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포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Contextual Relations) |
|||
3번째 줄: | 3번째 줄: | ||
==Definition== | ==Definition== | ||
− | 목포진(木浦鎭, | + | 목포진(木浦鎭, 1397년∼1895),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137호. 목포의 탯자리요, 그래서 목포답사의 출발지로 꼽힌다. 목포진은 조선시대 수군의 진영이며 진의 우두머리인 만호(萬戶)가 배치되었다고 해서 만호영·만호진·만호청이라 부르기도 했고, 현 목포시 만호동의 유래가 되었다. 지리상으로 볼 때 목포는 영산강 하구를 안고 있으며 바다로 연결되는 지리적인 요충지에 위치하며 호남과 경상 남부지역으로 통하는 세곡 운반로로 사용되는 길목에 자리하고 있다. |
목포진이 설치된 배경을 조선왕조실록에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무안현(務安縣) 목포(木浦)와 보성현(寶城縣) 여도(呂島) 등은 모두 왜적이 드나드는 요해지(要害地)이온데, 병선(兵船)을 정박하여 세운 곳과 거리가 멀리 떨어져 있사오니, 청하옵건대, 목포와 여도에 따로 병선을 설치하고 만호(萬戶)를 임명하여 보내소서."하니 그대로 따랐다.- 세종 21년 4월 15일(임진) 이와 같이 목포(木浦)는 그 길목으로서의 중요성이 부각되어 주목받게 되었으며, 그 곳을 침략하는 왜적을 경계하기 위해 목포진의 설치가 재가되었는데, 성의 모습이 갖추어진 것은 그보다 후대인 연산군 때(1501년 무렵) 의 일이다. 『목포진지』에는 만호(萬戶, 무관 종4품) 1인 외에 군관(軍官) 6인, 진무(鎭撫) 7인, 사부(射夫) 2인, 사령(使令) 5인의 관원이 있었던 것으로 보이며, 만호는 인근 지역의 해상 경계 경비 등 병사업무의 수행 이외에 진영 소재지 인근 마을의 일반 행정까지도 관할하였다. 한반도 서남해 방어지로서 그 역할을 다했던 목포진은 근대적 행정 군사제도의 개편요구에 따라 목포개항 2년 전인 1895년 7월 16일 칙령 제141호로 폐진되었다. 현재 객사가 복원돼 있으며, 오래된 비석 2기(수군절도사 신광익 선정비, 만호 방대령 선정비)가 세워져 있다. | 목포진이 설치된 배경을 조선왕조실록에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무안현(務安縣) 목포(木浦)와 보성현(寶城縣) 여도(呂島) 등은 모두 왜적이 드나드는 요해지(要害地)이온데, 병선(兵船)을 정박하여 세운 곳과 거리가 멀리 떨어져 있사오니, 청하옵건대, 목포와 여도에 따로 병선을 설치하고 만호(萬戶)를 임명하여 보내소서."하니 그대로 따랐다.- 세종 21년 4월 15일(임진) 이와 같이 목포(木浦)는 그 길목으로서의 중요성이 부각되어 주목받게 되었으며, 그 곳을 침략하는 왜적을 경계하기 위해 목포진의 설치가 재가되었는데, 성의 모습이 갖추어진 것은 그보다 후대인 연산군 때(1501년 무렵) 의 일이다. 『목포진지』에는 만호(萬戶, 무관 종4품) 1인 외에 군관(軍官) 6인, 진무(鎭撫) 7인, 사부(射夫) 2인, 사령(使令) 5인의 관원이 있었던 것으로 보이며, 만호는 인근 지역의 해상 경계 경비 등 병사업무의 수행 이외에 진영 소재지 인근 마을의 일반 행정까지도 관할하였다. 한반도 서남해 방어지로서 그 역할을 다했던 목포진은 근대적 행정 군사제도의 개편요구에 따라 목포개항 2년 전인 1895년 7월 16일 칙령 제141호로 폐진되었다. 현재 객사가 복원돼 있으며, 오래된 비석 2기(수군절도사 신광익 선정비, 만호 방대령 선정비)가 세워져 있다. | ||
18번째 줄: | 18번째 줄: | ||
! style="width:100px" |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style="width:100px" |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 | |- | ||
− | | 목포진 || Actor || 단체 || 시설 || 목포진(木浦鎭, | + | | 목포진 || Actor || 단체 || 시설 || 목포진(木浦鎭, 1397~1895) || 목포진 || 木浦鎭 || || || |
|- | |- | ||
|} | |} | ||
40번째 줄: | 40번째 줄: | ||
|창립자|| 세종 | |창립자|| 세종 | ||
|- | |- | ||
− | |창립일|| | + | |창립일|| 1397년(태조 6년) |
|- | |- | ||
|변경일|| | |변경일|| | ||
70번째 줄: | 70번째 줄: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 | |- | ||
+ | | 목포진 || 태조|| || 전라도 4진 | ||
|- | |- | ||
| 목포진 || 만호 || || 종4품, 우두머리 | | 목포진 || 만호 || || 종4품, 우두머리 |
2021년 8월 17일 (화) 02:21 판
Definition
목포진(木浦鎭, 1397년∼1895),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137호. 목포의 탯자리요, 그래서 목포답사의 출발지로 꼽힌다. 목포진은 조선시대 수군의 진영이며 진의 우두머리인 만호(萬戶)가 배치되었다고 해서 만호영·만호진·만호청이라 부르기도 했고, 현 목포시 만호동의 유래가 되었다. 지리상으로 볼 때 목포는 영산강 하구를 안고 있으며 바다로 연결되는 지리적인 요충지에 위치하며 호남과 경상 남부지역으로 통하는 세곡 운반로로 사용되는 길목에 자리하고 있다. 목포진이 설치된 배경을 조선왕조실록에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무안현(務安縣) 목포(木浦)와 보성현(寶城縣) 여도(呂島) 등은 모두 왜적이 드나드는 요해지(要害地)이온데, 병선(兵船)을 정박하여 세운 곳과 거리가 멀리 떨어져 있사오니, 청하옵건대, 목포와 여도에 따로 병선을 설치하고 만호(萬戶)를 임명하여 보내소서."하니 그대로 따랐다.- 세종 21년 4월 15일(임진) 이와 같이 목포(木浦)는 그 길목으로서의 중요성이 부각되어 주목받게 되었으며, 그 곳을 침략하는 왜적을 경계하기 위해 목포진의 설치가 재가되었는데, 성의 모습이 갖추어진 것은 그보다 후대인 연산군 때(1501년 무렵) 의 일이다. 『목포진지』에는 만호(萬戶, 무관 종4품) 1인 외에 군관(軍官) 6인, 진무(鎭撫) 7인, 사부(射夫) 2인, 사령(使令) 5인의 관원이 있었던 것으로 보이며, 만호는 인근 지역의 해상 경계 경비 등 병사업무의 수행 이외에 진영 소재지 인근 마을의 일반 행정까지도 관할하였다. 한반도 서남해 방어지로서 그 역할을 다했던 목포진은 근대적 행정 군사제도의 개편요구에 따라 목포개항 2년 전인 1895년 7월 16일 칙령 제141호로 폐진되었다. 현재 객사가 복원돼 있으며, 오래된 비석 2기(수군절도사 신광익 선정비, 만호 방대령 선정비)가 세워져 있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 콘텐츠의 기본 정보를 적은 곳입니다.
- '입력'으로 표시된 부분을 작성해 주세요. 해당사항이 없으면 비워 두세요.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목포진 | Actor | 단체 | 시설 | 목포진(木浦鎭, 1397~1895) | 목포진 | 木浦鎭 |
Additional Attributes
- 콘텐츠의 부가 정보를 적은 곳입니다.
- '입력'으로 표시된 부분을 작성해 주세요. 해당사항이 없으면 비워 두세요.
propertyName | value |
---|---|
id | 목포진 |
이칭 | 목포영, 만호진, 목포대 |
유형 | 단체 |
성격 | 시설 |
창립자 | 세종 |
창립일 | 1397년(태조 6년) |
변경일 | |
해산일 | 1895년 7월 15일 |
주요업무 | 해안방어 |
담당업무 | 왜적 경계, 세곡 운반 보호 |
소재지 | 전라남도 목포시 |
관련기관 | |
관련인물 | 세종, 연산군, 방대령, 신광익 |
관련단체 | |
관련사건 |
Contextual Relations
- A와 B의 관계를 적는 곳입니다.
- '입력'으로 표시된 부분을 작성해 주세요. 해당사항이 없으면 비워 두세요.
- source와 target 항목은 띄어쓰기를 금지합니다. 띄어쓰기가 필요할 경우 언더버(_)로 표시해주십시오. 예) 목포_유달산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목포진 | 태조 | 전라도 4진 | |
목포진 | 만호 | 종4품, 우두머리 | |
목포진 | 세종 | 설진 | |
목포진 | 연산군 | 진성 축성 | |
목포진 | 고종 | 폐진 | |
목포진 | 신광익 | 수군절도사선정비 | |
목포진 | 방대령 | 만호선정비 |
Spatial Data
Spactial Information Nodes
- 위 내용과 관련한 공간정보를 적는 곳입니다.
- '입력'으로 표시된 부분을 작성해 주세요. 해당사항이 없으면 비워 두세요.
gid | region | label | hanja | latitude | longitude | altitue | description |
---|---|---|---|---|---|---|---|
목포진 | 전라남도 목포시 | 목포진(木浦鎭) | 木浦鎭 | 입력 | 입력 |
Spatial Relations
- 이 항목은 비워 두십시오.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공란 | 공란 | 공란 |
Temporal Data
Temporal Information Nodes
- 위 내용과 관련한 시간정보를 적는 곳입니다.
- '입력'으로 표시된 부분을 작성해 주세요. 해당사항이 없으면 비워 두세요.
tid | timeSpan | label | hanja | koreanEra | japaneseEra | indexDate | description |
---|---|---|---|---|---|---|---|
목포진 설진 | 1439 | 목포진 설진(木浦鎭 設鎭, 1439) | 木浦鎭 設鎭 | 전라남도문화재자료 제137호 |
Temporal Relations
- 이 항목은 비워 두십시오.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공란 | 공란 | 공란 | 공란 |
Online Reference
- 인터넷에서 참고한 내용을 적는 곳입니다.
- '입력'으로 표시된 부분을 작성해 주세요. 해당사항이 없으면 비워 두세요.
type | resource | title | desctription/caption | URL |
---|---|---|---|---|
참고 | 조선왕조실록 | 목포진 | http://sillok.history.go.kr/id/kda_12104015_002 |
- type: 해설, 참고, 3D_모델, VR_영상, 도해, 사진, 동영상, 소리, 텍스트
Bibliography
- 서지정보 / 참고문헌을 적는 곳입니다.
- '입력'으로 표시된 부분을 작성해 주세요. 해당사항이 없으면 비워 두세요.
author | title | publication | edition | URL |
---|---|---|---|---|
이준곤 외 | 「목포 역사의 출발지 목포진」,『목포의 역사와 이야기 100선』 | 목포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