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포진설치"의 두 판 사이의 차이

mokpo
이동: 둘러보기, 검색
(Semantic Network Graph)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9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3번째 줄: 3번째 줄:
 
==Definition==
 
==Definition==
  
[[목포진 설치|목포진 설치(木浦鎭 設置, 1439~1501)]]는  1439년(세종 21) 세종이 ‘목포가 왜적 침입의 요해처임으로 만호(萬戶)를 파견하여 병선을 주둔’하도록 재가하면서부터 시작되었다.목포진
+
[[목포진설치|목포진 설치(木浦鎭 設置, 1397)]]의 정확한 시기는 불확실하지만 조선왕조실록에 의하면 태조6년(1397년)에 전라도의 4진(목포, 조양, 옥구, 흥덕) 및 전국 각진에 첨절제사를 두었다고 기록되었다. 세종 21년(1439년)에는 ‘목포가 왜적 침입의 요해처임으로 만호(萬戶)를 파견하여 병선을 주둔’하도록 재가했으며, 연산군 7년(1501년)에는 목포진에 성(城)이 조성되었다. 조선 초기에는 ‘선상수어(船上守禦)’의 방침에 따라 수군 만호는 항상 병선을 이끌고 바다 위를 왕래하며 방어와 수색의 의무를 수행하였고, 해당된 수군진에는 군량과 군기를 쌓아 두고 있었다. 평상시에는 병선의 기항지 및 보급처 역할을 수행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 이후 현실적으로 선상 방어만으로 해상을 지키는 것이 어렵다는 점이 인정되어 해당 지역에 성을 축조하게 된 것이다. 목포진의 우두머리는 수군 만호(萬戶)였다.목포진의 역할은  서남해의 바닷길을 지키고, 이곳을 통해 올라가는 조운선을 보호·관리하는 것이 주임무였다. 조선시대 계속 존재해온 목포진은 1895년(고종 32) 7월 15일 칙령 제141호에 의해 폐지되었고 목포개항으로 연결되었다. 목포진은 한반도 서남해 방어지이자 개항이전 목포 역사를 실증하는 장소라는 점에서 그 의의가 크다. 옛 흔적은 사라졌으나 2014년 객사 건물이 복원되었고, 2015년 1월부터 ‘목포진역사공원’으로 운영되고 있다.목포진이 있었던 곳은 현 목포시 만호동(萬戶洞)이다. <ref> 목포시사 1권, 2017. 42p,</ref>
성(城)이 조성된 것은 그보다 후대인 1501년(연산군 7) 때의 일이다.06) 조선 초기에는 ‘선상수어(船上守禦)’의 방침에 따라 수군 만호는 항상 병선을 이끌고 바다 위를 왕래하며 방어와 수색의 의무
 
수행하였고, 해당된 수군진에는 군량과 군기를 쌓아 두고 있었다. 평상시에는 병선의 기항지 및 보급처 역할을 수행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 이후 현실적으로 선상 방어만으로 해상을 지키는 것이
 
렵다는 점이 인정되어 해당 지역에 성을 축조하게 된 것이다.  
 
목포진은 1895년(고종 32) 7월 15일 칙령 제141호에 의해 폐지될 때까지 서남해의 바닷길을 지키고, 이곳을 통해 올라가는 조운선을 보호·관리하는 역할을 하였다. 목포진이 있었던 곳은 현 목포시 만호동(萬戶洞)이다. 목포진의 우두머리가 만호(萬戶)였기 때문에 만호진(萬戶鎭)이 있었던 곳이라 하여, 오늘날도 만호동으로 불리고 있다. <ref> 목포시사 1권, 2017. 42p,</ref>
 
  
  
17번째 줄: 13번째 줄:
 
! style="width:100px" |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style="width:100px" |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 [[목포진 설치]] || Event || 사건 ||  ||목포진 설치(木浦鎭 設置, 1439~1501)  || 목포진 설치 || 木浦鎭 設置 ||  || http://dh.aks.ac.kr/~mokpo/wiki/목포진 설치 || <html><img width="120" src="http://www.mokpo.go.kr/tour/attraction/cultural_assets/list?mode=view&idx=7450"/></html>
+
| [[목포진설치]] || Event || 사건 ||  ||목포진 설치(木浦鎭 設置, 1397)  || 목포진 설치 || 木浦鎭 設置 ||  || http://dh.aks.ac.kr/~mokpo/wiki/index.php/목포진설치 || <html><img width="120" src="http://www.mokpo.go.kr/build/images/1517/15172738/1517273853.jpg/234x154x85/234x154_1517273853.jpg"/></html>
 
|-
 
|-
 
|}
 
|}
28번째 줄: 24번째 줄:
 
! propertyName || value
 
! propertyName || value
 
|-
 
|-
| id || [[목포진 설치]]
+
| id || [[목포진설치]]
 
|-
 
|-
 
|이칭||  
 
|이칭||  
38번째 줄: 34번째 줄:
 
|시대|| 조선시대
 
|시대|| 조선시대
 
|-
 
|-
|날짜|| 1439년~1501년
+
|날짜|| 1397년
 
|-
 
|-
|관련인물|| [[세종]], [[연산군]], [[고종]]
+
|관련인물|| [[태조]], [[세종]], [[연산군]], [[고종]]
 
|-
 
|-
 
|관련단체||  
 
|관련단체||  
57번째 줄: 53번째 줄: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 [[세종]] || [[목포진]]  || [[isRelatedTo]]  || 재가
+
| [[목포진 설치]] || [[목포진]]  || [[isRelatedTo]]  || 관련
 
|-
 
|-
| [[연산군]] || [[목포진]]  || [[isRelatedTo]]  || 성 조성
+
| [[목포진]] || [[목포대]]  || [[isRelatedTo]]  || 관련
 
|-
 
|-
| [[고종]] || [[목포진]]  || [[isRelatedTo]]  || 폐진
+
| [[목포진]] || [[영국영사관]]  || [[isRelatedTo]]  || 건립예정지, 기지비
 
|-
 
|-
 +
 
|}
 
|}
  
138번째 줄: 135번째 줄:
 
==Semantic Network Graph==
 
==Semantic Network Graph==
  
 +
{{SemanticGraph | key=목포진설치}}
  
  
[[분류:목포근대문화자산아카이브]] [[분류:Actor]] [[분류:Event-사건]] [[분류:양세영]]
+
[[분류:Actor]][[분류: 사건]] [[분류:양세영]]

2024년 3월 16일 (토) 18:31 기준 최신판


Definition

목포진 설치(木浦鎭 設置, 1397)의 정확한 시기는 불확실하지만 조선왕조실록에 의하면 태조6년(1397년)에 전라도의 4진(목포, 조양, 옥구, 흥덕) 및 전국 각진에 첨절제사를 두었다고 기록되었다. 세종 21년(1439년)에는 ‘목포가 왜적 침입의 요해처임으로 만호(萬戶)를 파견하여 병선을 주둔’하도록 재가했으며, 연산군 7년(1501년)에는 목포진에 성(城)이 조성되었다. 조선 초기에는 ‘선상수어(船上守禦)’의 방침에 따라 수군 만호는 항상 병선을 이끌고 바다 위를 왕래하며 방어와 수색의 의무를 수행하였고, 해당된 수군진에는 군량과 군기를 쌓아 두고 있었다. 평상시에는 병선의 기항지 및 보급처 역할을 수행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 이후 현실적으로 선상 방어만으로 해상을 지키는 것이 어렵다는 점이 인정되어 해당 지역에 성을 축조하게 된 것이다. 목포진의 우두머리는 수군 만호(萬戶)였다.목포진의 역할은 서남해의 바닷길을 지키고, 이곳을 통해 올라가는 조운선을 보호·관리하는 것이 주임무였다. 조선시대 계속 존재해온 목포진은 1895년(고종 32) 7월 15일 칙령 제141호에 의해 폐지되었고 목포개항으로 연결되었다. 목포진은 한반도 서남해 방어지이자 개항이전 목포 역사를 실증하는 장소라는 점에서 그 의의가 크다. 옛 흔적은 사라졌으나 2014년 객사 건물이 복원되었고, 2015년 1월부터 ‘목포진역사공원’으로 운영되고 있다.목포진이 있었던 곳은 현 목포시 만호동(萬戶洞)이다. [1]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목포진설치 Event 사건 목포진 설치(木浦鎭 設置, 1397) 목포진 설치 木浦鎭 設置 http://dh.aks.ac.kr/~mokpo/wiki/index.php/목포진설치

Additional Attributes

propertyName value
id 목포진설치
이칭
유형 사건
설명 목포에 수군진을 설치하여 역사상 목포의 위상이 명확히 나타남
시대 조선시대
날짜 1397년
관련인물 태조, 세종, 연산군, 고종
관련단체
관련장소 전라남도 목포시 만호동
관련유물유적 목포진 역사공원
관련사건 목포진설치 재가, 목포진성 조성, 목포진 폐지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목포진 설치 목포진 isRelatedTo 관련
목포진 목포대 isRelatedTo 관련
목포진 영국영사관 isRelatedTo 건립예정지, 기지비

Spatial Data

Spactial Information Nodes

gid region label hanja latitude longitude altitue description
목포진 전라남도 목포시 만호동(萬戶洞) 萬戶洞 34.785921 126.384512 목포진 역사공원

Spati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spatial

Temporal Data

Temporal Information Nodes

tid timeSpan label hanja koreanEra japaneseEra indexDate description
목포진 설치재가 1439 목포진설치 재가(木浦鎭 設置 裁可, 1439) 木浦鎭 設置 裁可 世宗 21年
목포진성 조성 1501 목포진성 조성(木浦鎭城 造成, 1501) 木浦鎭城 造成 燕山君 7年
목포진 폐진 1895 목포진 폐진(木浦鎭 廢鎭, 1895) 木浦鎭 廢鎭 高宗 32

Tempor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temporal
temporal


Online Reference

type resource title desctription/caption URL
참고 목포시사 1권 항도목포 https://www.mokpo.go.kr/www/introduce/current?category_1=1
참고 국가문화유산 포털 목포진지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3413601370000&pageNo=1_1_1_1
  • type: 해설, 참고, 3D_모델, VR_영상, 도해, 사진, 동영상, 소리, 텍스트

Bibliography

author title publication edition URL

Notes

  1. 목포시사 1권, 2017. 42p,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