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운지:임원에서 즐기는 청아한 즐길거리(상):금ㆍ검:금의 십우"의 두 판 사이의 차이

pungseok
이동: 둘러보기, 검색
1번째 줄: 1번째 줄:
 
==내용==
 
==내용==
<strong>금(琴)의 십우(十友, 열 친구)</strong><br/>
+
<strong>17) 금(琴)의 십우(十友, 열 친구)</strong><br/>
 
빙현(氷絃)·옥진(玉軫, 옥으로 만든 진)·진함(軫函)》<ref>진함(軫函):금의 좌단 아래, 진을 상자 모양으로 에워싼 부분.</ref>
 
빙현(氷絃)·옥진(玉軫, 옥으로 만든 진)·진함(軫函)》<ref>진함(軫函):금의 좌단 아래, 진을 상자 모양으로 에워싼 부분.</ref>
·옥족(玉足, 옥으로 만든 봉족)·융두(絨剅)》<ref>융두(絨剅):비단을 꼬아 진(軫)에 묶고 현을 연결하는 실. 융두와 현을 맬 때는 현으로 나비 모양의 매듭인 호접(蝴蝶)을 묶어 융두와 연결한다.</ref>·금천(琴薦)》<ref>금천(琴薦):금(琴) 아래에 까는 2장의 깔개. 1장은 금의 머리 아래에 깔고, 1장은 꼬리 쪽 봉족 아래에 깐다.</ref>·금낭(錦囊)》<ref>금낭(錦囊):금을 운반할 때, 금을 넣어 두는 비단 주머니.</ref>·금상(琴牀)》<ref>금상(琴牀):연주시에 금을 올려놓는 평상. 뒤의 ‘금안(琴案)’ 참조.</ref>·금갑(琴匣)·체지(替指)》<ref>체지(替指):금을 탈 때 손톱에 끼우는 가조(假爪).</ref> 【체지는 학의 깃으로 만드는데, 불로 지져서 만든다.】. 이것은 주권(朱權)<ref>주권(朱權):1378~1448. 중국 명(明)나라 태조 주원장(朱元璋)의 16째(일설에는 17째) 왕자 영헌왕(寧獻王). 음악에 통달하고 특히 잡극과 금(琴)에 능하여, 《신기비보(神奇秘譜)》 등의 금곡집을 남겼다. 《임원경제지 이운지》의 앞 권인 《임원경제지 유예지》 〈당금자보〉에 있는 금 연습곡은 주권의 이름에 가탁(假托)한 것이다.</ref>이 만든 것이다. 《동천금록》<ref>출전 확인 안 됨; 《遵生八牋》 卷15 〈燕閑淸賞箋〉 中 “論琴” ‘臞仙琴壇十友’(《遵生八牋校注》, 602~603쪽).</ref><br/>
+
·옥족(玉足, 옥으로 만든 봉족)·융두(絨剅)》<ref>융두(絨剅):비단을 꼬아 진(軫)에 묶고 현을 연결하는 실. 융두와 현을 맬 때는 현으로 나비 모양의 매듭인 호접(蝴蝶)을 묶어 융두와 연결한다.</ref>·금천(琴薦)》<ref>금천(琴薦):금(琴) 아래에 까는 2장의 깔개. 1장은 금의 머리 아래에 깔고, 1장은 꼬리 쪽 봉족 아래에 깐다.</ref>·금낭(錦囊)》<ref>금낭(錦囊):금을 운반할 때, 금을 넣어 두는 비단 주머니.</ref>·금상(琴牀)》<ref>금상(琴牀):연주시에 금을 올려놓는 평상. 뒤의 ‘금안(琴案)’ 참조.</ref>·금갑(琴匣)·체지(替指)》<ref>체지(替指):금을 탈 때 손톱에 끼우는 가조(假爪).</ref> 【체지는 학의 깃으로 만드는데, 불로 지져서 만든다.】. 이것은 주권(朱權)<ref>주권(朱權):1378~1448. 중국 명(明)나라 태조 주원장(朱元璋)의 16째(일설에는 17째) 왕자 영헌왕(寧獻王). 음악에 통달하고 특히 잡극과 금(琴)에 능하여, 《신기비보(神奇秘譜)》 등의 금곡집을 남겼다. 《임원경제지 이운지》의 앞 권인 《임원경제지 유예지》 〈당금자보〉에 있는 금 연습곡은 주권의 이름에 가탁(假托)한 것이다.</ref>이 만든 것이다. 《동천금록》<ref>출전 확인 안 됨; 《遵生八牋》 卷15 〈燕閑淸賞箋〉 中 “論琴” ‘臞仙琴壇十友’(《遵生八牋校注》, 602~603쪽).</ref><ref>《임원경제지 이운지(林園經濟志 怡雲志)》 1, 풍석 서유구 지음, 추담 서우보 교정, 임원경제연구소 옮김 (풍석문화재단, 2019), 439~440쪽. </ref><br/><br/>
  
 
[[파일:금진과 용두.jpg|300픽셀|섬네일|금진과 융두|왼쪽]]  
 
[[파일:금진과 용두.jpg|300픽셀|섬네일|금진과 융두|왼쪽]]  
8번째 줄: 8번째 줄:
 
[[파일:융두와 현이 이어지는 모습(《칠현금경》).jpg|300픽셀|섬네일|융두와 현이 이어지는 모습(《칠현금경》)|오른쪽]]<br/>
 
[[파일:융두와 현이 이어지는 모습(《칠현금경》).jpg|300픽셀|섬네일|융두와 현이 이어지는 모습(《칠현금경》)|오른쪽]]<br/>
 
==각주==
 
==각주==
[[분류:한양도성타임머신]][[분류: object]][[분류:object-악기]][[분류:금ㆍ검]][[분류:금의 십우]][[분류:임원에서 즐기는 청아한 즐길거리(상)]][[분류:임원경제지-이운지]][[분류:김용미]]
+
[[분류:한양도성타임머신]][[분류: object]][[분류:임원에서 즐기는 청아한 즐길거리]][[분류:금ㆍ검]][[분류:현금]][[분류:산재청공(상)]][[분류:임원경제지]][[분류:이운지]][[분류:임원경제지 이운지]][[분류:동천금록]][[분류:준생팔전교주]][[분류:김용미]][[분류:임원사전]]

2020년 10월 28일 (수) 11:25 판

내용

17) 금(琴)의 십우(十友, 열 친구)
빙현(氷絃)·옥진(玉軫, 옥으로 만든 진)·진함(軫函)》[1] ·옥족(玉足, 옥으로 만든 봉족)·융두(絨剅)》[2]·금천(琴薦)》[3]·금낭(錦囊)》[4]·금상(琴牀)》[5]·금갑(琴匣)·체지(替指)》[6] 【체지는 학의 깃으로 만드는데, 불로 지져서 만든다.】. 이것은 주권(朱權)[7]이 만든 것이다. 《동천금록》[8][9]

금진과 융두
거문고 뒤판의 융두(《칠현금경》)
융두와 현이 이어지는 모습(《칠현금경》)


각주

  1. 진함(軫函):금의 좌단 아래, 진을 상자 모양으로 에워싼 부분.
  2. 융두(絨剅):비단을 꼬아 진(軫)에 묶고 현을 연결하는 실. 융두와 현을 맬 때는 현으로 나비 모양의 매듭인 호접(蝴蝶)을 묶어 융두와 연결한다.
  3. 금천(琴薦):금(琴) 아래에 까는 2장의 깔개. 1장은 금의 머리 아래에 깔고, 1장은 꼬리 쪽 봉족 아래에 깐다.
  4. 금낭(錦囊):금을 운반할 때, 금을 넣어 두는 비단 주머니.
  5. 금상(琴牀):연주시에 금을 올려놓는 평상. 뒤의 ‘금안(琴案)’ 참조.
  6. 체지(替指):금을 탈 때 손톱에 끼우는 가조(假爪).
  7. 주권(朱權):1378~1448. 중국 명(明)나라 태조 주원장(朱元璋)의 16째(일설에는 17째) 왕자 영헌왕(寧獻王). 음악에 통달하고 특히 잡극과 금(琴)에 능하여, 《신기비보(神奇秘譜)》 등의 금곡집을 남겼다. 《임원경제지 이운지》의 앞 권인 《임원경제지 유예지》 〈당금자보〉에 있는 금 연습곡은 주권의 이름에 가탁(假托)한 것이다.
  8. 출전 확인 안 됨; 《遵生八牋》 卷15 〈燕閑淸賞箋〉 中 “論琴” ‘臞仙琴壇十友’(《遵生八牋校注》, 602~603쪽).
  9. 《임원경제지 이운지(林園經濟志 怡雲志)》 1, 풍석 서유구 지음, 추담 서우보 교정, 임원경제연구소 옮김 (풍석문화재단, 2019), 439~440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