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SC:여우갖옷"의 두 판 사이의 차이

pungseok
이동: 둘러보기, 검색
잔글 (판 1개를 가져왔습니다)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__NOTOC__
 
__NOTOC__
 +
{{clickable_Button| [[PSC:임원경제 사전 (예시)]]}}
 
==Definition==
 
==Definition==
  
29번째 줄: 30번째 줄:
 
| 번역_주석 ||  임원경제지-섬용지 ||  ||  || http://dh.aks.ac.kr/~pungseok/wiki/index.php/PSS:섬용지:복식도구:쓰개:삿갓#PST:섬용지:복식도구:쓰개:삿갓:T0003
 
| 번역_주석 ||  임원경제지-섬용지 ||  ||  || http://dh.aks.ac.kr/~pungseok/wiki/index.php/PSS:섬용지:복식도구:쓰개:삿갓#PST:섬용지:복식도구:쓰개:삿갓:T0003
 
|}
 
|}
 +
 +
==Network Graph==
 +
 +
<html>
 +
<iframe width='90%' height='400px' src='http://dh.aks.ac.kr/~sandbox/cgi-bin/Story02.py?db=pungseok&project=ps2020&key=PSC:여우갖옷'></iframe><br/>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location.href="http://dh.aks.ac.kr/~sandbox/cgi-bin/Story02.py?db=pungseok&project=ps2020&key=PSC:여우갖옷"'/>
 +
</html>
  
 
[[분류:임원경제_데이터_모델]] [[분류:PSC:임원경제_사전]] [[분류:PSC:임원경제_사전:Object]]  [[분류:김현]]
 
[[분류:임원경제_데이터_모델]] [[분류:PSC:임원경제_사전]] [[분류:PSC:임원경제_사전:Object]]  [[분류:김현]]

2020년 8월 30일 (일) 10:01 기준 최신판

PSC:임원경제 사전 (예시)

Definition

고대에 갖옷[裘衣]은 방한용으로만 사용된 것이 아니라 특정 예복을 입을 때 함께 갖춰 입는 옷이었다. 예복에 쓰는 갖옷에 관한 기록은 《예기(禮記)》 〈옥조(玉藻)〉가 대표적이다. 갖옷의 종류는 대구(大裘), 호백구(狐白裘), 보구(黼裘), 호청구(狐青裘), 미구(麛裘), 고구(羔裘), 호구(狐裘), 견구(犬裘), 양구(羊裘), 호구(虎裘), 낭구(狼裘) 등 다양하다. 대구는 천자가 면복(冕服) 중에서 최고 등급인 대구면(大裘冕)을 입을 때 쓰고 다른 신분이나 다른 옷에는 함께 쓸 수 없었다. 호백구는 천자, 제후, 경(卿), 대부(大夫)가 입고 사(士)는 쓸 수 없었으며, 호청구, 미구, 고구, 호구(狐裘)는 사(士) 이상의 신분이 모두 착용했다. 또 견구와 양구는 서민도 사용할 수 있었다.(崔圭順, 《中國歷代帝王冕服硏究》, 東華大學出版社, 2007, 29~31쪽)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PSC:여우갖옷 Object 복식 여우갖옷(狐裘) 여우갖옷 狐裘 http://dh.aks.ac.kr/~pungseok/wiki/index.php?title=PSC:여우갖옷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Online Reference

type resource title desctription/caption URL
번역_주석 임원경제지-섬용지 http://dh.aks.ac.kr/~pungseok/wiki/index.php/PSS:섬용지:복식도구:쓰개:삿갓#PST:섬용지:복식도구:쓰개:삿갓:T0003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