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HU구본규

onthedh
구본규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2년 4월 4일 (월) 14:38 판

이동: 둘러보기, 검색

덕수궁 소개

덕수궁의 위치와 역할

임진왜란 중인 1593년(선조 26)에 선조가 피난지인 의주에서 서울로 돌아와 정릉동에 있던 월산대군(月山大君)의 사저에 머물면서 행궁으로 사용하던 곳을 1611년에(광해군 3) 광해군이 처음 경운궁이라 이름 붙였다(『광해군일기』 3년 10월 11일). 1623년(인조 1)에는 인조반정 뒤에 인조가 경운궁 즉조당(卽祚堂)에서 즉위하였으며(『인조실록』 1년 3월 13일), 이후 1748년(영조 24)에는 영조가 인조의 즉위처를 확인하기 위해 경운궁에 임어하기도 했다(『영조실록』 24년 1월 27일). 고종 이전까지 명례궁(明禮宮)이 자리하기도 했다.
고종대 황폐한 이곳에 새롭게 궁궐을 조성했다. 1893년(고종 30)에는 고종이 즉조당에서 선조 환도 300주년을 기념하는 의식을 치렀다(『고종실록』 30년 10월 4일). 1896년(고종 33) 명성황후(明成皇后)가 일본인에 의해 살해되는 을미사변이후 고종이 러시아 공사관으로 파천(播遷)한 이후 대한제국을 선포하고 정궁으로 삼고자 경운궁을 영건하였다.
1897년(광무 1) 고종이 환구단에서 황제로 즉위하고 경운궁으로 돌아와 대한제국을 선포하자 경운궁은 황궁(皇宮)으로 격상되었다. 1907년(융희 1) 고종이 일제에 의하여 강제로 퇴위된 이후 고종의 호를 덕수(德壽)로 하였기 때문에 경운궁은 덕수궁(德壽宮)으로 불렸다. 속칭 정릉동 황궁(皇宮)으로 불리기도 하였다.
고종 사후인 1921년에는 경운궁선원전(璿源殿), 순종 비의 혼전인 의효전(懿孝殿)을 창덕궁으로 이건한 뒤, 궁역 서북부가 분할·매각되었다. 1945년 해방 이후에는 미군정의 사무소와 미소공동위원회의 회의장으로 석조전(石造殿)이 사용되었으며, 1948년에는 정부 수립과 광복 3주년을 기념하는 의식이 거행되는 등 정치의 중심으로 활용되기도 하였다. 이후 경운궁은 덕수궁으로 통칭되며 시민공원으로 활용되거나 음악공연장으로 사용되기도 하였으며, 석조전과 그 별관은 국립미술관, 궁중유물전시관 등으로 이용되면서 문화의 중심지 역할을 하기도 하였다.
서울특별시 중구 정동에 위치하며 임진왜란기와 광해군대 임시 궁궐인 행궁으로 사용되었다가 인조반정 이후 폐기되었다가 고종이 대한제국을 선포하면서 황궁으로 이용되었다.

덕수궁의 역사

이름의 유래와 변천사(전릉동 행궁, 경운궁, 덕수궁)

왕조와의 관계(선조, 광해군, 인조, 고종, 영조+계축일기)

덕수궁 건물별 소개(주요 전각들)

각 건물의 이름 유래

각 건물의 역할과 의미

각 건물의 완공과 훼손, 복원의 시기(연표)

각 건물의 건축 방법 및 특징

목제건축

석제건축

덕수궁에서 일어난 사건

아관파천(1896년)

대한제국 선포(1897년)

을사늑약(1905년)

고종황제 강제 퇴위(1907년)

고종황제 승하(1919년)

미·소 공동위원회 개최(1946년)

덕수궁 관람 루트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