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Clickable button|[[국악 관련 아카이브|Home (국악)]]}} [[파일:오대가전.jpg|섬네일|오대가전(1965.2.2)]] 1961년 「정부조직법」 개정에 따른 1962년 2월 중앙국립극장 직제 제9조(전속단체) 1항에 의거하여 창단되었다. 초대 단장에 김연수(金演洙), 부단장에 김소희(金素姬), 간사에 박귀희(朴貴姬)였으며, 단원은 정원 25명 중 21명으로 창단을 보았다. 창극전통의 계승과 새로운 창극의 정립을 위해 세워진 이 창극단은 처음에는 국극단(國劇團)이라고 하였고, 1973년 5월 1일 창극단으로 개칭되었다. 단장은 초대 김연수에 이어 박동진(朴東鎭)·박귀희·박후성(朴厚性)으로 이어졌다. 1962년 창단 이래의 활동상황은 1969년까지는 대개 김연수, 박진(朴珍)의 연출에 의한 제1기, 1970년부터 1977년까지는 이진순(李眞淳)이 연출을 전담하였던 제2기, 그리고 그 뒤 거의 허규(許圭)작·연출로 이루어진 제3기로 나눌 수 있다. 제1기는 종래 창극의 형식을 그대로 답습하면서 좀 더 판소리 활용에 치중하여, 1968년 창극정립위원회(唱劇定立委員會)가 설치되어 우선 사대가(四大歌)의 극본을 정립하려 한 시기이고, 제2기는 확고한 창극정립의 목표 아래 창극의 전진을 시도한 과감한 전환기로 창극의 재건기로 볼 수 있고, 제3기는 전통적 한국의 판굿에 터전한 창극의 새로운 방향을 꾀한 시기로 볼 수 있다. 그동안 공연작품으로는 「춘향전」(1962년)·「수궁가」(1962년)·「배비장전」(1963년)·「춘향가」(1963년)·「흥보가」(1964년)·「오대가전(五大歌傳)」(1965년) 외에 「심청가」·「강릉매화전(江陵梅花傳)」·「광대가(廣大歌)」·「변강쇠타령」·「가루지기타령」·「최병도전」·「숙영낭자전」 등 수많은 작품이 무대에 올려졌다. 1999년 100회 정기공연인 「심청전」은 대성황을 이루었다. 2000년 현재 16년째 지속해온 『완창판소리 시리즈』는 1970년대의 『판소리 감상반』을 모태로 85년부터 매월 마지막 토요일 판소리 입문자에서 전공자에 이르기까지 판소리를 깊게 알고자 하는 사람들에게 중요한 길라잡이 역할을 해왔다. 판소리의 주요 애호가 중에는 외국인들도 있는데, 이미 5대가를 영어·불어·일어로 번역 출간한 바 있는 국립창극단은 ASEM 회의가 열리는 2000년 「춘향전」 공연과 더불어 베세토 연극제의 한국·중국·일본의 전통예술인이 합동으로 만드는 이색 「춘향전」에도 참여, 창극 국제화를 위한 새로운 시도를 벌였다.<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06253 한국민족문화대백과]</ref> ==공연정보==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width:96%; text-align:left; background:white;" " !style="width:15%"|구분||style="width:%"|일시||style="width:%"|장소||style="width:%"|공연명||style="width:%"|비고 |- |제1회||1962.3.23~3.29||국립극장||춘향전||박황 각색, 김연수 연출 |- |제2회||1962.10.13~10.15||국립극장||수궁가|| |- |제3회||1963.2.22~2.27||국립극장||배비장전|| |- |제4회||1963.6.14~6.17||국립극장||춘향전|| |- |제5회||1963.10.1~10.6||국립극장||백운랑|| |- |제6회||1964.3.17~3.23||국립극장||서라벌의 별||김동초 작, 박진 연출 |- |제7회||1964.9.19~6.23||국립극장||흥부가||추석특별대공연, 김연수 창지도 |- |''''''[[제8회국립국극단공연|제8회]]''''''||1965.2.2~2.6||국립극장||오대가전||구정대공연, 춘향가, 심청가, 흥부가, 수궁가, 적벽가 |- |제9회||1965.9.10~9.12||국립극장||판소리 추석대공연|| |- |제10회||1966.2.5~2.8||국립극장||대보름달맞이민속제전||판소리, 향토놀이 |- |제11회||1967.2.9~2.15||국립극장||흥보가||서항석 연출, 김연수 창지도 |- |제12회||1968.11.14~11.15||국립극장||판소리||심청가, 춘향가, 흥보가 |- |제14회||1969.9.26~9.29||국립극장||심청가||추석맞이대공연, 이진순 연출, 김천흥 안무 |- |||1970.5.2~5.3||국립극장||국립국극단특별공연||김연수 창지도 및 연출, 심청가, 흥보가, 수궁가, 개관20주년 |- |||1970.9.15~9.20||국립극장||춘향가||추석맞이 국립창극단 공연 |- |||1972.9.22~9.25||국립극장||흥보가||국립창극단 추석맞이대공연, 이진순 연출, 김연수 창지도 |- |제18회||1973.2.15~2.19||국립극장||배비장전||이진순 연출 |- |제19회||1974.3.22~3.25||국립극장||수궁가||김연수 편극, 이진순 연출 |- |제20회||1974.7.5~7.6||국립극장||판소리 흥보가 연창|| |- |제21회||1974.10.8~10.12||국립극장||수궁가||김연수 편극, 이진순 연출 |- |제22회||1975.319~3.23||국립극장||배비장전||이진순 연출, 최희선 안무 |- |제23회||1975.9.19~9.23||국립극장||대업||광복30주년기념, 박만규 극본, 이진순 연출, 박동진 창지도 |- |제24회||1976.4.15~4.17||국립극장||춘향전||이원경 각색, 연출 |- |제25회||1976.10.29~11.1||국립극장||수궁가||이진순 편극, 연출 |- |제26회||1977.3.24~3.27||국립극장||심청가||허규 연출, 김소희 창지도 |- |제27회||1977.9.16~9.19||국립극장||흥보가||이진순 연출, 박초월 창지도 |- |제28회||1978.5.12~5.16||국립극장||강릉매화전||이재현 극본, 허규 연출, 김소희 창지도 |- |제29회||1978.10.18~10.22||국립극장||3대창극연창공연||하규 구성, 연출 |- |제30회||1979.3.22~3.26||국립극장||광대가||허규 작, 허규 연출, 김소희 작창 |- |제31회||1979.10.7~10.11||국립극장 소극장||가로지기(변강쇠타령)||허규 작, 허규 연출, 박귀희 작창 |- |제32회||1980.4.9~4.13||국립극장||대춘향전||이원경 각색, 이원경 연출, 김소희 작창 |- |제33회||1980.10.10~10.14||국립극장 소극장||최병도전||허규 작, 허규 연출, 박귀희 작창 |- |제34회||1981.5.13~5.17||국립극장||수궁가||이진순 연출, 김소희 작창 |- |제35회||1981.9.8~9.14||국립극장 소극장||춘향전||허규 각색, 허규 연출, 박귀희 작창, 제6회 아시아예술제 참가작품 |- |제36회||1982.5.8~5.13||국립극장||심청||이진순 편극, 이진순 연출, 김소희 작창, 국립창극단 창단20주년기념 |- |제37회||1982.9.4~9.11||국립극장 소극장||흥보전||허규 연출, 강도근 작창 |- |제38회||1982.11.2~11.13||국립극장 소극장||춘향전||허규 연출, 정권진 연창,도창, 오정숙 도창 |- |제39회||1983.4.6~4.29||국립극장 소극장||토생원과 별주부||허규 편극, 허규 연출, 정광수 연창 |- |제40회||1983.5.28~6.2||국립극장||토생원과 별주부||허규 편극, 허규 연출, 정광수 연창 |- |제41회||1983.9.1~9.4||국립극장||부마사랑||허규 극본, 허규 연출, 정철호 연창 |- |제42회||1983.10.12~10.28||국립극장 소극장||부마사랑||허규 극본, 허규 연출, 정철호 연창 |- |제43회||1984.4.4~4.12||국립극장 소극장||심청가||허규 연출, 정권진 연창 |- |제44회||1984.6.15~6.20||국립극장 소극장||심청가||이재현 극본, 이원경 연출, 김소희 연창 |- |제45회||1984.9.27~9.30||국립극장||흥보가||허규 연출, 박봉술 연창 |- |||1985.4.4~4.8||||적벽가|| |- |제47회||1985.5.9~5.13||국립극장 소극장||적벽가||'85 청소년공연예술제 |- |제48회||1985.10.4~10.6||국립극장||광대의 꿈(가왕 송흥록전)||최인식 극본, 손진책 연출, 정철호 연창 |- |제50회||1986.3.27~3.30||국립극장||용마골장사||허규 작, 허규 연출, 정철호 작창 |- |제53회||1986.9.26~27||호암아트홀||수궁가||정광수 창본, 허규 편극, 박후성 연출, 정광수 작창 |- |제54회||1986.10.4~10.5||호암아트홀||용마골장사||허규 작, 허규 연출, 정철호 연창 |- |제55회||1986.10.18~10.20||국립극장||용마골장사|| |- |||1986.12.13~12.15||||윤봉길 의사|| |- |제57회||1987.3.21~3.26||국립극장||토끼타령|| 정광수 창본, 정광수 작창, 허규 편극, 연출 |- |제58회||1987.5.7~5.14||국립극장||춘향전|| '87 청소년 공연예술제, 일본초청공연작품 |- |제59회||1987.10.21~10.23||국립극장||두레|| 이보형 작, 심희만 연출, 정철호 작창 |- |||1988.2.16~2.21||국립극장||흥보전|| 김연수 각색, 이원경 연출, 오정숙 창지도 |- |제62회||1988.4.20~4.29||국립극장 소극장||배비장전|| 이상운 편극, 허규 연출, 김연수 작창 |- |||1988.7.26||||춘향전|| |- |||1988.8.29~9.1||||배비장전||국립극장순회공연 |- |||1988.9.18~9.20||국립극장||춘향전||허규 각색, 연출 |- |제67회||1988.12.18~12.20||국립극장||배비장전||'88송년대공연 |- |제68회||1989.3.31~4.14||국립극장 소극장||춘풍전||허규 각색, 허규 연출, 정철호 작창 |- |제69회||1989.5.28~5.31||국립극장||심청가||허규 각색, 허규 연출, 오정숙 창지도 |- |||1989.9.9~9.12||국립극장||심청가|| |- |제71회||1990.5.26~5.28||국립극장||흥보전||박후성 각색, 박후성 연출, 오정숙 작창 |- |} ----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Clickable button (원본 보기) 국립창극단 문서로 돌아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