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용지:건물 짓는 제도:흙손질:치받이

pungseok
이동: 둘러보기, 검색

내용

1) 치받이(앙벽)[1]
지붕의 서까래 사이에는 산자가 드러난 곳이 올려다보이는데 여기에 진흙으로 흙손질한다. 흙이 다 마르면 다시 누렇고 고우면서 찰진 모래【민간에서 ‘새벽흙[沙壁土]’[2]이라 한다.】를 말린 말똥[3]에 개어 반죽을 만든 뒤 흙손질을 하는데, 민간에서는 이를‘앙벽(仰壁)’이라 한다. 치받이(앙벽)에 한 번 비가 스며들면 이끼와 곰팡이로 얼룩덜룩해졌다가 한 번 더 비가 새면 곳곳이 떨어져나간다. 혹 한 번이라도 그대로 두고 고치지 않으면 서까래가 썩고 기와가 뒤틀려서 고개를 들면 하늘의 해가 보인다. 재력 있는 집에서는 나무판으로 서까래를 덮으면 이 우려를 벗어날 수 있지만, 재력이 없으면 그저 삿자리로 서까래를 덮을 뿐이니, 기와 잇기를 한결같이 중국의 방법에 의지하는 것이 좋겠다.《금화경독기》[4]

각주

  1. 치받이(앙벽):서까래 위에 산자를 엮고 지붕을 이은 다음 밑에서 흙을 바르는 일이나 그 흙.
  2. 새벽흙[沙壁土]:차지고 고운 누런빛의 흙에 고운 모래, 마른 말똥, 여물 등을 섞어 반죽한 것으로 벽체의 재벌 바름에 쓰인다. 《섬용지》 권2 〈집 짓는 재료〉 “흙 재료” ‘새벽흙’에 설명이 자세하다.
  3. 말똥:안대회는 ‘짚을 썩힌 것’이라고 했다. 그 근거로 유득공(柳得恭)의 《고운당필기(古芸堂筆記)》의 기사를 제시했다.(안대회, 《산수간에 집을 짓고》, 367쪽 주22)
  4. 《임원경제지 섬용지(林園經濟志 贍用志)》1, 풍석 서유구 지음, 임원경제연구소 옮김(풍석문화재단, 2016), 128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