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용지:복식 도구:쓰개:와룡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pungseok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와룡관<ref>와룡관:다발처럼 좌우로 퍼지면서 세로로 골이 진 검은색 관으로, 제갈량이 자주 착용해 ‘와룡관’이라 한다. 초상화의 사...)
 
1번째 줄: 1번째 줄:
==와룡관<ref>와룡관:다발처럼 좌우로 퍼지면서 세로로 골이 진 검은색 관으로, 제갈량이 자주 착용해 ‘와룡관’이라 한다. 초상화의 사례를 볼 때 다른 관모류에 비해 착용도가 낮은 편이다.</ref>==
+
==내용==
 +
<strong>와룡관<ref>와룡관:다발처럼 좌우로 퍼지면서 세로로 골이 진 검은색 관으로, 제갈량이 자주 착용해 ‘와룡관’이라 한다. 초상화의 사례를 볼 때 다른 관모류에 비해 착용도가 낮은 편이다.</ref></strong><br/>
 
와룡관은 ‘윤건(綸巾)’이라고도 하고 ‘제갈건(諸葛巾)’이라고도 한다. 제갈무후(諸葛武侯)<ref>제갈무후(諸葛武侯):중국 삼국시대 촉한(蜀漢)의 정치가이자 전략가인 제갈량(諸葛亮, 181~234)을 말한다. 자는 공명(孔明)이고, 시호는 충무(忠武)이다.</ref>가 일찍이 이 건을 썼기 때문에 그로 인해 ‘제갈건’이라 이름하였다. 우리나라 사람들은 그 제도를 본받아 대오리로 짜서 만들기도 하고 말총을 엮어 만들기도 한다.《금화경독기》 <br/><br/>  
 
와룡관은 ‘윤건(綸巾)’이라고도 하고 ‘제갈건(諸葛巾)’이라고도 한다. 제갈무후(諸葛武侯)<ref>제갈무후(諸葛武侯):중국 삼국시대 촉한(蜀漢)의 정치가이자 전략가인 제갈량(諸葛亮, 181~234)을 말한다. 자는 공명(孔明)이고, 시호는 충무(忠武)이다.</ref>가 일찍이 이 건을 썼기 때문에 그로 인해 ‘제갈건’이라 이름하였다. 우리나라 사람들은 그 제도를 본받아 대오리로 짜서 만들기도 하고 말총을 엮어 만들기도 한다.《금화경독기》 <br/><br/>  
 +
==각주==
  
[[분류:한양도성타임머신]][[분류: clothing]][[분류:clothing-복식]][[분류:쓰개]][[분류:임원경제지-섬용지]][[분류:김용미]]
+
[[분류:한양도성타임머신]][[분류: clothing]][[분류:복식 도구]][[분류:쓰개]][[분류:와룡관]][[분류:임원경제지]][[분류:섬용지]][[분류:임원경제지 섬용지]][[분류:금화경독기]][[분류:김용미]][[분류:임원텍스트]]

2020년 10월 23일 (금) 11:22 판

내용

와룡관[1]
와룡관은 ‘윤건(綸巾)’이라고도 하고 ‘제갈건(諸葛巾)’이라고도 한다. 제갈무후(諸葛武侯)[2]가 일찍이 이 건을 썼기 때문에 그로 인해 ‘제갈건’이라 이름하였다. 우리나라 사람들은 그 제도를 본받아 대오리로 짜서 만들기도 하고 말총을 엮어 만들기도 한다.《금화경독기》

각주

  1. 와룡관:다발처럼 좌우로 퍼지면서 세로로 골이 진 검은색 관으로, 제갈량이 자주 착용해 ‘와룡관’이라 한다. 초상화의 사례를 볼 때 다른 관모류에 비해 착용도가 낮은 편이다.
  2. 제갈무후(諸葛武侯):중국 삼국시대 촉한(蜀漢)의 정치가이자 전략가인 제갈량(諸葛亮, 181~234)을 말한다. 자는 공명(孔明)이고, 시호는 충무(忠武)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