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용지:일상생활에 필요한 도구:와구(누울 때 쓰는 도구):침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8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내용== | ==내용== | ||
− | 1) 침대 [臥牀] <ref>침대[臥牀]:사람이 누워 잠을 자거나 쉬기 위해 만든 가구.</ref> <br>우리나라 사람들은 바닥에 자리를 깔고 앉거나 눕기를 좋아한다. 옛날에 잠자리가 | + | 1) 침대 [臥牀] <ref>침대[臥牀]:사람이 누워 잠을 자거나 쉬기 위해 만든 가구.</ref> <br>우리나라 사람들은 바닥에 자리를 깔고 앉거나 눕기를 좋아한다. 옛날에 잠자리가 마룻널이었을 때만 해도 오히려 눅눅함을 심하게 끌어오는 데까지 이르지는 않았다. 하지만 근세에는 온돌방에서 익숙하게 살면서도 온돌을 만들 줄 몰라 전부 흙과 돌만을 쓴다. 그랬다가 아궁이의 재가 갑자기 식기라도 하면 흙과 돌 위에서 자는 것과 무엇이 다르겠는가? 산추(疝墜)<ref>산추(疝墜):《인제지》 권11 <내외겸인> “산기”;《섬용지》 권3 <복식 도구> “옷과 갖옷” ‘털버선’ 참조 바람.</ref>나 편사(偏死)<ref>편사(偏死):습한 데서 자서 허리에 병이 생겨 반신불수가 되는 것. 《인제지》 권4 <외인> “중풍” ‘형증’ 을 참조 바람. |
− | </ref> 등의 질병이 모두 차가운 데서 자는 탓에 | + | </ref> 등의 질병이 모두 차가운 데서 자는 탓에 발생하니, 중국의 제도를 본받아 의자에 앉고, 평상 에 누워야 한다.<br> 침대는 일본에서 만든 옻칠하고 금가루를 뿌린 것이 좋다. 다만 네 다리가 너무 높아 여름철에 벼룩이나 지네를 피하기에는 이롭겠지만, 겨울에는 온기를 얻을 수 없다. 그래서 나는 요즘 민간에서 말하는 평상(平牀)의 제도를 쓰되 약간 변통하고자 한다.【지금 민간에는 더러 나무로 만든 와상이 있다. 그 제도는 다음과 같다. 사방의 와상틀 안에 창살 모양처럼 납작하면서도 작은 나무막대를 가로로 설치하는데, 이를 ‘상살[牀矢]’이라 한다. 이렇게 만든 네모난 와상틀 2개를 잇대어 깔아 하나의 와상이 되게 한다. 그러나 다만 여름철에 쓰면 “벼룩이나 지네를 피할 수 있다.”라 했으나, 벼룩이나 지네가 와상 위로 기어 올라오지 않은 적이 없다. 또 겨울철에 쓰면 “온기를 차단한다.”고 하여 와상 쓰기를 몹시 꺼리나, 부뚜막에 불을 때면 온기가 데워지면서 뚫고 올라오기 때문에 평상이 온기를 차단하지 않음을 전혀 모르는 것이다.】 <br>사방의 와상틀은 가래나무나 느릅나무로 만들되 자단색5으로 물들이고, 밖으로 드러나는 곳에 는 번개무늬(뇌문)를 새긴다. 상살을 설치할 때 는 반드시 틀의 전[唇] 안으로 0.02~0.03척 낮게 들어오게 하고, 상살 위에는 누렇게 기름 먹인 전 후지 1겹을 풀로 붙인다. 전후지 위에는 모전[氈] 2~3겹을 깔아서 윗부분이 와상틀의 아가리와 높이가 나란히 되게 만든다.【모전은 그 품질의 곱고 거침을 가리지 않고, 다만 와상틀의 아가리 안쪽의 길이와 너비를 맞추어서 마름질해 붙인다. 모전이 2~3겹이든 4~5겹이든 반드시 와상틀의 전[唇]과 평평하고 나란하게 해야 한다.】 네모난 와상틀 2개를 나란히 잇대어 하나의 와상이 되게 하고, 그 위에는 방로(氆氌)나 구유(氍毹) 등을 깔아 잇댄 흔적을 가린다. 여름에는 방로나 구유 대신에 등나무자리[藤簟]를 깐다.《금화경독기》<ref>《임원경제지 섬용지(林園經濟志 贍用志)》 2, 풍석 서유구 지음, 추담 서우보 교정, 임원경제연구소 옮김 (풍석문화재단, 2017), 213~215쪽.</ref> |
==각주== | ==각주== | ||
− | [[분류: 한양도성타임머신]][[분류: Object]] [[분류: 임원경제지]][[분류: 섬용지]] [[분류:임원경제지 섬용지]] [[분류:기거지구(起居之具)]] [[분류:와구(臥具)]] [[분류:금화경독기]] [[분류:민철기]] | + | [[분류: 한양도성타임머신]][[분류: Object]] [[분류: 임원경제지]][[분류: 섬용지]] [[분류:임원경제지 섬용지]] [[분류:기거지구(起居之具)]] [[분류:와구(臥具)]] [[분류:금화경독기]] [[분류:민철기]] [[분류:임원텍스트]] |
2020년 10월 21일 (수) 17:33 기준 최신판
내용
1) 침대 [臥牀] [1]
우리나라 사람들은 바닥에 자리를 깔고 앉거나 눕기를 좋아한다. 옛날에 잠자리가 마룻널이었을 때만 해도 오히려 눅눅함을 심하게 끌어오는 데까지 이르지는 않았다. 하지만 근세에는 온돌방에서 익숙하게 살면서도 온돌을 만들 줄 몰라 전부 흙과 돌만을 쓴다. 그랬다가 아궁이의 재가 갑자기 식기라도 하면 흙과 돌 위에서 자는 것과 무엇이 다르겠는가? 산추(疝墜)[2]나 편사(偏死)[3] 등의 질병이 모두 차가운 데서 자는 탓에 발생하니, 중국의 제도를 본받아 의자에 앉고, 평상 에 누워야 한다.
침대는 일본에서 만든 옻칠하고 금가루를 뿌린 것이 좋다. 다만 네 다리가 너무 높아 여름철에 벼룩이나 지네를 피하기에는 이롭겠지만, 겨울에는 온기를 얻을 수 없다. 그래서 나는 요즘 민간에서 말하는 평상(平牀)의 제도를 쓰되 약간 변통하고자 한다.【지금 민간에는 더러 나무로 만든 와상이 있다. 그 제도는 다음과 같다. 사방의 와상틀 안에 창살 모양처럼 납작하면서도 작은 나무막대를 가로로 설치하는데, 이를 ‘상살[牀矢]’이라 한다. 이렇게 만든 네모난 와상틀 2개를 잇대어 깔아 하나의 와상이 되게 한다. 그러나 다만 여름철에 쓰면 “벼룩이나 지네를 피할 수 있다.”라 했으나, 벼룩이나 지네가 와상 위로 기어 올라오지 않은 적이 없다. 또 겨울철에 쓰면 “온기를 차단한다.”고 하여 와상 쓰기를 몹시 꺼리나, 부뚜막에 불을 때면 온기가 데워지면서 뚫고 올라오기 때문에 평상이 온기를 차단하지 않음을 전혀 모르는 것이다.】
사방의 와상틀은 가래나무나 느릅나무로 만들되 자단색5으로 물들이고, 밖으로 드러나는 곳에 는 번개무늬(뇌문)를 새긴다. 상살을 설치할 때 는 반드시 틀의 전[唇] 안으로 0.02~0.03척 낮게 들어오게 하고, 상살 위에는 누렇게 기름 먹인 전 후지 1겹을 풀로 붙인다. 전후지 위에는 모전[氈] 2~3겹을 깔아서 윗부분이 와상틀의 아가리와 높이가 나란히 되게 만든다.【모전은 그 품질의 곱고 거침을 가리지 않고, 다만 와상틀의 아가리 안쪽의 길이와 너비를 맞추어서 마름질해 붙인다. 모전이 2~3겹이든 4~5겹이든 반드시 와상틀의 전[唇]과 평평하고 나란하게 해야 한다.】 네모난 와상틀 2개를 나란히 잇대어 하나의 와상이 되게 하고, 그 위에는 방로(氆氌)나 구유(氍毹) 등을 깔아 잇댄 흔적을 가린다. 여름에는 방로나 구유 대신에 등나무자리[藤簟]를 깐다.《금화경독기》[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