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문서: 1910년대에 편찬된 『조선지지자료』(필사본)는 일부 자료의 분실과 지역별 조사의 균질성이 부족하지만, 전국적으로 약 18만 개에 달하는...)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Clickable button|[[『조선지지자료』의 고개지명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후부 요소 연구|Home (고개지명후부요소연구)]]}} | ||
+ | |||
1910년대에 편찬된 『조선지지자료』(필사본)는 일부 자료의 분실과 지역별 조사의 균질성이 부족하지만, 전국적으로 약 18만 개에 달하는 지명을 수록하고 있어 연구가치가 매우 높은 자료이다. 본 연구는 방대한 『조선지지자료』(필사본) 지명 데이터의 효율적인 분류 및 활용을 위하여 고개지명에 관한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목표로 삼았으며, 이를 기반으로 고개지명 후부 요소에 관한 지역별 특징 및 한자와 한글의 대응양상을 살피고자 했다. | 1910년대에 편찬된 『조선지지자료』(필사본)는 일부 자료의 분실과 지역별 조사의 균질성이 부족하지만, 전국적으로 약 18만 개에 달하는 지명을 수록하고 있어 연구가치가 매우 높은 자료이다. 본 연구는 방대한 『조선지지자료』(필사본) 지명 데이터의 효율적인 분류 및 활용을 위하여 고개지명에 관한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목표로 삼았으며, 이를 기반으로 고개지명 후부 요소에 관한 지역별 특징 및 한자와 한글의 대응양상을 살피고자 했다. | ||
대량의 데이터를 분석하기 위하여 파이썬과 SQL 프로그램을 이용해 총 12,775개의 고개지명 데이터를 추출했다. 후부 요소의 분석을 우선하기 위해 지명의 화동성을 고려하지 않았기에 고개지명의 종별분류는 후속연구를 기약한다. 추출된 고개지명은 원자료의 손상을 초래하지 않도록 온톨로지 설계방식에 의해 재구성했으며, 재구성된 자료는 연구의 목적에 따라 누구나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도록 웹상에 공개했다. | 대량의 데이터를 분석하기 위하여 파이썬과 SQL 프로그램을 이용해 총 12,775개의 고개지명 데이터를 추출했다. 후부 요소의 분석을 우선하기 위해 지명의 화동성을 고려하지 않았기에 고개지명의 종별분류는 후속연구를 기약한다. 추출된 고개지명은 원자료의 손상을 초래하지 않도록 온톨로지 설계방식에 의해 재구성했으며, 재구성된 자료는 연구의 목적에 따라 누구나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도록 웹상에 공개했다. |
2020년 8월 2일 (일) 17:04 기준 최신판
1910년대에 편찬된 『조선지지자료』(필사본)는 일부 자료의 분실과 지역별 조사의 균질성이 부족하지만, 전국적으로 약 18만 개에 달하는 지명을 수록하고 있어 연구가치가 매우 높은 자료이다. 본 연구는 방대한 『조선지지자료』(필사본) 지명 데이터의 효율적인 분류 및 활용을 위하여 고개지명에 관한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목표로 삼았으며, 이를 기반으로 고개지명 후부 요소에 관한 지역별 특징 및 한자와 한글의 대응양상을 살피고자 했다. 대량의 데이터를 분석하기 위하여 파이썬과 SQL 프로그램을 이용해 총 12,775개의 고개지명 데이터를 추출했다. 후부 요소의 분석을 우선하기 위해 지명의 화동성을 고려하지 않았기에 고개지명의 종별분류는 후속연구를 기약한다. 추출된 고개지명은 원자료의 손상을 초래하지 않도록 온톨로지 설계방식에 의해 재구성했으며, 재구성된 자료는 연구의 목적에 따라 누구나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도록 웹상에 공개했다. 고개지명 연구는 후부 요소의 특징 및 지역별 유사성, 한자와 한글의 대응양상을 분석했다. 특히 후부 요소에서 집중적으로 나타나는 한자 ‘현치영(峴峙嶺)’과 한글 ‘고개, 재’에 주목했다. 그 결과 경기지역과 북부지역 고개지명의 유사성과 경상북도와의 문화적 상관관계, 그리고 조선 중기 이후 남부지역에서 광범하게 나타나는 지명요소 ‘치(峙)’의 차별성이 드러났다.
20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