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명 |
수정 간행시기 |
내용 |
비고 |
소장처
|
경복궁,선원전,창덕궁증건도감의궤 |
1900 |
화재 후 소실된 각 건물을 증건한 사실들을 기록한 의궤 |
|
장서각, 규장각
|
궁궐지(宮闕誌) |
조선 숙종 연간[17~18세기], (조선 고종 연간[19세기] |
조선시대 궁궐의 각 전각의 명칭·위치·연혁을 기록한 사적기. 각 전각별 위치와 그곳에서 펼쳐진 중요한 정치문화적 사건들을 기록 |
|
장서각 K2-4359
|
대보단사연설 |
1705년 |
明 神宗의 恩義에 報答하기 위해 昌德宮 後苑에 大報壇을 設置한 경위를 적은 글. |
|
규장각
|
동궐도(東闕圖) |
조선 순조 연간[1801-1834] |
조선후기 순조 연간에 도화서 화원들이 동궐인 창덕궁과 창경궁의 전각과 궁궐 전경을 조감도식으로 그린 궁궐그림 2점. |
16권. 절첩식화첩, 총길이 576×273cm의 그림. 국보 제249호. |
고려대학교 박물관, 동아대학교 박물관,
|
매천야록(梅泉野錄) |
1864~1910 |
한말에 난정(亂政)을 주도하였던 위정자의 사적인 비리·비행이라든가, 외세의 악랄한 광란, 특히 일제의 갖은 침략상을 낱낱이 드러내고 있으며, 이에 대한 우리 민족의 끈질긴 저항 등이 담겨져 있음 |
황현이 47년간 쓴 역사서 |
전라남도
|
봉모당봉안어서총목 |
1776년 |
宙合樓 西南 즉 古閱武亭趾에 건립한 것으로 譜牒을 비롯하여 御製·御筆 등을 奉安하던 곳인 奉謨堂에 소장되어 있는 御書의 總目錄 |
|
규장각, 장서각
|
서향각봉안총목 |
미상 |
창덕궁 秘苑 宙合樓 西便에 있던 건물인 書香閣에서 보관하고 있던 圖書의 目錄 |
|
규장각
|
순종국장록(純宗國葬錄) |
1926 |
고종(高宗) 국장(國葬) 때와 순종(純宗) 관련 사진자료가 실려있고, 역대 왕들에 대한 간략한 기록을 기재 |
경성신문사내 조선박문사에서 편찬 |
서울박물관 서3368
|
어제창덕궁 |
영조연간 |
창덕궁의 추억과 조상 등에 관해 영조가 지은 시 |
|
장서각 K4-4682
|
어제창덕궁경희궁 |
영조연간 |
창덕궁과 경희궁에 대해 영조가 지은 시 |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K4-4686
|
인정전영건도감의궤(仁政殿營建都監儀軌) |
1805 |
1803년(純祖 3) 12월에서 1804년 12월에 걸쳐 昌德宮의 正殿인 仁政殿을 營建한 사실을 기록한 儀軌 |
1책 156장 |
규장각 奎14334~14335
|
인정전중수도감의궤(仁政殿重修都監儀軌) |
1857 |
1857년(哲宗 8)에 昌德宮 正殿인 仁政殿을 重修한 사실을 기록한 儀軌 |
1책 109장, 圖 |
규장각 奎14338~14343, 장서각 K2-3577
|
제향월령(祭享月令) |
1867 |
예조에서 제향을 거행하기 위해 올리는 계문의 양식을 정리하여 편찬 |
4~5월까지 시행 예정인 경모궁의 삭제·망제·하향대제, 문선왕석전제 |
장서각 K2-2567
|
증건도감의궤(增建都監儀軌) |
1900 |
1900년(光武 4)에 경복궁과 창덕궁의 선원전(璿源殿)을 증건한 사실을 기록한 의궤 |
경복궁창덕궁증건도감의궤 |
장서각 K2-3592, 고궁박물관 305-96
|
진전중건도감의궤(眞殿重建都監儀軌) |
1901 |
1901년(光武 5)에 昌德宮內의 璿源殿을 重建한 사실을 기록한 儀軌 |
1책 123,장 |
규장각 奎14238~14242, 장서각 K2-3594, 고궁박물관 305-118
|
창덕궁만수전수리도감의궤(昌德宮萬壽殿修理都監儀軌) |
1657 |
|
1책 175장 |
장서각 K2-3598
|
창덕궁수리도감의궤(昌德宮修理都監儀軌) |
1647 |
1647년 6월 13일부터 11월 21일까지 인경궁(仁慶宮)을 해체하고 그 자재를 이용하여, 이괄(李适)의 난(1624년, 인조 2)으로 소실된 창덕궁(昌德宮)의 대조전(大造殿)·선정전(宣政殿)·희정당(熙政堂) 등의 전각을 중건하는 과정을 기록한 의궤. |
1책 183장, 인경궁을 해체한 건축자재 활용. |
장서각 K2-3599, 국립중앙박물관 2622, 프랑스 파리 국립도서관
|
창덕궁영건도감의궤(昌德宮營建都監儀軌) |
1834 |
1833년 10월 17일 창덕궁 화재 후 燒失된 전각의 영건 과정에서 논의와 관서별로 왕래한 문서, 소용된 물품, 물력의 구획, 영건에 참여한 모든 인물의 명단을 상세히 파악할 수 있는 사료이다. |
1833년(순조 33) 10월부터 1834년(순조 34) 9월까지 창덕궁(昌德宮) 영건의 전말을 기록한 의궤이다. |
규장각 奎奎14318~14321, 장서각 K2-3600
|
창덕궁이왕실기(昌德宮李王實記) |
1911 |
1911년(明治 44) 1월 11일 왕과 왕비가 宣政殿에서 종실과 귀족의 신년하례를 받는 것으로 시작하여 각종 행사와 접견, 召對, 勸講 등이 수록되어 있다. |
1911년 양력 1월 1일부터 12월 25일까지 순종의 주요 일정이 날짜별로 수록되어 있는 자료이다.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창덕궁일기초출(昌德宮日記抄出) |
1920년 이후 |
이왕직에서 1920년 2월 9일부터 7월 24일까지 창덕궁에 거처한 순종의 일상을 기재한 창덕궁일기를 抄略한 것이다. |
1920년대 창덕궁에 거처한 순종의 동정을 살필 수 있다.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