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용지:일상생활에 필요한 도구:가리거나 막는 여러 도구:병풍"의 두 판 사이의 차이

pungseok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내용== <ref>《임원경제지 섬용지(林園經濟志 贍用志)》 2, 풍석 서유구 지음, 추담 서우보 교정, 임원경제연구소 옮김 (풍석문화재단, 2017...)
 
1번째 줄: 1번째 줄:
 
==내용==
 
==내용==
 
+
1) 병풍[屛]<ref>병풍:바람을 막거나 가리기 위해, 또는 장식용으로 방 안에 치는 물건. 직사각형으로 짠 나무틀에 종이를 바르고 그림이나 글씨를 붙이기도 하고 직물 그 자체만으로 꾸며, 접었다 폈다 할 수 있게 만든다.
 +
<br> 그림 삽일 예정 : 조선 책가도(冊架圖) 8폭 병풍(국립민속박물관) 접은 병풍(국립민속박물관)</ref> <br>
 +
우리나라 병풍 제도는 처음에 일본에서 들어왔는데, 지금은 팔도에 두루 퍼졌다. 화려하게 만드는 사람들은 문양 없이 견(絹) 그대로를 바탕으로 하고 능(綾)이나 단(緞)으로 가선 마감[贉]<ref>가선 마감[贉]:병풍이나 방장 등 기물의 가장자리를 깨끗하게 정리하기 위해 비단을 덧대서 마무리하는 것.</ref>하며 옛사람의 시문(詩文)을 쓰거나 산수(山水), 새나 짐승, 꽃과 나무, 누각 같은 종류를 그리기도 한다. 나이 드신 부모나 어른을 모시면
 
<ref>《임원경제지 섬용지(林園經濟志 贍用志)》 2, 풍석 서유구 지음, 추담 서우보 교정, 임원경제연구소 옮김 (풍석문화재단, 2017), 242쪽.</ref>  
 
<ref>《임원경제지 섬용지(林園經濟志 贍用志)》 2, 풍석 서유구 지음, 추담 서우보 교정, 임원경제연구소 옮김 (풍석문화재단, 2017), 242쪽.</ref>  
  

2020년 10월 27일 (화) 17:11 판

내용

1) 병풍[屛][1]
우리나라 병풍 제도는 처음에 일본에서 들어왔는데, 지금은 팔도에 두루 퍼졌다. 화려하게 만드는 사람들은 문양 없이 견(絹) 그대로를 바탕으로 하고 능(綾)이나 단(緞)으로 가선 마감[贉][2]하며 옛사람의 시문(詩文)을 쓰거나 산수(山水), 새나 짐승, 꽃과 나무, 누각 같은 종류를 그리기도 한다. 나이 드신 부모나 어른을 모시면 [3]


각주

  1. 병풍:바람을 막거나 가리기 위해, 또는 장식용으로 방 안에 치는 물건. 직사각형으로 짠 나무틀에 종이를 바르고 그림이나 글씨를 붙이기도 하고 직물 그 자체만으로 꾸며, 접었다 폈다 할 수 있게 만든다.
    그림 삽일 예정 : 조선 책가도(冊架圖) 8폭 병풍(국립민속박물관) 접은 병풍(국립민속박물관)
  2. 가선 마감[贉]:병풍이나 방장 등 기물의 가장자리를 깨끗하게 정리하기 위해 비단을 덧대서 마무리하는 것.
  3. 《임원경제지 섬용지(林園經濟志 贍用志)》 2, 풍석 서유구 지음, 추담 서우보 교정, 임원경제연구소 옮김 (풍석문화재단, 2017), 242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