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방최흥종
Story
오방 최흥종은 개화기 광주의 종교적, 사회적 지도자이다.
1880년 5월 2일 광주에서 태어난 오방 최흥종은 젊은 시절 방황의 시기를 보냈으나, 김윤수, 유진벨, 오웬의 영향으로 1907년 세례를 받고 기독교인이 된다. 광주의 제중원에서 근무하던 중 1909년 포사이드 선교사의 한센병환자에 대한 헌신을 보고 깊은 감명을 받는다. 이후 1912년 부모로 부터 받은 땅을 기증하여 광주 나병원을 설립하였으나, 1927년에는 이전하여 여수 애향원을 설립했다.1932년에 김병로, 이인, 김성수, 송진우, 조만식과 함께 한국나환자근절협를 설립하고 나환자에 대한 적극적인 지원을 하고자 하였으며, 서울 총독부를 향해 나환자 500명과 함께 11일동안 행진하여 그들에게 필요한 지원을 요구하였다. 해방 직전 신사참배를 강요하자 스스로 '1935년 3월 17일 사망통고서'를 지인들에게 보내고 무등산에 들어가 수직적 신앙생활을 하였다.해방 직후에는 김구선생이 직접 오방선생을 찾아가 '화광동진(和光同塵)'을 직접 증여하며 정치를 권유하였으나 거부하고 1966년 5월 14일 서거하기 전까지 낮은 곳에서 삶으로 실천하며 나주에 음성나환자 자활촌 호혜원을 세웠고, 원효사 앞에 결핵 환자를 위한 송등원, 무등원을 세워 가난하고 병든자들을 위해 헌신했다.
Web Resource
Bibliography
type | bibliographic index | online resource | url |
---|---|---|---|
단행본 | 오방기념사업회, 『오방 최흥종 연구』, 태학사, 2022. | https://www.google.co.kr/search?q=9791168100558 | |
단행본 | 최장일, 고경태, 『오방 선생 최흥종』, 바이블리더스, 2020. | https://www.google.co.kr/search?q=9788993308488 | |
단행본 | 문순태, 『성자의 지팡이』, 다지리, 2000. | https://www.google.co.kr/search?q=9788988812075 | |
논문 | 한규무, 「오방 최흥종의 신앙노선과 선교활동」, 『한국기독교와 역사』 48, 한국기독교역사학회, 2018.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325566 |
논문 | 한규무, 「오방 최흥종의 생애와 민족운동」, 『한국독립운동사연구』 39, 한국독립운동사연구, 2011.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578165 |
논문 | 김안식, 「오방 최흥종 목사의 토착적 사회복지 선교에 관한 연구」, 『신학과 실천』 19, 한국실천신학회, 2009.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344189 |
- id: 인용전거
- type: 단행본, 논문, 도록, 자료집
- online resource: KCI, RISS, DBpia, 네이버 학술정보 .....
Notes
Story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