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운지:임원에서 즐기는 청아한 즐길거리(상):금ㆍ검:진의 품등"의 두 판 사이의 차이

pungseok
이동: 둘러보기, 검색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내용==
 
==내용==
 +
<strong>3) 진의 품등[軫品]</strong><br/>
 
옥으로 만든 진은 화려하게 만들지 않는다. 꽃무늬가 새겨져 있으면 쉽게 돌릴 수 있으며 수수하면 때를 타지 않는다. 자단(紫檀)이나 무소뿔로 만든 진도 좋다. 《동천금록(洞天琴錄)<ref>동천금록(洞天琴錄):중국 송나라의 문인 조희곡(趙希鵠, 1170~1242)이 금에 대해 기록한 서적. 그 내용 중 일부가 《동천청록(洞天淸祿)》에 수록되어 있다.
 
옥으로 만든 진은 화려하게 만들지 않는다. 꽃무늬가 새겨져 있으면 쉽게 돌릴 수 있으며 수수하면 때를 타지 않는다. 자단(紫檀)이나 무소뿔로 만든 진도 좋다. 《동천금록(洞天琴錄)<ref>동천금록(洞天琴錄):중국 송나라의 문인 조희곡(趙希鵠, 1170~1242)이 금에 대해 기록한 서적. 그 내용 중 일부가 《동천청록(洞天淸祿)》에 수록되어 있다.
</ref>》<ref>출전 확인 안 됨; 《遵生八牋》 卷15 〈燕閒清賞牋〉 中 “論文房器具” ‘琴窓雜説’(《遵生八牋校注》, 608쪽).</ref><br/>
+
</ref>》<ref>출전 확인 안 됨; 《遵生八牋》 卷15 〈燕閒清賞牋〉 中 “論文房器具” ‘琴窓雜説’(《遵生八牋校注》, 608쪽).</ref><ref>《임원경제지 이운지(林園經濟志 怡雲志)》 1, 풍석 서유구 지음, 추담 서우보 교정, 임원경제연구소 옮김 (풍석문화재단, 2019), 411쪽. </ref><br/><br/>
 
[[파일:금의 밑판과 측면.png|섬네일|300픽셀|금의 밑판과 측면(《칠현금경(七絃琴經)》)|왼쪽]] <br/><br/><br/><br/>
 
[[파일:금의 밑판과 측면.png|섬네일|300픽셀|금의 밑판과 측면(《칠현금경(七絃琴經)》)|왼쪽]] <br/><br/><br/><br/>
  
7번째 줄: 8번째 줄:
 
==각주==
 
==각주==
  
[[분류:한양도성타임머신]][[분류: object]][[분류:임원경제지]][[분류:이운지]][[분류:]][[분류:임원에서 즐기는 청아한 즐길거리(상)]][[분류:임원경제지 이운지]][[분류:김용미]]
+
[[분류:한양도성타임머신]][[분류: object]][[분류:임원에서 즐기는 청아한 즐길거리(상)]][[분류:금ㆍ검]][[분류:현금]][[분류:산재청공(상)]][[분류:임원경제지]][[분류:이운지]][[분류:임원경제지 이운지]][[분류:동천금록]][[분류:준생팔전교주]][[분류:김용미]][[분류:임원텍스트]]

2020년 11월 24일 (화) 10:46 기준 최신판

내용

3) 진의 품등[軫品]
옥으로 만든 진은 화려하게 만들지 않는다. 꽃무늬가 새겨져 있으면 쉽게 돌릴 수 있으며 수수하면 때를 타지 않는다. 자단(紫檀)이나 무소뿔로 만든 진도 좋다. 《동천금록(洞天琴錄)[1][2][3]

금의 밑판과 측면(《칠현금경(七絃琴經)》)





진과 진함 단면도


각주

  1. 동천금록(洞天琴錄):중국 송나라의 문인 조희곡(趙希鵠, 1170~1242)이 금에 대해 기록한 서적. 그 내용 중 일부가 《동천청록(洞天淸祿)》에 수록되어 있다.
  2. 출전 확인 안 됨; 《遵生八牋》 卷15 〈燕閒清賞牋〉 中 “論文房器具” ‘琴窓雜説’(《遵生八牋校注》, 608쪽).
  3. 《임원경제지 이운지(林園經濟志 怡雲志)》 1, 풍석 서유구 지음, 추담 서우보 교정, 임원경제연구소 옮김 (풍석문화재단, 2019), 411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