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용지:복식 도구:옷과 갖옷:휘항"의 두 판 사이의 차이

pungseok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휘항(휘양)<ref>휘항(휘양):겨울에 쓰던 모자의 하나로, 호항(護項)・풍령(風領)이라고도 한다. 정수리 부분은 뚫렸고, 어깨까지 덮을 수...)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4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휘항(휘양)<ref>휘항(휘양):겨울에 쓰던 모자의 하나로, 호항(護項)・풍령(風領)이라고도 한다. 정수리 부분은 뚫렸고, 어깨까지 덮을 수 있는 길이이다. 얼굴만 내놓는데, 앞쪽에 끈이 있어 앞쪽에서 여민다. 주로 남자들이나 상류층 노인이 착용했으며, 재료를 달리하여 군용으로도 사용했다.</ref>==
+
==내용==
휘항은 앞으로는 이마와 뺨을 보호하고 뒤로는 어깨와 등을 덮어 준다. 담비휘항을 상급으로 치고 쥐가죽휘항을 그다음으로 친다. 담비꼬리털로 사방의 가장자리에 가선을 대기도 하는데, 이렇게 하면 바람이나 추위를 막는 데 최고이다. 자색이나 흑색의 초(綃)나 단(緞)을 함께 써서 겉을 댄다. 봄가을에는 담비나 쥐를 쓰지 않고 초(綃)나 단(緞)만을 겹으로 해서 만드는데, 이를 ‘양휘항(涼揮項)’이라 한다.《금화경독기》<br/><br/>
+
<strong>11) 휘항(揮項, 휘양)<ref>휘항(揮項, 휘양):겨울에 쓰던 모자의 하나로, 호항(護項)・풍령(風領)이라고도 한다. 정수리 부분은 뚫렸고, 어깨까지 덮을 수 있는 길이이다. 얼굴만 내놓는데, 앞쪽에 끈이 있어 앞쪽에서 여민다. 주로 남자들이나 상류층 노인이 착용했으며, 재료를 달리하여 군용으로도 사용했다.</ref></strong><br/>
 +
휘항은 앞으로는 이마와 뺨을 보호하고 뒤로는 어깨와 등을 덮어 준다. 담비휘항을 상급으로 치고 쥐가죽휘항을 그다음으로 친다. 담비꼬리털로 사방의 가장자리에 가선을 대기도 하는데, 이렇게 하면 바람이나 추위를 막는 데 최고이다. 자색이나 흑색의 초(綃)나 단(緞)을 함께 써서 겉을 댄다. 봄가을에는 담비나 쥐를 쓰지 않고 초(綃)나 단(緞)만을 겹으로 해서 만드는데, 이를 ‘양휘항(涼揮項)’이라 한다.《금화경독기》<ref>《임원경제지 섬용지(林園經濟志 贍用志)》 2, 풍석 서유구 지음, 추담 서우보 교정, 임원경제연구소 옮김 (풍석문화재단, 2016), 114~115쪽. </ref><br/><br/><br/>
 +
==각주==
  
[[분류:한양도성타임머신]][[분류: clothing]][[분류:clothing-복식]][[분류:옷과 갖옷]][[분류:임원경제지-섬용지]][[분류:김용미]]
+
[[분류:한양도성타임머신]][[분류: clothing]][[분류:복식 도구]][[분류:옷과 갖옷]][[분류:휘항]][[분류:임원경제지]][[분류:섬용지]][[분류:임원경제지 섬용지]][[분류:금화경독기]][[분류:김용미]][[분류:임원텍스트]]

2020년 11월 23일 (월) 17:05 기준 최신판

내용

11) 휘항(揮項, 휘양)[1]
휘항은 앞으로는 이마와 뺨을 보호하고 뒤로는 어깨와 등을 덮어 준다. 담비휘항을 상급으로 치고 쥐가죽휘항을 그다음으로 친다. 담비꼬리털로 사방의 가장자리에 가선을 대기도 하는데, 이렇게 하면 바람이나 추위를 막는 데 최고이다. 자색이나 흑색의 초(綃)나 단(緞)을 함께 써서 겉을 댄다. 봄가을에는 담비나 쥐를 쓰지 않고 초(綃)나 단(緞)만을 겹으로 해서 만드는데, 이를 ‘양휘항(涼揮項)’이라 한다.《금화경독기》[2]


각주

  1. 휘항(揮項, 휘양):겨울에 쓰던 모자의 하나로, 호항(護項)・풍령(風領)이라고도 한다. 정수리 부분은 뚫렸고, 어깨까지 덮을 수 있는 길이이다. 얼굴만 내놓는데, 앞쪽에 끈이 있어 앞쪽에서 여민다. 주로 남자들이나 상류층 노인이 착용했으며, 재료를 달리하여 군용으로도 사용했다.
  2. 《임원경제지 섬용지(林園經濟志 贍用志)》 2, 풍석 서유구 지음, 추담 서우보 교정, 임원경제연구소 옮김 (풍석문화재단, 2016), 114~115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