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용지:복식 도구:바느질에 쓰는 여러 도구:다리미"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내용== '''다리미[熨斗]<ref>다리미[熨斗]:구겨진 옷이나 직물의 주름이나 구김 부분을 없애는 도구. 안에 숯을 담고 쇠를 달궈 한 손은 직...)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내용== | ==내용== | ||
− | '''다리미[熨斗]<ref>다리미[熨斗]:구겨진 옷이나 직물의 주름이나 구김 부분을 없애는 도구. 안에 숯을 담고 쇠를 달궈 한 손은 직물 끝을 팽팽하게 잡아 펴 주고 다른 한 손으로 다림질을 한다.[[파일: 다리미.png| | + | '''다리미[熨斗]<ref>다리미[熨斗]:구겨진 옷이나 직물의 주름이나 구김 부분을 없애는 도구. 안에 숯을 담고 쇠를 달궈 한 손은 직물 끝을 팽팽하게 잡아 펴 주고 다른 한 손으로 다림질을 한다.[[파일: 다리미.png|600픽셀|썸네일|가운데|다리미(조선 및 일제강점기, 국립민속박물관) 다리미 받침(조선, 국립민속박물관))]]</ref>'''<br/> |
다리미는 모양이 작은 대야 같지만 그보다 납작하며 자루가 있다. 자루 끝에 다시 나무 자루가 있어 손으로 잡을 수 있다. 다리미는 숯불을 담아 옷 폭을 다려서 평평하게 하는 것이다. 곳곳의 대장간에서 모두 만들 수 있다. 일찍이 한(漢)나라 때의 다리미를 본 적이 있다. 퍼렇게 녹이 났으며 얼룩지고 삭은 것이 참으로 수천 년 된 물건이었는데, 모양의 제도는 지금의 옷을 다리는 다리미와 아주 비슷했다. 그리하여 후세의 기물 중에 옛 제도를 잃어버리지 않은 것은 오직 이 다리미뿐임을 알았다.《금화경독기》<br/> | 다리미는 모양이 작은 대야 같지만 그보다 납작하며 자루가 있다. 자루 끝에 다시 나무 자루가 있어 손으로 잡을 수 있다. 다리미는 숯불을 담아 옷 폭을 다려서 평평하게 하는 것이다. 곳곳의 대장간에서 모두 만들 수 있다. 일찍이 한(漢)나라 때의 다리미를 본 적이 있다. 퍼렇게 녹이 났으며 얼룩지고 삭은 것이 참으로 수천 년 된 물건이었는데, 모양의 제도는 지금의 옷을 다리는 다리미와 아주 비슷했다. 그리하여 후세의 기물 중에 옛 제도를 잃어버리지 않은 것은 오직 이 다리미뿐임을 알았다.《금화경독기》<br/> | ||
==각주== | ==각주== | ||
[[분류: 한양도성타임머신]][[분류: Clothing]][[분류: 복식]][[분류: 금화경독기]][[분류: 임원경제지]][[분류: 섬용지]][[분류: 최시남]][[분류: 임원경제지 섬용지]][[분류: 복식지구]][[분류: 임원텍스트]] | [[분류: 한양도성타임머신]][[분류: Clothing]][[분류: 복식]][[분류: 금화경독기]][[분류: 임원경제지]][[분류: 섬용지]][[분류: 최시남]][[분류: 임원경제지 섬용지]][[분류: 복식지구]][[분류: 임원텍스트]] |
2020년 10월 20일 (화) 13:45 판
내용
다리미[熨斗][1]
다리미는 모양이 작은 대야 같지만 그보다 납작하며 자루가 있다. 자루 끝에 다시 나무 자루가 있어 손으로 잡을 수 있다. 다리미는 숯불을 담아 옷 폭을 다려서 평평하게 하는 것이다. 곳곳의 대장간에서 모두 만들 수 있다. 일찍이 한(漢)나라 때의 다리미를 본 적이 있다. 퍼렇게 녹이 났으며 얼룩지고 삭은 것이 참으로 수천 년 된 물건이었는데, 모양의 제도는 지금의 옷을 다리는 다리미와 아주 비슷했다. 그리하여 후세의 기물 중에 옛 제도를 잃어버리지 않은 것은 오직 이 다리미뿐임을 알았다.《금화경독기》
각주
- ↑ 다리미[熨斗]:구겨진 옷이나 직물의 주름이나 구김 부분을 없애는 도구. 안에 숯을 담고 쇠를 달궈 한 손은 직물 끝을 팽팽하게 잡아 펴 주고 다른 한 손으로 다림질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