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운지:서재의 고상한 벗들(하):종이:여러 색종이 만드는 법:접시꽃색종이 만드는 법"의 두 판 사이의 차이

pungseok
이동: 둘러보기, 검색
1번째 줄: 1번째 줄:
 
==내용==
 
==내용==
<strong>접시꽃색종이(규전) 만드는 법</strong><br/>
+
<strong>9-8) 접시꽃색종이(규전) 만드는 법</strong><br/>
 
접시꽃색종이(규전) 만드는 법:5~6월에 접시꽃
 
접시꽃색종이(규전) 만드는 법:5~6월에 접시꽃
 
이파리를 이슬과 합하여 딴 다음 흐물흐물하게 찧어
 
이파리를 이슬과 합하여 딴 다음 흐물흐물하게 찧어
8번째 줄: 8번째 줄:
 
꽃무늬를 만들기도 하고, 무늬 없이 쓰기도 한다.
 
꽃무늬를 만들기도 하고, 무늬 없이 쓰기도 한다.
 
종이의 색은 녹색을 띠어 사람의 마음에 드는 데다
 
종이의 색은 녹색을 띠어 사람의 마음에 드는 데다
가 접시꽃이 해를 향하려 하듯이 은자가 해를 향하려 하는 은미한 뜻까지 품고 있다. 《쾌설당만록》<ref>출전 확인 안 됨;《遵生八牋》 卷15 〈燕閑淸賞牋〉 中 “論紙” ‘造葵牋法’(《遵生八牋校注》, 577쪽).</ref><ref>《임원경제지 이운지(林園經濟志 怡雲志)》 2, 풍석 서유구 지음, 추담 서우보 교정, 임원경제연구소 옮김 (풍석문화재단, 2019), 255쪽. </ref><br/><br/>
+
가 접시꽃이 해를 향하려 하듯이 은자가 해를 향하려 하는 은미한 뜻까지 품고 있다. 《쾌설당만록》<ref>출전 확인 안 됨;《遵生八牋》 卷15 〈燕閑淸賞牋〉 中 “論紙” ‘造葵牋法’(《遵生八牋校注》, 577쪽).</ref><ref>《임원경제지 이운지(林園經濟志 怡雲志)》 2, 풍석 서유구 지음, 추담 서우보 교정, 임원경제연구소 옮김 (풍석문화재단, 2019), 255쪽. </ref><br/><ref>《임원경제지 이운지(林園經濟志 怡雲志)》 2, 풍석 서유구 지음, 추담 서우보 교정, 임원경제연구소 옮김 (풍석문화재단, 2019), 255쪽. </ref><br/><br/>
 
==각주==
 
==각주==
  
 
[[분류:한양도성타임머신]][[분류: object]][[분류:임원경제지]][[분류:이운지]][[분류:서재의 고상한 벗들(하)]][[분류:문방아제(하)]][[분류:종이]][[분류:여러 색종이 만드는 법]][[분류:접시꽃색종이 만드는 법]][[분류:임원경제지 이운지]][[분류:쾌설당만록]][[분류:준생팔전교주]][[분류:김용미]][[분류:임원텍스트]]
 
[[분류:한양도성타임머신]][[분류: object]][[분류:임원경제지]][[분류:이운지]][[분류:서재의 고상한 벗들(하)]][[분류:문방아제(하)]][[분류:종이]][[분류:여러 색종이 만드는 법]][[분류:접시꽃색종이 만드는 법]][[분류:임원경제지 이운지]][[분류:쾌설당만록]][[분류:준생팔전교주]][[분류:김용미]][[분류:임원텍스트]]

2020년 10월 29일 (목) 14:14 판

내용

9-8) 접시꽃색종이(규전) 만드는 법
접시꽃색종이(규전) 만드는 법:5~6월에 접시꽃 이파리를 이슬과 합하여 딴 다음 흐물흐물하게 찧어 즙을 낸다. 여기에 어린 백록지(白鹿紙) 가운데 튼튼하고 두꺼운 것을 층층이 접시꽃즙에 넣은 뒤, 운모 【고운 가루】·명반 【아주 조금】을 약간 넣어 고루 섞고, 큰 동이 속에 담는다. 종이를 여기에 넣고 염색한 다음 걸어놓고 말린다. 간혹 이 종이를 문질러 꽃무늬를 만들기도 하고, 무늬 없이 쓰기도 한다. 종이의 색은 녹색을 띠어 사람의 마음에 드는 데다 가 접시꽃이 해를 향하려 하듯이 은자가 해를 향하려 하는 은미한 뜻까지 품고 있다. 《쾌설당만록》[1][2]
[3]

각주

  1. 출전 확인 안 됨;《遵生八牋》 卷15 〈燕閑淸賞牋〉 中 “論紙” ‘造葵牋法’(《遵生八牋校注》, 577쪽).
  2. 《임원경제지 이운지(林園經濟志 怡雲志)》 2, 풍석 서유구 지음, 추담 서우보 교정, 임원경제연구소 옮김 (풍석문화재단, 2019), 255쪽.
  3. 《임원경제지 이운지(林園經濟志 怡雲志)》 2, 풍석 서유구 지음, 추담 서우보 교정, 임원경제연구소 옮김 (풍석문화재단, 2019), 255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