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문"의 두 판 사이의 차이

pattern
이동: 둘러보기, 검색
([역사학과 빅데이터])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680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span style="font-size: 300%;">교육자 최부</span>
+
==최원재 프로젝트 2019==
  
<span style="font-size: 150%;">[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60289 '''《금남표해록》''']과 저자 [https://ko.wikipedia.org/wiki/%EC%B5%9C%EB%B6%80 금남 최부]는 역사적, 지리적으로 [http://www.digerati.kr/mediawiki/index.php/%EC%B5%9C%EB%B6%80(%E5%B4%94%E6%BA%A5)_%EC%9D%BC%ED%96%89_%ED%91%9C%EB%A5%98%EC%82%AC%EA%B1%B4#.ED.95.84.EB.8B.B4 명나라 표해]연구되어왔다. [http://digerati.aks.ac.kr/smu/graph/index.html 조선 시대의 많은 표해 기록] 중에서 왕명으로 간행이 이루어진 것은 [http://www.grandculture.net/ko/Contents?dataType=01&contents_id=GC00702486 최부의 표해록]이 유일하다는 사실을 보아도 그 중요성을 실감할 수 있다. 그러나 그의 문필가로서의 역할보다 더 큰 것이 있다. 바로 사상가이자 교육자로서의 삶이다.
+
===[http://dh.aks.ac.kr/Edu/wiki/index.php/%EC%84%B1%EA%B2%BD.lst 성경]===
  
해남정씨<ref>[http://www.hnsori.co.kr/news/articleView.html?idxno=3359 해남과 초계정씨(草溪鄭氏), 해남군민신문, 2015.11.28]</ref>는 금강동(현 해리)에서 살았는데 해남정씨와 통혼한 5가문도 모두 금강동에 자리 잡아 이후 금강동은 [https://kicho.tistory.com/tag/%EB%8A%98%EC%96%B4%EC%A7%80%EB%A7%88%EC%9D%84 해남 사족들]과 학문의 중심지로 부각된다. 최부는 이곳에 와서 [http://www.hankukmail.com/newshome/detail.php?number=28917&thread=21r03r06r01 [[관서재]]]를 열어 많은 후학들을 양성하게 되는데 이 때문에 금남을 해남 인물사의 서막을 연 사람으로 평가하기도 한다.
+
===[http://dh.aks.ac.kr/Edu/wiki/index.php/%EC%A1%B0%EC%84%A0%EC%99%95%EC%A1%B0%EC%A4%91%EB%86%8D%EC%A3%BC%EC%9D%98.lst 조선왕조중농주의]===
  
외손자 [https://ko.wikipedia.org/wiki/%EC%9C%A0%ED%9D%AC%EC%B6%98 유희춘]에 의하면, "해남은 본디 바닷가에 치우쳐 있어 옛날에는 문학과 예의(禮儀)도 없었고 거칠고 누추한 고을이었는데, 자신의 외할아버지가 처가인 해남에서 노닐면서 우선 세 제자를 길러냈다"고 했다. 첫째는 진사시에 합격한 어초은(漁樵隱) 윤효정(尹孝貞), 둘째는 조선 중기의 대문호이던 석천(石川) 임억령(林億齡)의 숙부인 임우리(林遇利), 셋째는 유희춘 자신과 자신의 형으로 문과에 급제하여 큰 명성을 얻었던 유성춘(柳成春)의 아버지인 성은(城隱) 유계린(柳桂隣)<ref>[http://shindonga.donga.com/Print?cid=521574 4대 사화(士禍) 버텨낸 강철 신념, 불꽃 의지
+
===[http://dh.aks.ac.kr/Edu/wiki/index.php/%EB%96%A1%EC%82%B4%EB%AC%B8%EC%96%91.lst 떡살문양]===
거가(居家) 선비 유계린의 ‘거가십훈’, 신동아, 2016.02.01]</ref>이었다. 호남을 대표하는 세 가문이 바로 금남의 문하에서 나왔음만 보아도 그의 교육자적 영향력이 어느 정도인가 짐작할 수 있다. <ref>[http://www.h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8392 비극적인 삶 마친 조선의 마르코폴로 '최부(崔溥)'처가 따라 해남 행, 어초은 윤효정 등 해남육현 길러내, 표해록, 고전기행문학의 백미이자 15C 말 중국 문물 연구의 보고, 해남신문, 2012.03.19]</ref> 해남정씨와 결혼해 해남인이 된 금남 최부는 호남의 4대 학맥 중 한 맥인 '''[[최부 학파]]'''를 형성하며 해남의 학문 시대를 열었다. 최부는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EC%86%8C%ED%95%99(%E5%B0%8F%E5%AD%B8) 소학]이 도학의 교과서로 인식되었던 당시 후학들에게 도학을 가르치던 대표적인 사림의 교육자였다. 이런 관점에서 [[최부의 표해록]]은 교육 서적으로도 해석될 수 있다.
 
  
 +
===[[서예]]===
 +
===[http://digerati.aks.ac.kr/dhlab/2019/101/%EC%B5%9C%EC%9B%90%EC%9E%AC/%EA%B0%95%ED%99%94%EB%8F%84%EC%A4%91%EC%95%99%EA%B5%90%ED%9A%8C.html 강화중앙교회 디아스포라]===
 +
===[http://dh.aks.ac.kr/Edu/wiki/index.php/%EA%B0%95%ED%99%94%EC%9E%A0%EB%91%90%EA%B5%90%ED%9A%8C_%ED%95%AD%EC%9D%BC%EC%9A%B4%EB%8F%99%EC%A7%80 강화잠두교회 항일운동지]===
 +
===[http://dh.aks.ac.kr/Edu/wiki/index.php/%EA%B0%95%ED%99%94%EC%A4%91%EC%95%99%EA%B5%90%ED%9A%8C 강화중앙교회]===
 +
===[http://dh.aks.ac.kr/Edu/wiki/index.php/%EA%B0%95%ED%99%94%EA%B0%90%EB%A6%AC%EA%B5%90 강화감리교]===
 +
===[http://digerati.aks.ac.kr/dhlab/2019/101/%EC%B5%9C%EC%9B%90%EC%9E%AC/leemangyu/index.html 이만규]===
 +
===[https://www.youtube.com/watch?v=pB51JChFtec 이만규와 한국근대교육사]===
 +
===[http://dh.aks.ac.kr/Edu/wiki/index.php/%EC%9D%B4%EB%A7%8C%EA%B7%9C%EC%99%80_%ED%95%9C%EA%B5%AD%EA%B7%BC%EB%8C%80%EA%B5%90%EC%9C%A1%EC%9E%90%EB%A3%8C_%EB%94%94%EC%A7%80%ED%84%B8_%ED%81%90%EB%A0%88%EC%9D%B4%EC%85%94%EB%8B%9D 이만규와 디지털큐레이셔닝1]===
 +
===[http://dh.aks.ac.kr/Edu/wiki/index.php/%EC%9D%B4%EB%A7%8C%EA%B7%9C%EC%99%80_%ED%95%9C%EA%B5%AD%EA%B7%BC%EB%8C%80%EA%B5%90%EC%9C%A1%EC%9E%90%EB%A3%8C_%EB%94%94%EC%A7%80%ED%84%B8_%ED%81%90%EB%A0%88%EC%9D%B4%EC%85%94%EB%8B%9D.lst 이만규와 디지털큐레이셔닝2]===
 +
===[http://www.yes24.com/Product/Goods/88417811 인문기술자]===
 +
===[http://dh.aks.ac.kr/Edu/wiki/index.php/%EB%94%94%EC%A7%80%ED%84%B8_%ED%81%90%EB%A0%88%EC%9D%B4%EC%85%98 디지털 큐레이션_동국대학교]===
  
<span style="font-size: 300%;">내래이터 최부</span>
+
==최원재 프로젝트 2020==
 +
===[[내러티브_도학교재로서의_금남_최부_『표해록(漂海錄)』_연구_시맨틱_큐레이션_방법을 기반으로]]===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625726 역사 데이터 내러티브]===
 +
===표해록===
 +
*[[최부의 인맥]]
 +
*[http://dh.aks.ac.kr/Edu/wiki/index.php/%EC%B5%9C%EB%B6%80%EC%9D%98_%EC%9D%B8%EB%A7%A5.lst 최부의 인맥]
 +
*[[최부표해록 분석 및 클래스 설계]]
  
<span style="font-size: 150%;">최부는 '''내러티브'''에 강했다는 평을 들었다. 1487년 최부가 남긴 서사시 <[[탐라시삼십오절(耽羅詩三十五絶)]]>을 보면 그의 역사적, 지리적 지식이 제주의 풍속을 얼마나 잘 설명하고 있는지 알 수 있다.
+
===최부의 표해록 노드===
 +
*[http://dh.aks.ac.kr/Edu/wiki/index.php/DB-2019-F 표해록 노드]
  
<탐라시삼십오절(耽羅詩三十五絶)>은 1653년의 이원진의 **탐라록**에 삽입되어 전해지며, 또 1681년에는 이증도 **남사일록**에 옮겨 놓고 있다. 한 예로 허벅으로 물 긷는 기록 '허벅진 촌 아낙네 물 길러 샘으로 가고(負甁村婦汲泉去)'라는 구절은 15세기에 허벅을 지고 물을 긷는 모습을 묘사한 것이다. [http://m.jemin.com/news/articleView.html?idxno=415119 허벅]은 물 긷는 용구로서 비교적 먼 거리를 왕래해야 하기 때문에 목이 좁다. 대구덕 안에 [http://www.jejusori.net/news/articleView.html?idxno=32730 허벅]을 앉히고, 물이 든 허벅의 입구를 새(茅)로 틀어서 막는다. 돌길이기 때문에 찰랑대는 물이 밖으로 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허벅의 구멍을 막는 것이다. 또 허벅은 다른 용도로도 쓰인다. 만일 사돈집에 상(喪)이 났을 때 상가에서 수고하는 사람들을 위하여 팥죽을 쑤어갈 때도 허벅은 한몫을 한다. <ref>[http://www.jemin.com/news/articleView.html?idxno=274989 허벅을 지고 가는 제주 여인을 그리다, 제민일보, 2011.11.22]</ref> 제주도 연등절에 관한 기록으로 현재 가장 오래된 것도 <탐라시삼십오절(耽羅詩三十五絶)>에 남아있다. 여기에는 15세기 후반 사찰에서 연등이 이루어졌음이 나타난다.<ref>김찬흡 외 옮김, **역주탐라지**(푸른역사, 2002), p.24-25.</ref> 
+
==최원재 프로젝트2021==
 +
===[[다포딜 로드]]===
 +
===[[수선화 시인들]]===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795686 디지털 데이터 내러티브: 문학, ‘수선화 시인들']===
 +
===[[데이터 리터러시, '아하! 순간', 송남잡지]]===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783765 데이터 리터러시 교육과 『송남잡지』]===
 +
===[[유럽의 디지털 인문학]]===
 +
===[[유년필독]]===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803157 이큐레이션(E-curation) 역사 수업 - 『유년필독』을 중심으로 -]===
 +
===[[조선의 몽골 인식과 그 흔적 -  시맨틱 큐레이션]]===
 +
===[[디지털 데이터 내러티브와 불교수행]]===
 +
===[[서예역사]]===
 +
===[[만해 한용운]]===
 +
===[[신흥무관학교]]===
 +
===[[데이터 과학과 성경]]===
 +
===[[개화기 교육학]]===
 +
===[[개화기 미술교육]]===
 +
===[[개화기 해외학교]]===
 +
===[[민화]]===
 +
===[[동남아와 한반도]]===
 +
===[[독립군 무기]]===
 +
===[[지리교육]]===
 +
===[[서예추상]]===
 +
===[[한반도 영어교육과 번역]]===
 +
===[[한국 여성잡지]]===
 +
===[[조선 개화기 과목별 교사일람]]===
 +
===[[조선 천주교 선교사]]===
 +
===[https://www.yes24.com/Product/Goods/106189354 심리기술자]===
  
<br>
+
==최원재 프로젝트2022==
<span style="font-size: 100%;">嫌將歲月虛抛擲  세월은 헛되이 버려지기 싫어<br>
+
===[[수선화 한국학]]===
照里鞦韆傳自昔  줄다리기와 그네뛰기는 예부터 전해오고<br>
+
===[[디지털 데이터 내러티브를 통한 창의력 계발 수업 모델 개발 – ‘수선화 한국학’ ]]===
僧刹了無香火時  절에는 향화가 끊이지 않고 피어오르고<br>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814146 ESG 개념을 활용한 디지털 데이터 내러티브 교육 ]===
騈闐簫鼓燃燈夕  연등 저녁이면 퉁소와 북 소리도 패를 지어 가득하네.<br></span>
+
===[[디지털 데이터 필사]]===
<br>
+
===[[역사 데이터베이스]]===
 +
===[[3D 타임머신]]===
 +
===[[디지털 데이터 내러티브: 번역, '아저씨, 아가씨']]===
 +
===[[한국삼육고등학교]]===
 +
===[[폭력의 심층기제]]===
 +
===[[성공회 조선 선교사]]===
 +
===[http://www.skhnews.or.kr/news/articleView.html?idxno=272 성공회 신문 모닝캄 연재 기사]===
 +
===[[모닝캄(The Morning Calm)]]===
 +
===[[모닝캄 포토(The Morning Calm Photo)]]===
 +
===[[만해 한용운과 기독교]]===
 +
===[https://scholar.kyobobook.co.kr/article/detail/4010036870849 휴타고지 시대의 고등교육 방안: 디지털 데이터 내러티브]===
 +
===[http://www.kohisedu.or.kr/notice/view.php?idx=122 2022년 역사와교육학회 추계학술대회]===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882918 디지털 데이터 시대의 연구·교육 방안: 디지털 데이터 내러티브 - 『모닝캄』 시맨틱 데이터 큐레이션-]===
 +
===[http://digerati.aks.ac.kr/DhLab/2021/101/WonJe/KHUHERC/KHUHERC.htm HERC]===
 +
===[[한국문화융합학회 추계학술대회]]===
 +
===[https://kaeim.jams.or.kr/co/com/EgovMenu.kci?s_url=/po/community/notice/noticeView.kci&s_MenuId=MENU-000000000061000&notiSeq=000000032074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한국교육공학회 추계공동학술대회]===
 +
===[[창의력 계발 교과목 개발 방안: 디지털 분류술(分流術)]]===
 +
===[http://www.hkb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98108 치명적 독 미세플라스틱]===
 +
===[https://keastwest.or.kr/%EA%B3%B5%EC%A7%80%EC%82%AC%ED%95%AD/11571810 2022 한국동서비교문학학회 추계 정기학술대회]===
 +
===[[모순 연습: 재즈와 메타버스]]===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913839 메타버스와 재즈의 모순 연습 Metaverse and Contradiction Practice of Jazz]===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899021 메타버스 강의 개발 : 블렌더 활용 ‘3D 타임머신’ 강의]===
 +
===[[메타버스 교육 생태계]]===
 +
===[[조선 후기 실학적 교육서 송남잡지]]===
 +
===[http://www.segyenewsagency.com/news/articleView.html?idxno=488567 송남잡지를 통해 본 신교육 선각자 송남 조재삼]===
  
최부는 연등날 밤 사찰에서 행해지는 제주도의 연등 풍속을 묘사하였다. 줄다리기와 그네뛰기가 예로부터 전해져 지금도 시행되는 모습에서 세월은 헛되이 버려지는 것이 아님을 알 수 있듯이, 연등회의 풍속도 예로부터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음을 말하려 한다. 연등날 저녁이면 절을 찾는 사람들로 향불이 끊이지 않고 피어오르고 퉁소와 북을 동원하여 잔치를 즐기는 사람들이 가득하다고 하였다. 절에 모여 향을 공양하고 악기를 동원하여 왁자지껄한 연등날 저녁을 즐기는 분위기를 묘사하고 있다. 이는 백희가무로 온 나라가 잔치 분위기였던 고려시기 연등회의 풍속이 아직도 그대로 이어지고 있음을 표현해주고 있다. 국가적으로는 상원연등회가 금지된 시기였으나 민간에서는 고려시기의 연등 풍속의 특징을 잃지 않고 북과 퉁소로 흥을 돋우며 사찰에서 놀이가 이루어지고 있는 모습이 나타나 있다.
+
==최원재 프로젝트 2023==
 +
1학기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927054 태동기의 메타버스 대학교육 진단]===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936571 메타버스를 위한 철학과 교육]===
 +
===[[K–컬처가 소환한 가상세계의 환류]]===
 +
===[https://www.segyenewsagency.com/news/articleView.html?idxno=498132 송남잡지 톺아보기]===
 +
===[http://www.skhnews.or.kr/news/articleView.html?idxno=341 성공회 모닝캄 연재]===
 +
===[[한국한문교육학회 2023 춘계 학술대회]]===
 +
===[[코로나 세대를 위한 공적 기독교 교육]]===
  
줄다리기와 그네뛰기는 풍작을 기원하는 놀이였다. 그네뛰기는 봄이 되면 여자들이 생산의 의미나 풍작의 주술적 의미를 담고 하던 놀이였다. 고려시대에는 궁중과 상류사회에서 성행하였고 백희가무에서 그네뛰기를 하였다. 조선 시대에는 양반층에서 체통에 맞지 않는다고 하여 멀리하였으나 민간에서는 평상시에도 즐겼다. 줄다리기는 정월 대보름을 전후하여 풍작을 기원하는 농경의식이다. 제주도 연등 풍습을 표현한 최부의 시각에서도 연등회가 제천기농(祭天祈農)의 성격을 이어가고 있음이 나타나고 있다.<ref>[ftp://ftp.buddhism.org/Korean/%C0%E5%B0%E6%B0%A2/6%B3%ED%B9%AE/%C1%A4%C5%E4%C7%D0%C8%B8%B3%ED%B9%AE%C1%FD/2008-11-hks.hwp 제주도 영등굿의 유래-연등회에서 영등굿으로의 변천]</ref>
+
===게임으로 보는 조선의 가상세계 구현===
 +
===[[3D 타임머신 2023]]===
  
 +
===[[역사학과 빅데이터]]===
  
<span style="font-size: 300%;">내러티브 교육자 최부</span>
+
===[[역사정보데이터베이스]]===
  
<span style="font-size: 150%;">내러티브를 이용해서 교육철학을 실현하려고 했던 최부의 의지가 그의 금남표해록에 나타난다. 이를 위해서 《금남표해록》의 도학정신과 선비정신, 그리고 조선의 맥락에 맞춰 서술한 조선정신을 시맨틱 웹으로 분석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
+
===[[빅데이터기반 교육 솔루션]]===
  
 +
===[[Spot Virtual]]===
  
*내러티브 도학교재 《금남표해록》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953808 가상세계 활용 교육을 위한 인지 전환 이론과 실천방안]===
{{SemanticNetwork | db=s_jack | project=jack | key=송시열}}
 
  
<span style="font-size: 300%;">《금남표해록》(원문, 한글, 영문)</span>
+
===역사와 교육학회 2023 춘계 학술대회===
 +
[http://www.kohisedu.or.kr/notice/view.php?idx=132 역사와 교육학회 2023 춘계 학술대회]
  
 +
[http://terms.tta.or.kr/dictionary/dictionaryView.do?subject=%EA%B0%80%EC%83%81+%EC%84%B8%EA%B3%84 정보통신용어사전 가상세계]
  
[[파일:표해록본문.jpg|center|150px]]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977220 한자의 가상세계성과 한자 교육 패러다임 시프트]===
  
 +
===[[만해 한용운을 통한 근현대문화지형 해석데이터 구축]]===
  
==《금남표해록》권1==
+
2학기
喪人臣崔薄,自濟州漂流, 泊甌東, 過越南, 經燕北,以今六月十四日到靑 坡驛,敬奉.
+
===[[빅데이터와 학습분석]]===
傳旨, 一行日錄撰集以進.
 
  
상인(喪人)인 신(臣) [https://weekly.chosun.com/client/news/viw.asp?ctcd=C09&nNewsNumb=002468100025 최부(崔薄)]<ref>[https://en.wikipedia.org/wiki/Choe_Bu#Pre-modern_publications Choe Bu]</ref><ref>[https://wikivisually.com/wiki/Choe_Bu]</ref>는 제주(濟州)로부터 [http://jeju.grandculture.net/Contents/Contents?dataType=01&contents_id=GC00702484&isTreeSpread=Y 표류]해서 구동(甌東)에 배를 대고, 월남(越南)을 지나 연북(燕北)을 거쳐, 올 6월 14일에 [http://www.museum.seoul.kr/archive/archiveList.do?type=A&type2=area&arcvGroupNo=3329&lowerArcvGroupNo=3355 청파역(靑坡驛)]에 도착하여 삼가 전지(傳旨)를 받들어 이번 길의 일지를 편집하여 바치나이다.
+
===[[테크놀로지기반학습]]===
  
I. Ch'oe Pu, while in mourning, went adrift from Cheju,1 landed east of Ou, and passed from south of Yüeh to north of Yen.2 On the 14th Day of this Sixth Month [July 22, 1488] I reached Ch’ðngp’a Station” and respectfully received a Royal edict for a diary of the journey. I have compiled it and now submit it.
+
===[[역사학과인접학문의융합교육]]===
  
1. 喪人=喪制라고도 한다. 부친상을 당한 최부가 喪中임을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한 自稱이다.
+
===[[역사학과 빅데이터 2]]===
2. 는 秦漢시대 浙江 남부에 있었던 東國을 말한다. 甌東이란 東盛의 동쪽 지역 즉 절강 동남부 연해 지역을 가리킨다.
 
3. 越은 春秋戰國時代에 江蘇일대에 있었던 越國을 가리킨다. 越南은 월국의 남쪽 지역 즉 오늘날 강소 남부 일대에 해당한다.
 
4. 燕은 戰國時代 北京 일대를 중심으로 하는 燕國을 가리킨다. 燕北은 연국의 북쪽 지역 즉 河北 북부 지역에 해당한다.
 
5. 이 해는 성종19년으로서, 明 弘治 원년이고, 서기 1488년이다.
 
6. 朝鮮 漢陽의 崇禮門 밖 약 3리의 거리에 있었는데 오늘날 서울특별시 용산구 청파동 지역에 해당한다. 한양을 出入할 때 반드시 거쳐야 하는 첫 번째 驛으로서 兵曹의 직할이었다. 驛에는 3등馬 50필이 배정되어 傳命을 받으면 즉시 달릴 수 있도록 준비되어 있었다. 한편 조선의 驛은 공문서의 전달, 관리의 왕래와 숙박, 官物의 수송 등을 돕기 위하여 설치하였다. 세조3년(1457) 驛丞을 察訪이라 개칭하고 전국에 538개의 역을 두고, 이를 4구역으로 나누어 각각 찰방을 두었다. 찰방이 주재하는 역을 察訪驛이라 불렀다. 역은 대체로 30리에 하나씩 두는 것이 원칙이었으나 지형 등의 형편으로 그렇지 못한 경우도 있었다.
 
  
[[성화(成化)23년 정미년 가을 9월 17일]]
+
===[[역사학과 빅데이터]]===
[[홍치(弘治)원년(1488) 무신년 정월 30일]]
 
[[윤 정월 1일]]
 
[[1월 2일]]
 
[[1월 3일]]
 
[[1월 4일]]
 
[[1월 5일]]
 
[[1월 6일]]
 
[[1월 7일]]
 
[[1월 8일]]
 
[[1월 9일]]
 
[[1월 10일]]
 
[[1월 11일]]
 
[[1월 12일]]
 
[[1월 13일]]
 
[[1월 14일]]
 
[[1월 15일]]
 
[[1월 16일]]
 
[[1월 17일]]
 
[[1월 18일]]
 
[[1월 19일]]
 
[[1월 20일]]
 
[[1월 21일]]
 
[[1월 22일]]
 
[[1월 23일]]
 
[[1월 24일]]
 
[[1월 25일]]
 
[[1월 26일]]
 
[[1월 27일]]
 
[[1월 28일]]
 
[[1월 29일]]
 
[[2월 1일]]
 
[[2월 2일]]
 
[[2월 3일]]
 
[[2월 4일]]
 
  
==《금남표해록》권2==
+
===[[디지털 큐레이션]]===
[[2월 5일]]
 
[[2월 6일]]
 
[[2월 7일]]
 
[[2월 8일]]
 
[[2월 9일]]
 
[[2월 10일]]
 
[[2월 11일]]
 
[[2월 12일]]
 
[[2월 13일]]
 
[[2월 14일]]
 
[[2월 15일]]
 
[[2월 16일]]
 
[[2월 17일]]
 
[[2월 18일]]
 
[[2월 19일]]
 
[[2월 20일]]
 
[[2월 21일]]
 
[[2월 22일]]
 
[[2월 23일]]
 
[[2월 24일]]
 
[[2월 25일]]
 
[[2월 26일]]
 
[[2월 27일]]
 
[[2월 28일]]
 
[[2월 29일]]
 
[[2월 30일]]
 
[[3월 1일]]
 
[[3월 2일]]
 
[[3월 3일]]
 
[[3월 4일]]
 
[[3월 5일]]
 
[[3월 6일]]
 
[[3월 7일]]
 
[[3월 8일]]
 
[[3월 9일]]
 
[[3월 10일]]
 
[[3월 11일]]
 
[[3월 12일]]
 
[[3월 13일]]
 
[[3월 14일]]
 
[[3월 15일]]
 
[[3월 16일]]
 
[[3월 17일]]
 
[[3월 18일]]
 
[[3월 19일]]
 
[[3월 20일]]
 
[[3월 21일]]
 
[[3월 22일]]
 
[[3월 23일]]
 
[[3월 24일]]
 
[[3월 25일]]
 
  
==《금남표해록》 권3==
+
===[[디지털역사문화콘텐츠]]===
[[3월 26일]]
 
[[3월 27일]]
 
[[3월 28일]]
 
[[3월 29일]]
 
[[4월 1일]]
 
[[4월 2일]]
 
[[4월 3일]]
 
[[4월 4일]]
 
[[4월 5일]]
 
[[4월 6일]]
 
[[4월 7일]]
 
[[4월 8일]]
 
[[4월 9일]]
 
[[4월 10일]]
 
[[4월 11일]]
 
[[4월 12일]]
 
[[4월 13일]]
 
[[4월 14일]]
 
[[4월 15일]]
 
[[4월 16일]]
 
[[4월 17일]]
 
[[4월 18일]]
 
[[4월 19일]]
 
[[4월 20일]]
 
[[4월 21일]]
 
[[4월 22일]]
 
[[4월 23일]]
 
[[4월 24일]]
 
[[4월 25일]]
 
[[4월 26일]]
 
[[4월 27일]]
 
[[4월 28일]]
 
[[4월 29일]]
 
[[4월 30일]]
 
[[5월 1일]]
 
[[5월 2일]]
 
[[5월 3일]]
 
[[5월 4일]]
 
[[5월 5일]]
 
[[5월 6일]]
 
[[5월 7일]]
 
[[5월 8일]]
 
[[5월 9일]]
 
[[5월 10일]]
 
[[5월 11일]]
 
[[5월 12일]]
 
[[5월 13일]]
 
[[5월 14일]]
 
[[5월 15일]]
 
[[5월 16일]]
 
[[5월 17일]]
 
[[5월 18일]]
 
[[5월 19일]]
 
[[5월 20일]]
 
[[5월 21일]]
 
[[5월 22일]]
 
[[5월 23일]]
 
[[5월 24일]]
 
[[5월 25일]]
 
[[5월 26일]]
 
[[5월 27일]]
 
[[5월 28일]]
 
[[5월 29일]]
 
[[6월 1일]]
 
[[6월 2일]]
 
[[6월 3일]]
 
[[6월 4일]]
 
 
 
 
 
*《国宝档案》 20160301 海丝传奇——崔溥和《漂海录》 
 
<html><center> <iframe width="700" height="394" src="https://www.youtube.com/embed/zG64QE9Cew0" frameborder="0" allow="accelerometer; autoplay; clipboard-write; encrypted-media; gyroscope; picture-in-picture" allowfullscreen></iframe></center></html>
 
 
 
[[file:우두외양.png|center|150px]]
 
[[file:최부의표류와귀국경로.jpg|center|150px]]
 
 
 
<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160px>
 
File:최부의표류와귀국경로.jpg  | 최부의 표류와 귀국경로
 
File:우두외양.png | 우두외양 최부의 표착지
 
File:표해록본문.jpg | 표해록본문
 
</gallery>
 
 
 
 
 
*출처/참고
 
<references/>
 
 
 
*네트워크
 
[[틀:SemanticNetwork]]
 

2023년 10월 10일 (화) 10:44 기준 최신판

목차

최원재 프로젝트 2019

성경

조선왕조중농주의

떡살문양

서예

강화중앙교회 디아스포라

강화잠두교회 항일운동지

강화중앙교회

강화감리교

이만규

이만규와 한국근대교육사

이만규와 디지털큐레이셔닝1

이만규와 디지털큐레이셔닝2

인문기술자

디지털 큐레이션_동국대학교

최원재 프로젝트 2020

내러티브_도학교재로서의_금남_최부_『표해록(漂海錄)』_연구_시맨틱_큐레이션_방법을 기반으로

역사 데이터 내러티브

표해록

최부의 표해록 노드

최원재 프로젝트2021

다포딜 로드

수선화 시인들

디지털 데이터 내러티브: 문학, ‘수선화 시인들'

데이터 리터러시, '아하! 순간', 송남잡지

데이터 리터러시 교육과 『송남잡지』

유럽의 디지털 인문학

유년필독

이큐레이션(E-curation) 역사 수업 - 『유년필독』을 중심으로 -

조선의 몽골 인식과 그 흔적 - 시맨틱 큐레이션

디지털 데이터 내러티브와 불교수행

서예역사

만해 한용운

신흥무관학교

데이터 과학과 성경

개화기 교육학

개화기 미술교육

개화기 해외학교

민화

동남아와 한반도

독립군 무기

지리교육

서예추상

한반도 영어교육과 번역

한국 여성잡지

조선 개화기 과목별 교사일람

조선 천주교 선교사

심리기술자

최원재 프로젝트2022

수선화 한국학

디지털 데이터 내러티브를 통한 창의력 계발 수업 모델 개발 – ‘수선화 한국학’

ESG 개념을 활용한 디지털 데이터 내러티브 교육

디지털 데이터 필사

역사 데이터베이스

3D 타임머신

디지털 데이터 내러티브: 번역, '아저씨, 아가씨'

한국삼육고등학교

폭력의 심층기제

성공회 조선 선교사

성공회 신문 모닝캄 연재 기사

모닝캄(The Morning Calm)

모닝캄 포토(The Morning Calm Photo)

만해 한용운과 기독교

휴타고지 시대의 고등교육 방안: 디지털 데이터 내러티브

2022년 역사와교육학회 추계학술대회

디지털 데이터 시대의 연구·교육 방안: 디지털 데이터 내러티브 - 『모닝캄』 시맨틱 데이터 큐레이션-

HERC

한국문화융합학회 추계학술대회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한국교육공학회 추계공동학술대회

창의력 계발 교과목 개발 방안: 디지털 분류술(分流術)

치명적 독 미세플라스틱

2022 한국동서비교문학학회 추계 정기학술대회

모순 연습: 재즈와 메타버스

메타버스와 재즈의 모순 연습 Metaverse and Contradiction Practice of Jazz

메타버스 강의 개발 : 블렌더 활용 ‘3D 타임머신’ 강의

메타버스 교육 생태계

조선 후기 실학적 교육서 송남잡지

송남잡지를 통해 본 신교육 선각자 송남 조재삼

최원재 프로젝트 2023

1학기

태동기의 메타버스 대학교육 진단

메타버스를 위한 철학과 교육

K–컬처가 소환한 가상세계의 환류

송남잡지 톺아보기

성공회 모닝캄 연재

한국한문교육학회 2023 춘계 학술대회

코로나 세대를 위한 공적 기독교 교육

게임으로 보는 조선의 가상세계 구현

3D 타임머신 2023

역사학과 빅데이터

역사정보데이터베이스

빅데이터기반 교육 솔루션

Spot Virtual

가상세계 활용 교육을 위한 인지 전환 이론과 실천방안

역사와 교육학회 2023 춘계 학술대회

역사와 교육학회 2023 춘계 학술대회

정보통신용어사전 가상세계

한자의 가상세계성과 한자 교육 패러다임 시프트

만해 한용운을 통한 근현대문화지형 해석데이터 구축

2학기

빅데이터와 학습분석

테크놀로지기반학습

역사학과인접학문의융합교육

역사학과 빅데이터 2

역사학과 빅데이터

디지털 큐레이션

디지털역사문화콘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