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용 습득

phj
Admin (토론 | 기여)님의 2020년 11월 17일 (화) 12:27 판
이동: 둘러보기, 검색

의사소통과 화용

의사소통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누가 누구에게 언어를 사용하는가?
언제 언어를 사용하는가?
어디에서 언어를 사용하는가?
어떤 목적으로 언어를 사용하는가?
  • 의사소통이 잘 이루어지기 위해서 의사소통 능력(communicative competence)이 필요하다. 이 용어는 사회언어학자 Dell Hymes(1967, 1972)가 만든 용어인데, 이는 우리가 메시지를 전달하고 해석할 수 있게 해 주며, 특정 상황 안에서 인간 상호간에 의미를 교환할 수 있게 해 주는 인간의 언어능력의 한 면을 말한다(Brown, 1994: 226-227). 즉 언어를 고립된 체계로 보지 않고 언어외적인 요소들과의 관계 속에서 보려는 시도에서 발생한 것으로 사회언어학, 담화 분석, 민족방법론, 의사소통 민족지학과 같은 학문 영역과의 관련 속에 발전하였다. 이후 이러한 관점은 제2언어 교육 분야에도 영향을 주어 의사소통적 접근법(communicative approach)의 이론적 근거를 제공하게 되었다.
  • 말의 의미를 안다는 것은 삶의 맥락 안에서의 그 말이 지닌 역할이 무엇인가를 아는 것이다(이성범 2012: 32)
  • 의사소통 능력의 구성 개념
  1. Canale & Swain(1980)과 Swain(1983)의 경우는 의사소통 능력의 개념을 정의할 때 그 구성 개념으로 문법적 능력, 사회언어학 능력, 담화 능력, 전략적 능력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화용적 능력’이라는 용어를 명시적으로 사용하지는 않았다. 그러나 이들이 말하는 사회문화적 능력은 의미의 적절성과 형태의 적절성을 포함하는 ‘언어 사용’에 관한 규칙을 말하고, 담화 능력은 주어진 언어적 맥락에 적절하게 언어를 사용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러한 개념들은 이미 맥락에 적절하게 발화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하는 ‘화용적 능력’의 의미를 담고 있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한상미 2005: 35-36).
  2. 그 후에 Bachman(1990)은 언어능력을 조직적능력(organizational competence)과 화용적 능력(pragmatic competence)으로 구분하였다. 조직적능력은 문장 수준의 문법 규칙을 지닌 문법적 능력(grammatical competence)과 문장들을 상호 연결하는 방법을 지배하는 담화 규칙을 지닌 텍스트적 능력(textual competence)으로 구성된다. 반면 화용적 능력은 언표내적능력(illocutionary competence)과 사회언어적 능력(sociolinguistic competence)으로 구분하였다. 전자는 화자가 의도했던 의미를 전달하면 수신자가 그 의미를 이해하는 것과 관련되며, 후자는 공손성(politeness), 격식성(formality), 은유(metaphor), 언어 사용(register) 그리고 문화적 측면과 관련된 언어 양상들을 말한다(이해영, 2002: 58, 재인용)

언어능력구성요소.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