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희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Additional Attributes) |
(→Contextual Relations) |
||
73번째 줄: | 73번째 줄: | ||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 | |- | ||
− | | [[ | + | | [[조희관 ]] || [[철없는 사람]] || || 저서 |
|- | |- | ||
− | | [[ | + | | [[조희관 ]] || [[다도해의 달]] || || 저서 |
|- | |- | ||
− | | | + | | [[조희관 ]] || [[목포 상업학교 ]] || || 교감 재직 |
|- | |- | ||
− | | | + | | [[조희관 ]] || [[항도출판사 ]] || || 사장 |
|- | |- | ||
− | | | + | | [[조희관 ]] || [[월간 갈매기 ]] || || 주간 |
|- | |- | ||
+ | |||
|} | |} | ||
2020년 10월 13일 (화) 02:49 판
Definition
조희관(曺喜灌,1905~1958)은 대한민국 수필가. 1905년 전남 영광군에서 태어나 경성의 배재고보(현 배재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연희전문학교(현 연세대학교)를 중퇴하고 중국 북경호스돈대학교에 유학했다. 목포상업학교 교감, 목포항도여자중학교 교장, 조선대학교강사 등을 역임하며 교육과 언론에 관심을 기울였다. 『철없는 사람』, 『다도해의 달』, 『새날이 올 때』 같은 수필집을 출간했는데 한글과 순우리말로 이루어진 유려한 문장이 특징[1]이다. 목포여고, 목포유달중, 목포해양고등학교(현 목포해양대학교) 등의 교가를 한글로 작사했다. 목포문학관에 추모비가 있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no |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작성자 | 검토자 | 확인자 |
---|---|---|---|---|---|---|---|---|---|---|---|---|---|
30 | 조희관 | Actor | 인물 | 문학 | 조희관 (曺喜灌, 1905~1958) | 조희관 | 曺喜灌 | http://dh.aks.ac.kr/~mokpo/wiki/index.php/조희관 | 이선영 |
Additional Attributes
propertyName | value |
---|---|
id | 조희관 |
본명 | |
창씨개명 | |
이칭 | 소청(少靑), 예향 목포의 산파 |
유형 | 인물 |
성별 | 남 |
활동분야 | 문학 |
성격 | 수핖가 |
대표작품 | 철없는 사람, 다도해의 달 |
생년 | 1905 |
몰년 | 1958 |
출생지 | 전라남도 영광군 |
사망지 | |
시대 | 일제강점기 |
국적 | |
출신지 | |
배우자 | |
부 | |
모 | |
형제 | |
자녀 | |
관련인물 | 차재석 |
관련사건 | 목포문화협회 조직 |
Contextual Relations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조희관 | 철없는 사람 | 저서 | |
조희관 | 다도해의 달 | 저서 | |
조희관 | 목포 상업학교 | 교감 재직 | |
조희관 | 항도출판사 | 사장 | |
조희관 | 월간 갈매기 | 주간 |
Spatial Data
Spactial Information Nodes
- 해당 아이디의 공간정보를 기록한다.
- 지리좌표검색 / 지리좌표검색을 클릭하여 한글로 검색, 위도와 경도 값 기입
gid | region | label | hanja | latitude | longitude | altitue | description |
---|---|---|---|---|---|---|---|
ID 1 | 도시, 군 이름 | ID 1의 표기명 | ID 1의 한자 표기명 | 위도 | 경도 | ID 1과의 관련설명 | |
ID 2 |
Spatial Relations
Temporal Data
Temporal Information Nodes
- 해당 아이디의 시간정보를 기록한다.
tid | timeSpan | label | hanja | koreanAge | japaneseAge | indexDate | description |
---|---|---|---|---|---|---|---|
김우진_출생 | 1897 | 김우진 출생 | 金祐鎭 出生 | 光武 元年 | |||
ID 1 | 1926 | 김우진 「난파」저술 | 大正 15年, 昭和 元年 | ||||
ID 2 |
Temporal Relations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temporal |
Online Reference
type | resource | title | desctription/caption | URL |
---|---|---|---|---|
해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김우진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10000 | |
해설 | 위키백과 | 김우진 | https://ko.wikipedia.org/wiki/김우진_(1897년) | |
해설 | 나무소리 | 최초의 근대극작가, 수산 김우진 | https://mnublog.tistory.com/57 |
- type: 해설, 참고, 3D_모델, VR_영상, 도해, 사진, 동영상, 소리, 텍스트
Bibliography
author | title | publication | edition | URL |
---|---|---|---|---|
유민영 | 「김우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한국학중앙연구원,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10000 |
Notes
- ↑ 시인 김지하는 자서전 『모로 누운 돌부처』에서 “우리의 토박이말과 미묘한 전라도 사투리의 매력을 처음 깨달은 것도 조희관 선생의 그 무렵의 수필집 ‘철없는 사람’에서였다.”고 술회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