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문"의 두 판 사이의 차이

pattern
이동: 둘러보기, 검색
(강화양명학)
([역사학과 빅데이터])
 
1번째 줄: 1번째 줄:
==디지털 큐레이션의 교육학적 연구==
+
==최원재 프로젝트 2019==
  
*디지털 큐레이션
+
===[http://dh.aks.ac.kr/Edu/wiki/index.php/%EC%84%B1%EA%B2%BD.lst 성경]===
  
*연결주의
+
===[http://dh.aks.ac.kr/Edu/wiki/index.php/%EC%A1%B0%EC%84%A0%EC%99%95%EC%A1%B0%EC%A4%91%EB%86%8D%EC%A3%BC%EC%9D%98.lst 조선왕조중농주의]===
  
*영상 세대, 이미지 세대
+
===[http://dh.aks.ac.kr/Edu/wiki/index.php/%EB%96%A1%EC%82%B4%EB%AC%B8%EC%96%91.lst 떡살문양]===
  
*빅데이터
+
===[[서예]]===
 +
===[http://digerati.aks.ac.kr/dhlab/2019/101/%EC%B5%9C%EC%9B%90%EC%9E%AC/%EA%B0%95%ED%99%94%EB%8F%84%EC%A4%91%EC%95%99%EA%B5%90%ED%9A%8C.html 강화중앙교회 디아스포라]===
 +
===[http://dh.aks.ac.kr/Edu/wiki/index.php/%EA%B0%95%ED%99%94%EC%9E%A0%EB%91%90%EA%B5%90%ED%9A%8C_%ED%95%AD%EC%9D%BC%EC%9A%B4%EB%8F%99%EC%A7%80 강화잠두교회 항일운동지]===
 +
===[http://dh.aks.ac.kr/Edu/wiki/index.php/%EA%B0%95%ED%99%94%EC%A4%91%EC%95%99%EA%B5%90%ED%9A%8C 강화중앙교회]===
 +
===[http://dh.aks.ac.kr/Edu/wiki/index.php/%EA%B0%95%ED%99%94%EA%B0%90%EB%A6%AC%EA%B5%90 강화감리교]===
 +
===[http://digerati.aks.ac.kr/dhlab/2019/101/%EC%B5%9C%EC%9B%90%EC%9E%AC/leemangyu/index.html 이만규]===
 +
===[https://www.youtube.com/watch?v=pB51JChFtec 이만규와 한국근대교육사]===
 +
===[http://dh.aks.ac.kr/Edu/wiki/index.php/%EC%9D%B4%EB%A7%8C%EA%B7%9C%EC%99%80_%ED%95%9C%EA%B5%AD%EA%B7%BC%EB%8C%80%EA%B5%90%EC%9C%A1%EC%9E%90%EB%A3%8C_%EB%94%94%EC%A7%80%ED%84%B8_%ED%81%90%EB%A0%88%EC%9D%B4%EC%85%94%EB%8B%9D 이만규와 디지털큐레이셔닝1]===
 +
===[http://dh.aks.ac.kr/Edu/wiki/index.php/%EC%9D%B4%EB%A7%8C%EA%B7%9C%EC%99%80_%ED%95%9C%EA%B5%AD%EA%B7%BC%EB%8C%80%EA%B5%90%EC%9C%A1%EC%9E%90%EB%A3%8C_%EB%94%94%EC%A7%80%ED%84%B8_%ED%81%90%EB%A0%88%EC%9D%B4%EC%85%94%EB%8B%9D.lst 이만규와 디지털큐레이셔닝2]===
 +
===[http://www.yes24.com/Product/Goods/88417811 인문기술자]===
 +
===[http://dh.aks.ac.kr/Edu/wiki/index.php/%EB%94%94%EC%A7%80%ED%84%B8_%ED%81%90%EB%A0%88%EC%9D%B4%EC%85%98 디지털 큐레이션_동국대학교]===
  
*스몰데이터
+
==최원재 프로젝트 2020==
 +
===[[내러티브_도학교재로서의_금남_최부_『표해록(漂海錄)』_연구_시맨틱_큐레이션_방법을 기반으로]]===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625726 역사 데이터 내러티브]===
 +
===표해록===
 +
*[[최부의 인맥]]
 +
*[http://dh.aks.ac.kr/Edu/wiki/index.php/%EC%B5%9C%EB%B6%80%EC%9D%98_%EC%9D%B8%EB%A7%A5.lst 최부의 인맥]
 +
*[[최부표해록 분석 및 클래스 설계]]
  
*온톨로지
+
===최부의 표해록 노드===
 +
*[http://dh.aks.ac.kr/Edu/wiki/index.php/DB-2019-F 표해록 노드]
  
*탐구정신
+
==최원재 프로젝트2021==
 +
===[[다포딜 로드]]===
 +
===[[수선화 시인들]]===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795686 디지털 데이터 내러티브: 문학, ‘수선화 시인들']===
 +
===[[데이터 리터러시, '아하! 순간', 송남잡지]]===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783765 데이터 리터러시 교육과 『송남잡지』]===
 +
===[[유럽의 디지털 인문학]]===
 +
===[[유년필독]]===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803157 이큐레이션(E-curation) 역사 수업 - 『유년필독』을 중심으로 -]===
 +
===[[조선의 몽골 인식과 그 흔적 -  시맨틱 큐레이션]]===
 +
===[[디지털 데이터 내러티브와 불교수행]]===
 +
===[[서예역사]]===
 +
===[[만해 한용운]]===
 +
===[[신흥무관학교]]===
 +
===[[데이터 과학과 성경]]===
 +
===[[개화기 교육학]]===
 +
===[[개화기 미술교육]]===
 +
===[[개화기 해외학교]]===
 +
===[[민화]]===
 +
===[[동남아와 한반도]]===
 +
===[[독립군 무기]]===
 +
===[[지리교육]]===
 +
===[[서예추상]]===
 +
===[[한반도 영어교육과 번역]]===
 +
===[[한국 여성잡지]]===
 +
===[[조선 개화기 과목별 교사일람]]===
 +
===[[조선 천주교 선교사]]===
 +
===[https://www.yes24.com/Product/Goods/106189354 심리기술자]===
  
==양명학==
+
==최원재 프로젝트2022==
주자학과 양명학은 유학 경전 <대학>을 해석하는 데에서 가장 뚜렷한 차이를 보인다. <대학>은 격물(格物) · 치지(致知) · 성의(誠意) · 정심(正心) · 수신(修身) · 제가(齊家) · 치국(治國) · 평천하(平天下)의 8조목이 핵심이다. 이 중 특히 처음 두 조목인 격물, 치지의 뜻을 파악하는 데서 주자학과 양명학의 다름이 두드러진다. 주희는 격물치지를 ‘사물의 이치를 철저하게 파악하여 앎을 이룬다’는 뜻으로 해석한 반면 양명학의 창시자 왕수인은 격물치지를 ‘바르지 않은 것을 바르게 해서 앎을 이룬다’는 뜻으로 해석했다. , 주희는 진리탐구를 중시하고 왕수인은 도덕 실천을 중시하는 것이 되어, 오늘날 주자학을 이학(理學), 양명학을 심학(心學)이라고도 하게 된 것이다. 해석의 차이는 먼저 글자의 뜻을 달리 파악하기 때문에 생기는 것이다. 주희는 격물치지의 ‘격(格)’을 ‘사물의 이치를 철저히 파악한다’, 즉 ‘궁리(窮理)’의 뜻으로 이해한 반면 왕수인은 격에 자격의 뜻이 있다고 하여, 격을 ‘바르지 않은 것을 바르게 한다’, 즉 ‘정기부정(正基不正)’으로 이해했다. 이렇게 할 경우 ‘물(物)’의 의미도 심각하게 달라진다. 주희에게 물은 나와 따로 존재하는 ‘객관적 대상’일 뿐이지만 왕수인에게 물은 바를 수도 있고 바르지 않을 수도 있어서 내가 주체가 되어 파악하여야 할 ‘주관적 대상’이 되는 것이다. 왕수인은 평소 ‘마음 바깥에 사물은 없다’는 말을 자주 했다고 한다. “각각의 개별적 사물에서 이를 구한다는 것은 가령 부모에게서 효의 이(理)를 구한다는 말과 같다. 부모에게서 효의 이를 구한다면 효의 이는 과연 내 마음에 있는가, 아니면 부모의 몸에 있는가?(왕수인 <견습록>, 민음한국사총서 02, 92쪽에서 재인용) 이것은 왕수인이 주희를 비판한 말이다. 앞에서 양명학은 도덕적 실천을 중시한다고 했다. 왕수인에 의하면 부모를 모시는 데 불효한 것이 바르지 않은 것이라면, 이런 바르지 않은 것을 바로잡아 효를 실천하는 것이 바로 ‘격물’이 되는 것이다. 주자학이 객관주의라면 양명학은 주관주의가 된다. 그런데 사실 인류 역사의 모든 사상은 이 객관주의와 주관주의라는 두 용어에 포괄된다. 가톨릭이 객관주의라면 프로테스탄티즘은 주관주의다. 가톨릭은 객관적 권위(교황)를 절대화하지만 프로테스탄티즘은 개인이 바이블이나 기도를 통해 교황의 개입 없이 신과 접촉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농업이 객관주의라면 상업은 주관주의다. 농사는 객관적인 자연의 법칙을 따라야 하지만 상업에는 매번 개인의 주관적 결단이 이루어져야 한다. 세계적으로 16세기는 가톨릭에서 프로테스탄티즘으로, 농업에서 상업으로 변화하는 시기였다. 중앙집권체제와 정착민의 삶은 객관적이어야 한다. 그러나 지방분권체제와 유목민의 삶은 주관적이어야 한다. 조선에서는 16세기에 양명학이 대두되었지만 주자학에 밀려 세를 얻지 못했다. <ref>출처: [주자학과 양명학, 어떻게 다른가
+
===[[수선화 한국학]]===
[2017년 5월 12일 / 제121호] 김갑수의 조선역사 에세이 - 61]</ref><br/>
+
===[[디지털 데이터 내러티브를 통한 창의력 계발 수업 모델 개발 – ‘수선화 한국학’ ]]===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814146 ESG 개념을 활용한 디지털 데이터 내러티브 교육 ]===
 +
===[[디지털 데이터 필사]]===
 +
===[[역사 데이터베이스]]===
 +
===[[3D 타임머신]]===
 +
===[[디지털 데이터 내러티브: 번역, '아저씨, 아가씨']]===
 +
===[[한국삼육고등학교]]===
 +
===[[폭력의 심층기제]]===
 +
===[[성공회 조선 선교사]]===
 +
===[http://www.skhnews.or.kr/news/articleView.html?idxno=272 성공회 신문 모닝캄 연재 기사]===
 +
===[[모닝캄(The Morning Calm)]]===
 +
===[[모닝캄 포토(The Morning Calm Photo)]]===
 +
===[[만해 한용운과 기독교]]===
 +
===[https://scholar.kyobobook.co.kr/article/detail/4010036870849 휴타고지 시대의 고등교육 방안: 디지털 데이터 내러티브]===
 +
===[http://www.kohisedu.or.kr/notice/view.php?idx=122 2022년 역사와교육학회 추계학술대회]===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882918 디지털 데이터 시대의 연구·교육 방안: 디지털 데이터 내러티브 - 『모닝캄』 시맨틱 데이터 큐레이션-]===
 +
===[http://digerati.aks.ac.kr/DhLab/2021/101/WonJe/KHUHERC/KHUHERC.htm HERC]===
 +
===[[한국문화융합학회 추계학술대회]]===
 +
===[https://kaeim.jams.or.kr/co/com/EgovMenu.kci?s_url=/po/community/notice/noticeView.kci&s_MenuId=MENU-000000000061000&notiSeq=000000032074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한국교육공학회 추계공동학술대회]===
 +
===[[창의력 계발 교과목 개발 방안: 디지털 분류술(分流術)]]===
 +
===[http://www.hkb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98108 치명적 독 미세플라스틱]===
 +
===[https://keastwest.or.kr/%EA%B3%B5%EC%A7%80%EC%82%AC%ED%95%AD/11571810 2022 한국동서비교문학학회 추계 정기학술대회]===
 +
===[[모순 연습: 재즈와 메타버스]]===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913839 메타버스와 재즈의 모순 연습 Metaverse and Contradiction Practice of Jazz]===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899021 메타버스 강의 개발 : 블렌더 활용 ‘3D 타임머신’ 강의]===
 +
===[[메타버스 교육 생태계]]===
 +
===[[조선 후기 실학적 교육서 송남잡지]]===
 +
===[http://www.segyenewsagency.com/news/articleView.html?idxno=488567 송남잡지를 통해 본 신교육 선각자 송남 조재삼]===
  
주자학 일변도로 정착되어 있던 당시의 유학계에서는 양명학 배척론이 우세하여 그 유입을 금하고, 양명학을 수용하고자 노력했던 학자들을 이단(異端)또는 사문난적(斯文亂的)이라 하여 배척하였다. 이것은 박세당(朴世堂)이 주자학을 비판하자 이를 사문난적이라 하여 유배시킨 사건과 흡사하다. 양명학 반대론자의 대표자는 이황(李滉)으로서, 그는『전습록변(傳習錄辨)』을 지어 양명의『전습록』이론을 성리학에 의하여 비판하였다. 그를 따르던 학자들과 후대의 성리학자들이 참여하여 양명학 배척의 분위기가 고조 되었다. 유성룡(柳成龍)은 왕양명이 주자학을 비판한 것을 다시 조목별로 반박하기도 하였다. 이 사건은 이후 조선 유학계를 더욱 성리학 일변도로 만들어 고답적이고 고지식한 경향을 띠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그러나 양명학 찬성론자들은 주자학 일변도를 비판하고 조선 유학의 활성화를 위하여 양명학의 필요성을 주장하였다. 양명학을 연구한 학자로는 남언경(南彦經), 이요(李謠), 최명길(崔鳴吉), 장유(張維) 등이며, 하곡(霞谷), 정제두(鄭齊斗)는 조선 양명학 연구의 최고봉이다. 후일 실학자 이익(李瀷)은 주자학의 주지주의(主知主義) 경향의 공리공론을 비판하였으며, 구한 말 박은식(朴殷植)은 유교를 대중화하고 민중의 유교로 전환시키기 위해서 양명학이 필수적이라는 유교구신론(儒敎求新論)을 주장하였다. 다른 한편으로 정인보(鄭寅普)는 『양명학연론(陽明學演論)』을 저술하여 미지의 영역이었던 한국 양명학의 연원을 찾는 데 중대한 시금석을 마련하였다.<ref>출처: [양명학 논쟁 ([陽明學 論爭]) http://www.laborsbook.org/dic/view.php?dic_part=dic05&idx=2444 ]</ref><br/>
+
==최원재 프로젝트 2023==
 +
1학기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927054 태동기의 메타버스 대학교육 진단]===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936571 메타버스를 위한 철학과 교육]===
 +
===[[K–컬처가 소환한 가상세계의 환류]]===
 +
===[https://www.segyenewsagency.com/news/articleView.html?idxno=498132 송남잡지 톺아보기]===
 +
===[http://www.skhnews.or.kr/news/articleView.html?idxno=341 성공회 모닝캄 연재]===
 +
===[[한국한문교육학회 2023 춘계 학술대회]]===
 +
===[[코로나 세대를 위한 공적 기독교 교육]]===
  
조선 양명학은 정제두에 이르러 집대성됨으로써 절정을 이루었다. 17세기 후반에서 18세기 초에 걸쳐 활동하였던 정제두는 주자학을 정통 학술로 삼았던 조선 학계에서 죽음을 무릅쓰고 양명학을 깊이 연구하였다. 그는 남언경과 장유의 학설을 수용하여 발전시키고 최명길의 학풍에도 접근하여 조선 양명학을 계통적으로 이어나갔을 뿐만 아니라, 정주학자 중에서 기대승(奇大升)과 윤증(尹拯)의 학문을 존중하여 자신의 양명학 체계에 수렴하였다. 주자학이 지배하던 학문 풍토 속에서 양명학에 대하여 심도 깊은 연구를 수행하던 그의 학문 태도는 새로운 학문에 대한 호기심 차원을 넘어 성학(聖學)에 대한 굳은 신념에 기반을 둔 것이었으며, 이는 훗날 강화 지역을 중심으로 다양하게 계승 발전되었다. 정제두는 1711년(숙종 37) 8월 경기도 안산에서 강화로 이주하는데, 이를 계기로 생을 마칠 때인 1736년(영조 12)까지 그곳에 거주하면서 정후일(鄭厚一)과 이광사(李匡師) 등에게 강학하였다. 이후 이영익(李令翊), 이충익(李忠翊), 정동유(鄭東愈), 이면백(李勉伯), 이시원(李是遠) 등을 거쳐 신작(申綽), 이건창(李建昌), 이건방(李建芳) 등에게로 이어져 하나의 학파를 형성하였다. 이를 일반적으로 ‘강화학파’라고 부른다. 강화학파의 학풍은 근대의 정인보에게 전수되었으며, 박은식(朴殷植)이나 송진우(宋鎭禹) 역시 정인보와 교유하는 과정에서 영향을 받았다. 조선후기 실학파와 개화파의 사상에 큰 영향을 끼쳤다. 실학의 형성에 영향을 준 것으로는 서구의 종교 및 과학 사상, 청대의 고증학과 양명학 등을 들 수 있는데, 학문의 자율성을 추구하는 입장에서 주자학의 편협성과 배타성을 비판하고 현실 타개를 중시하여 지도 이념과 현실 일치를 주장한 양명학의 사상과 정신이 실학에 끼친 영향은 적지 않다. 이처럼 조선후기의 양명학은 주자학의 정통적 권위에서 벗어나는 하나의 통로를 열어 주었고, 실학사상의 형성에도 일정한 영향을 끼쳤다는 점에서 이 시대 사상사에 의미 있는 기능을 담당하였다.<ref>출처: [양명학(陽明學)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EC%96%91%EB%AA%85%ED%95%99(%E9%99%BD%E6%98%8E%E5%AD%B8)]</ref><br/>
+
===게임으로 보는 조선의 가상세계 구현===
 +
===[[3D 타임머신 2023]]===
  
주자학과 쌍벽을 이루며 동아시아 근세사상사에서 다른 한 축을 구성하는 양명학은 근세 일본에서 어떠한 위치를 점하고 있었을까? 통설에 의하면 일본인이 양명학을 처음 알게 된 것은 1660년 전후의 시기라고 한다. 또 이 17세기는 일본에서 신유교(新儒敎)가 활발하게 수용되어 사상계가 비약적으로 발전한 시대이며 주자학파와 양명학파 이외에도 유교사상의 안티테제로서 출발한 고학파(古學派), 고문사학파(古文辭學派) 등이 성행한 시대이기도 하다. 그러나 주자학의 사상사적 위상에 비하여 도쿠가와 시대 일본에서의 양명학은 비록 다수의 양명학자를 배출했다고는 하나 그다지 주목받는 사조가 아니었다. 본격적으로 일본에서 양명학이 사회적으로 영향력을 행사하기 시작한 것은 막말유신기이며, 메이지시대가 되어 비로소 그 찬란한 빛을 발하기 시작했다고 말할 수 있다. 근세 이후 일본 지식인층에서의 유교사상에 대한 인식은 다름 아닌 중화사상(中華思想)에 대한 초월과 극복의 과정이었으며, 양명학은 막말기(幕末期) 일본 지식인층들에게 지사정신(志士情神)으로서 높이 숭앙받았던 사상적 조류였다. 그 단적인 예가 주자학의 안티테제로서 등장한 고학파(古學派)와 국학파(國學派), 미토학(水戶學) 등이 대표적이다. 이러한 경향은 양명학에 대해서도 말할 수 있다. 양명학(=요메이가쿠)이라는 명칭 자체는 일본에서 만들어진 신조어(新造語)이며 본토 중국에서의 명칭은 요강학(姚江學)이나 심학(心學)으로 불리던 것이었다. 고지마 쓰요시(小島毅)는 근년 근대 일본의 양명학(近代日本の陽明学)(講談社, 2006)을 간행했는데, 여기서 주목할 것은 일본 근대 메이지(明治) 제국을 지탱한 세 가지 사상 축으로서 칸트(독일 철학자)와 양명학 및 무사도(武士道)를 언급했다는 점이다. 이러한 내용은 이 책의 에피소드 넷째 부분에서 소제목으로서 명명한 「제국을 지탱한 사상─칸트․무사도(武士道)․양명학(陽明學)─」이라는 것에서도 쉽게 알 수 있다. 일본 근대 메이지시대의 대표적 양명학자인 미시마 주슈(三島中洲)는 1877년 도쿄(東京) 치요다쿠(千代田区) 고지마치(麹町)의 자택에서 한학(漢學) 전문학교를 개설하고 후에 도쿄 구단(九段)에서 니쇼가쿠샤(二松学舎)를 설립하였다. 이 니쇼가쿠샤(二松学舎)는 미시마 주슈(三島中洲)의 학문정신에 의거하여 양명학에 의한 교육을 표방하는 학교였다. 지금도 일본의 양명학 연구의 메카라 하면 이 학교를 꼽고 있으며 양명학 정신에 의거한 건학 정신이 아직도 유지되고 있다. 덧붙이면 나카에 조민(中江兆民), 나쓰메 소세키(夏目漱石) 이누카이 쓰요시(犬養毅) 등 일본 근대의 대표적 지식인들도 이 학교 출신이었다. 그리고 일본 근대기에 양명학을 보편화시킨 인물로서 미야케 세쓰레이(三宅雪嶺)와 그가 참여한 국수주의자들의 문화단체인 세이쿄샤(政敎社)에 주목해 보면 이것은 양명학을 국수주의적 입장과 연결시키는 시도를 했다고 볼 수 있다. 다른 한편 메이지시대에 양명학이 기독교와 매우 닮아있다는 점을 강조하면서 양명학을‘기독교화(基督敎化)’하려 했던 인물로서 우치무라 간조(内村鑑三)의 존재도 있다. 우치무라 간조는 그 자신이 영어로 정리한 대표적 일본인代表的日本人(1894년)이라는 저서에서 사이고 다카모리(西鄕隆盛)가 양명학자였다고 하는 견해를 밝힘으로써 구미(歐美) 지역에서 사이고 다카모리를 폭넓게 인지시키는 효과를 얻기도 하였다. 이와 비슷하게 니토베 이나조新渡戶稻造의 무사도武士道(1899년)도 무사도정신의 기초로서 양명학을 언급한다. 이처럼 메이지시대가 되어 양명학은 다양한 측면에서 각광받기에 이르렀다고 볼 수 있다. 도쿠가와 시대에는 그다지 빛을 발하지 못했지만, 막말유신기부터 서서히 그 위력을 발휘했다고 볼 수 있다. 왜 주자학이 아니고 양명학이 일본에서 각광을 받았던 것일까? 그것은 양명학이 지닌 특징이 ‘이론 지향’보다는 ‘실천 지향’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그 담당자들이 활동한 시대적 상황이 막말유신기의 상황과 유사하다는 점―중국 양명학은 명대 중기부터 명대 말기까지 성행하였는데, 이 시기는 명조(明朝)가 대내외적으로 혼란과 위기를 겪고 있던 시기이며 이러한 점이 일본의 막말유신기와 유사하다는 점―, 그리고 중국의 양명학자들이 사회질서의 구축과 유지에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는 점 등이 일본의 재야 지식인층에게 매력으로 다가왔을 것이다.  <ref> 출처: [일본 근대 학술사조와 양명학- 신현승 http://www.asiaticresearch.org/front/board/view.do?board_master_seq=3740&board_seq=46639]</ref>
+
===[[역사학과 빅데이터]]===
  
==강화양명학==
+
===[[역사정보데이터베이스]]===
  
강화학파는 조선 후기의 대표적인 양명학자인 하곡 정제두(霞谷 鄭齊斗)와 이광려 등을 주축으로 한 학파를 이르는 말이다. 정제두는 강화도를 거점으로 학문을 닦고 연구하면서 저술을 남겼다. 그의 학문이 확립된 이후 그 아들인 정후일(政厚一)과 그의 문인인 이광명(李匡鳴), 이광려(李匡呂)등에게 전승되었다. 이후 가학(家學)으로 전승되었는데, 이와 같이 정제두를 중심으로 전개되는 학통을 '하곡학', '강화학', '강화양명학', '강화하곡학', 등으로 부르고 이러한 학문을 연구하는 학자를 강화학파라고 하였다. 학술의 내용으로 보면, 그들은 정제두 이래로 양명학을 수용하고 도교와 불교까지 섭렵하고자 했고, 이학(理學:유학)보다는 한학(漢學)을 연구하고 동시에 국학(國學)을 일으켰다. 양명학을 비판적으로 수용했을 뿐만 아니라, 고증학(考證學)의 방법론을 주체적으로 소화했으며, 훈민정음연구·국어학·국사학·서법(書法)·문자학·문헌학 분야에서 탁월한 논저들을 남겼다. 강화학파의 학자들에는 서법에 이광사(李匡師), 국사학에 이긍익(李肯翊)과 황현(黃玹), 한학(漢學)에 신작(申綽), 훈민정음연구에 유희(柳喜), 문자학에 남정화(南廷和), 문헌학에 남극관(南克寬) 등 오늘날 국학 분야에서 거론되는 선구자들 가운데 많은 이들이 이 학맥에 속한다. 홍양호(洪良浩)나 이종휘(李種徽)같은 학자들도 이들과 직접 관련이 있다.<ref>출처: [강화학파 http://dh.aks.ac.kr/Encyves/wiki/index.php/%EA%B0%95%ED%99%94%ED%95%99%ED%8C%8C]</ref>
+
===[[빅데이터기반 교육 솔루션]]===
  
“하곡 이전에 양명학을 연구한 남언경·장유·최명길·이유 등을 하곡학의 연원으로 꼽을 수 있다. 하곡학파를 형성한 초기 인물로는 이광명·이광사·이광신·심육 등이 있다. 그 다음 세대로는 이영익·이충익·신대우·정동유·이면백 등이며, 또 그 다음 세대의 이시원·이지원·이건창·이건승·이건방을 거쳐 정인보에 이르렀다.”하곡학의 특징은“조선 후기 실학의 실질적인 발상지였다. 하곡의 직계 제자들은 ‘실심실학(實心實學)’이란 용어를 사용했다. 실심실학이 바로 하곡학의 핵심이다. 해방 이후 우리 학계에서 ‘실학’은 경세치용·이용후생의 실리적 측면만 주목 받았다. 하곡학으로 실학의 실체를 다시 파악해야 한다. 실학에서 학파로서 실제 존재했던 것은 하곡학파였다.”“‘실심’이란 자기를 속이지 않는 참된 마음을 가리킨다. 실학이란 이러한 마음을 가지고 부단히 변화하는 현실에서 실천하는 학문을 말한다. 실심실학은 자기의 사적인 실리만을 챙기면서 도덕을 빠트린 ‘실용실학’과 차별성을 갖는다. 뿐만 아니라 현실을 직시하지 못하고 맹목적 명분에 빠진 이상주의를 극복할 수 있는 철학이다. 하곡학은 대의명분을 중시하던 조선시대에 실심을 강조하여 우리의 역사와 한글을 연구하는 실학의 원류가 되었다.”<ref> 출처: [‘실학의 뿌리’ 하곡학은 퇴계·율곡학과 함께 조선 3대 학파. 중앙일보] </ref>
+
===[[Spot Virtual]]===
  
강화학파는 1709년 하곡(霞谷) 정제두(鄭齊斗)가 가까이 지내던 소론의 정치적 박해를 피해 강화도로 물러나 은거하면서 소론학자 중심의 학맥이 200여 년 동안 형성된 것을 지칭한다. 심즉리(心卽理), 치양지(致良知)의 양명학설을 따른 강화학파는 비록 이기론을 사상적 기초로 삼았지만 ‘공평의 원칙’과 시세에 얽매이지 않는 ‘자주적인 실사구시’의 이론적 기초를 마련해주어 한말 민족주의 학자들에게 영향을 주었을뿐 아니라 강화 3·1 운동의 근거를 마련하였다. 하지만 한국 전통사회에 전래된 가톨릭은 ‘척사위정’의 유교적 가치관과 갈등과 위기를 겪을 수밖에 없었는데, 「황사영백서」 사건으로 인해, 가톨릭에 대한 강력한 박해로 귀결되었다. 황사영이 로마교황청에 보내려다 중도에 발각된 것이 「황사영백서」 사건인데, 그 서신에 ‘전함 수백 척과 정병 5~6만을 내어 대포 등 강력한 무기를 다량으로 싣고 와서’ 엄포를 놓으라고 요청한 사실에서 ‘나라는 없어져도 교회는 존속해야한다’는 반민족적인 주장이 확인되었고 이는 한국전통사회가 반가톨릭적 입장을 견지하게 하여 나중에 전래된 개신교 또한 배척하기에 이른 것이다. 개신교에 대하여 반감을 가지게 된 전통 유교사회에서 강화개신교는 적극적으로 한국 민족이 처한 상황을 탈피하고자 ‘민족교회’로서의 방향을 설정하여 성과를 거두었다. 강화의 3·1운동은 길상면 지역의 감리교 교인이 중심이 되어 계획이 수립되었으며 치밀하고 조직적으로 전개되었다고 한다(『강화중앙교회 100년사』). 강화의 감리교 개신교의 전래와 강화학파와의 관련성을 보다 집중적으로 조명해볼 필요가 있다. 이러한 과제는 정제두의 양명학을 ‘강화학파’로 지칭하여 세계화에 힘쓰는 지역 지식인 중 다수가 크리스찬임을 생각할 때 강화의 문화지형은 감리교 개신교가 중요한 축을 담당하고 있음을 간과하여서는 안될 것이다. <ref>출처: [문화·종교·사상이 어우러진 공간-강화도 _ 옥한석 로컬리티의 인문학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3•5/6 Vol] </ref><br/>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953808 가상세계 활용 교육을 위한 인지 전환 이론과 실천방안]===
  
 +
===역사와 교육학회 2023 춘계 학술대회===
 +
[http://www.kohisedu.or.kr/notice/view.php?idx=132 역사와 교육학회 2023 춘계 학술대회]
  
 +
[http://terms.tta.or.kr/dictionary/dictionaryView.do?subject=%EA%B0%80%EC%83%81+%EC%84%B8%EA%B3%84 정보통신용어사전 가상세계]
  
* 강화군에서 현(근)대 정치는 1900년대 초 강화양명학계열과 기독교 계열의 독립애국운동, 교육운동, 청년운동 등에서 연원이 시작된 것으로 봐야 할 것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977220 한자의 가상세계성과 한자 교육 패러다임 시프트]===
[[http://www.ganghwa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4113]]
 
  
 +
===[[만해 한용운을 통한 근현대문화지형 해석데이터 구축]]===
  
* 정제두 [http://dh.aks.ac.kr/Encyves/wiki/index.php/%EC%A0%95%EC%A0%9C%EB%91%90]
+
2학기
* 만주로 집단 망명한 양명학자들 [[http://peoplesculture.or.kr/laboratory/laboratory03.php?ptype=view&code=laboratory03&idx=5150]]
+
===[[빅데이터와 학습분석]]===
* 강화도에 '유배' 간 양명학 시대 뛰어넘은 개혁성 조명 [[https://news.joins.com/article/1710983]]
 
* 만주로 떠난 사람들과 조선귀족(朝鮮貴族)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7/10/18/2017101800063.html]]
 
* 일본 근대 학술사조와 양명학- 신현승 [[http://www.asiaticresearch.org/front/board/view.do?board_master_seq=3740&board_seq=46639]]
 
* 강화학파 이건승 [[https://m.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18688556&memberNo=24167781]]
 
* 하곡학과 실학 [[http://www.isi.or.kr/data/monthly_main/h.pdf]]
 
* 주종 복종은 유학이 아니다[[http://well.hani.co.kr/469656]]
 
  
==기독교==
+
===[[테크놀로지기반학습]]===
* 강화도성지순례 [[https://anytimebus.tistory.com/3]]
 
* 한국 기독 교회사 [[http://photohs.co.kr/xe/kyungki_kyodong/7244]]
 
* 한국교회 문화유산 답사기 ⑫ ] 강화도 [[http://www.kidok.com/news/articleView.html?idxno=71552]]
 
* [202호 기독교 유적지 답사⑥] 이야기 섬, 강화 가는 길 [[http://www.newsnjoy.or.kr/news/articleView.html?idxno=21617]]
 
* 강화도 기독교 역사 이야기 8회 [[http://m.blog.daum.net/leeeunyong/18267092]]
 
* "개신교 성장, 하곡학과 관련있다" [[http://m.newspower.co.kr/a.html?uid=15506]]
 
* 한국교회사 [[http://www.saeronam.or.kr/home/tour_zone5]]
 
* 뼛 속까지 유교 숭배자, 예수 따르다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012101045]]
 
* 이야기 한국교회사(1) 조선의 바울 김창식 목사 [[http://www.thetruthlighthouse.org/%EC%9D%B4%EC%95%BC%EA%B8%B0-%ED%95%9C%EA%B5%AD%EA%B5%90%ED%9A%8C%EC%82%AC1-%EC%A1%B0%EC%84%A0%EC%9D%98-%EB%B0%94%EC%9A%B8-%EA%B9%80%EC%B0%BD%EC%8B%9D-%EB%AA%A9%EC%82%AC/]]
 
* 장로교와 감리교 [[https://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sixmania&logNo=60013571688&proxyReferer=https%3A%2F%2Fwww.google.com%2F]]
 
* 개신교 감리교의 강화도 전래와 문화변동 [[http://www.kgeography.or.kr/homepage/kgeography/www/old/publishing/journal/49/05/05.pdf]]
 
  
==독립운동==
+
===[[역사학과인접학문의융합교육]]===
* 강화 기독교인들, 3.18 만세운동 주도 [[http://enews.incheon.go.kr/usr/com/prm/BBSDetail.do?bbsId=BBSMSTR_000000000394&nttId=5343&menuNo=3000&upperMenuId=3]]
 
* 스무 살 청년 마음속'애국애족의 횃불'타오르다 [[http://www.incheonilbo.com/news/articleView.html?idxno=411968#08hF]]
 
* 丁未의병서 만세운동까지.. 항일투쟁 맥 이은 '결사대장 유봉진'[[https://news.v.daum.net/v/gFrXdYzwZ9?f=p]]
 
* 강화도 백범길···역사 탐방지로 만든다 [[http://www.ktv.go.kr/news/latest/view?content_id=564200&unit=265]]
 
* 1946년 11월 18일 김구선생 강화방문 사진 발견 [[http://www.ganghwa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3300]]
 
  
==교육==
+
===[[역사학과 빅데이터 2]]===
  
==디아스포라==
+
===[[역사학과 빅데이터]]===
 +
 
 +
===[[디지털 큐레이션]]===
 +
 
 +
===[[디지털역사문화콘텐츠]]===

2023년 10월 10일 (화) 10:44 기준 최신판

목차

최원재 프로젝트 2019

성경

조선왕조중농주의

떡살문양

서예

강화중앙교회 디아스포라

강화잠두교회 항일운동지

강화중앙교회

강화감리교

이만규

이만규와 한국근대교육사

이만규와 디지털큐레이셔닝1

이만규와 디지털큐레이셔닝2

인문기술자

디지털 큐레이션_동국대학교

최원재 프로젝트 2020

내러티브_도학교재로서의_금남_최부_『표해록(漂海錄)』_연구_시맨틱_큐레이션_방법을 기반으로

역사 데이터 내러티브

표해록

최부의 표해록 노드

최원재 프로젝트2021

다포딜 로드

수선화 시인들

디지털 데이터 내러티브: 문학, ‘수선화 시인들'

데이터 리터러시, '아하! 순간', 송남잡지

데이터 리터러시 교육과 『송남잡지』

유럽의 디지털 인문학

유년필독

이큐레이션(E-curation) 역사 수업 - 『유년필독』을 중심으로 -

조선의 몽골 인식과 그 흔적 - 시맨틱 큐레이션

디지털 데이터 내러티브와 불교수행

서예역사

만해 한용운

신흥무관학교

데이터 과학과 성경

개화기 교육학

개화기 미술교육

개화기 해외학교

민화

동남아와 한반도

독립군 무기

지리교육

서예추상

한반도 영어교육과 번역

한국 여성잡지

조선 개화기 과목별 교사일람

조선 천주교 선교사

심리기술자

최원재 프로젝트2022

수선화 한국학

디지털 데이터 내러티브를 통한 창의력 계발 수업 모델 개발 – ‘수선화 한국학’

ESG 개념을 활용한 디지털 데이터 내러티브 교육

디지털 데이터 필사

역사 데이터베이스

3D 타임머신

디지털 데이터 내러티브: 번역, '아저씨, 아가씨'

한국삼육고등학교

폭력의 심층기제

성공회 조선 선교사

성공회 신문 모닝캄 연재 기사

모닝캄(The Morning Calm)

모닝캄 포토(The Morning Calm Photo)

만해 한용운과 기독교

휴타고지 시대의 고등교육 방안: 디지털 데이터 내러티브

2022년 역사와교육학회 추계학술대회

디지털 데이터 시대의 연구·교육 방안: 디지털 데이터 내러티브 - 『모닝캄』 시맨틱 데이터 큐레이션-

HERC

한국문화융합학회 추계학술대회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한국교육공학회 추계공동학술대회

창의력 계발 교과목 개발 방안: 디지털 분류술(分流術)

치명적 독 미세플라스틱

2022 한국동서비교문학학회 추계 정기학술대회

모순 연습: 재즈와 메타버스

메타버스와 재즈의 모순 연습 Metaverse and Contradiction Practice of Jazz

메타버스 강의 개발 : 블렌더 활용 ‘3D 타임머신’ 강의

메타버스 교육 생태계

조선 후기 실학적 교육서 송남잡지

송남잡지를 통해 본 신교육 선각자 송남 조재삼

최원재 프로젝트 2023

1학기

태동기의 메타버스 대학교육 진단

메타버스를 위한 철학과 교육

K–컬처가 소환한 가상세계의 환류

송남잡지 톺아보기

성공회 모닝캄 연재

한국한문교육학회 2023 춘계 학술대회

코로나 세대를 위한 공적 기독교 교육

게임으로 보는 조선의 가상세계 구현

3D 타임머신 2023

역사학과 빅데이터

역사정보데이터베이스

빅데이터기반 교육 솔루션

Spot Virtual

가상세계 활용 교육을 위한 인지 전환 이론과 실천방안

역사와 교육학회 2023 춘계 학술대회

역사와 교육학회 2023 춘계 학술대회

정보통신용어사전 가상세계

한자의 가상세계성과 한자 교육 패러다임 시프트

만해 한용운을 통한 근현대문화지형 해석데이터 구축

2학기

빅데이터와 학습분석

테크놀로지기반학습

역사학과인접학문의융합교육

역사학과 빅데이터 2

역사학과 빅데이터

디지털 큐레이션

디지털역사문화콘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