹색이나 회색을 띤다. 양매청(楊梅靑)이라고도 한다.</ref>・증청(曾靑)<ref>증청(曾靑):석고와 같은 결정 형태인 남동석(藍銅石)이 층으로 된 것으로, 결정은 유리광택이 나고 남청색을 띠며 반투명 혹은 불투명이다.</ref>과 근원이 같다. ‘대록(大綠)’이라 부르기도 한다.<br>
 
 
안 소송(蘇頌)102<ref></ref>은 《도경본초(圖經本草)》에서 “석록은 소주(韶州)와 신주(信州)103<ref></ref>에서 난다. 화공이 녹색을 내기 위해 쓰는 것은 덩어리가 아주 크며, 그중 푸른색과 흰색이 섞인 문양이 있는 것이 사랑스럽다. 신주 사람들은 석록을 쪼개 허리띠나 기물 및 부인의 의복을 치장하는 장신구를 만든다.” 104<ref></ref>라 했다. 범성대의 《계해우형지》에서는 “생석(生石, 가공하지 않은 돌) 가운데 성질이 돌처럼 단단한 것을 ‘석록(石綠)’이라 한다. 다른 종류로 부서진 흙처럼 약하고 무른 것은 ‘니록(泥綠)’이라 하는데, 품질이 가장 안 좋다.” 105<ref></ref>라 했다. 지금 우리나라 사람들이 연경의 시장에서 수입하는 것은 모두 부서진 흙처럼 모래가루가 되니, 돌덩어리를 쪼개 기물을 만든 것은 본 적이 없다. 소송의 설과 같다면 우리나라에 들어오는 것은 모두 니록이지 석록이 아님을 비로소 알겠다.】
+
안 소송(蘇頌)<ref>소송(蘇頌):1020~1101. 북송(北宋) 때 관리이자 천문학자이자 약물학자로, 저서로 《도경본초(圖經本草)》, 《신의상법요(新儀象法要)》 등이 있다.</ref>은 《도경본초(圖經本草)》에서 “석록은 소주(韶州)와 신주(信州)<ref>신주(信州):중국 강서성(江西省) 상요(上饒)에 있는 도시.</ref>에서 난다. 화공이 녹색을 내기 위해 쓰는 것은 덩어리가 아주 크며, 그중 푸른색과 흰색이 섞인 문양이 있는 것이 사랑스럽다. 신주 사람들은 석록을 쪼개 허리띠나 기물 및 부인의 의복을 치장하는 장신구를 만든다.” <ref>《本草圖經》 卷1 <玉石上品> “綠靑”, 7쪽.</ref>라 했다. 범성대의 《계해우형지》에서는 “생석(生石, 가공하지 않은 돌) 가운데 성질이 돌처럼 단단한 것을 ‘석록(石綠)’이라 한다. 다른 종류로 부서진 흙처럼 약하고 무른 것은 ‘니록(泥綠)’이라 하는데, 품질이 가장 안 좋다.” <ref>《桂海虞衡志》 <志金石>.</ref>라 했다. 지금 우리나라 사람들이 연경의 시장에서 수입하는 것은 모두 부서진 흙처럼 모래가루가 되니, 돌덩어리를 쪼개 기물을 만든 것은 본 적이 없다. 소송의 설과 같다면 우리나라에 들어오는 것은 모두 니록이지 석록이 아님을 비로소 알겠다.】<br>
 
 
우안 《대명회전(大明會典)》에 “요사(硇砂) 1근을 태워 요사록(硇砂綠) 15.5냥을 만든다.” 106<ref></ref>는 말이 있으니, 석록과 니록 외에 또 요사록도 있는 것이다.】《본초강목》107<ref></ref>
+
우안 《대명회전(大明會典)》에 “요사(硇砂) 1근을 태워 요사록(硇砂綠) 15.5냥을 만든다.” <ref> 《大明會典》 卷195 <顏料>, 341쪽.</ref>는 말이 있으니, 석록과 니록 외에 또 요사록도 있는 것이다.】《본초강목》<ref> 《本草綱目》 卷10 <金石部> “綠靑”, 597쪽.</ref>
<ref>《임원경제지 섬용지(林園經濟志 贍用志)》 2, 풍석 서유구 지음, 추담 서우보 교정, 임원경제연구소 옮김 (풍석문화재단, 2017), 258쪽.</ref>  
+
<ref>《임원경제지 섬용지(林園經濟志 贍用志)》 2, 풍석 서유구 지음, 추담 서우보 교정, 임원경제연구소 옮김 (풍석문화재단, 2017), 298~299쪽.</ref>  
 +
 
  
  
99 석록:녹색 보석의 하나인 공작석(孔雀石)으로, 아교에 공작석 가루를 섞어 색을 만들어 쓴다.
 
공작석(태백석탄박물관)
 
100 공청(空靑):아연과 알루미늄을 함유한 산화광물로, 짙은 녹색이나 회색을 띤다. 양매청(楊梅靑)이라고도 한다.
 
101 증청(曾靑):석고와 같은 결정 형태인 남동석(藍銅石)이 층으로 된 것으로, 결정은 유리광택이 나고 남청색을 띠며 반투명 혹은 불투명이다.
 
102 소송(蘇頌):1020~1101. 북송(北宋) 때 관리이자 천문학자이자 약물학자로, 저서로 《도경본초(圖經本草)》, 《신의상법요(新儀象法要)》 등이 있다.
 
103 신주(信州):중국 강서성(江西省) 상요(上饒)에 있는 도시.
 
104 《本草圖經》 卷1 <玉石上品> “綠靑”, 7쪽.
 
105 《桂海虞衡志》 <志金石>.
 
106 《大明會典》 卷195 <顏料>, 341쪽.
 
107 《本草綱目》 卷10 <金石部> “綠靑”, 597쪽.
 
 
==각주==
 
==각주==
 
[[분류: 한양도성타임머신]][[분류: Object]] [[분류: 임원경제지]][[분류: 섬용지]] [[분류:임원경제지 섬용지]] [[분류:설색지구(設色之具)]]  [[분류:채색]] [[분류:본초강목]] [[분류:민철기]] [[분류:임원텍스트]]
 
[[분류: 한양도성타임머신]][[분류: Object]] [[분류: 임원경제지]][[분류: 섬용지]] [[분류:임원경제지 섬용지]] [[분류:설색지구(設色之具)]]  [[분류:채색]] [[분류:본초강목]] [[분류:민철기]] [[분류:임원텍스트]]

2020년 12월 3일 (목) 17:18 판

내용

석록(石綠)[1]
석록은 구리 광산에서 나온다. 구리가 자양(紫陽)의 기운을 받으면 녹이 생기고, 녹이 오래되면 돌이 되기 때문에 이를 ‘석록(石綠)’이라 하는데, 공청(空靑)[2]・증청(曾靑)[3]과 근원이 같다. ‘대록(大綠)’이라 부르기도 한다.
【 안 소송(蘇頌)[4]은 《도경본초(圖經本草)》에서 “석록은 소주(韶州)와 신주(信州)[5]에서 난다. 화공이 녹색을 내기 위해 쓰는 것은 덩어리가 아주 크며, 그중 푸른색과 흰색이 섞인 문양이 있는 것이 사랑스럽다. 신주 사람들은 석록을 쪼개 허리띠나 기물 및 부인의 의복을 치장하는 장신구를 만든다.” [6]라 했다. 범성대의 《계해우형지》에서는 “생석(生石, 가공하지 않은 돌) 가운데 성질이 돌처럼 단단한 것을 ‘석록(石綠)’이라 한다. 다른 종류로 부서진 흙처럼 약하고 무른 것은 ‘니록(泥綠)’이라 하는데, 품질이 가장 안 좋다.” [7]라 했다. 지금 우리나라 사람들이 연경의 시장에서 수입하는 것은 모두 부서진 흙처럼 모래가루가 되니, 돌덩어리를 쪼개 기물을 만든 것은 본 적이 없다. 소송의 설과 같다면 우리나라에 들어오는 것은 모두 니록이지 석록이 아님을 비로소 알겠다.】
【 우안 《대명회전(大明會典)》에 “요사(硇砂) 1근을 태워 요사록(硇砂綠) 15.5냥을 만든다.” [8]는 말이 있으니, 석록과 니록 외에 또 요사록도 있는 것이다.】《본초강목》[9] [10]


각주

  1. 석록(石綠):녹색 보석의 하나인 공작석(孔雀石)으로, 아교에 공작석 가루를 섞어 색을 만들어 쓴다.
  2. 공청(空靑):아연과 알루미늄을 함유한 산화광물로, 짙은 녹색이나 회색을 띤다. 양매청(楊梅靑)이라고도 한다.
  3. 증청(曾靑):석고와 같은 결정 형태인 남동석(藍銅石)이 층으로 된 것으로, 결정은 유리광택이 나고 남청색을 띠며 반투명 혹은 불투명이다.
  4. 소송(蘇頌):1020~1101. 북송(北宋) 때 관리이자 천문학자이자 약물학자로, 저서로 《도경본초(圖經本草)》, 《신의상법요(新儀象法要)》 등이 있다.
  5. 신주(信州):중국 강서성(江西省) 상요(上饒)에 있는 도시.
  6. 《本草圖經》 卷1 <玉石上品> “綠靑”, 7쪽.
  7. 《桂海虞衡志》 <志金石>.
  8. 《大明會典》 卷195 <顏料>, 341쪽.
  9. 《本草綱目》 卷10 <金石部> “綠靑”, 597쪽.
  10. 《임원경제지 섬용지(林園經濟志 贍用志)》 2, 풍석 서유구 지음, 추담 서우보 교정, 임원경제연구소 옮김 (풍석문화재단, 2017), 298~299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