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성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mokpo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__NOTOC__ ==Definition== 목포천주교회(木浦天主敎會, 1898~ )는 1898년 7월 데예(Albert Deshayes, 曺有道) 신부에 의해 설립된 목포...)
 
(Contextual Relations)
 
(다른 사용자 한 명의 중간 판 5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3번째 줄: 3번째 줄:
 
==Definition==
 
==Definition==
  
[[목포천주교회|목포천주교회(木浦天主敎會, 1898~ )]]는 1898년 7월 데예(Albert Deshayes, 曺有道) 신부에 의해 설립된 목포의 천주교회(로마카톨릭)이다. 프랑스 외방전교회 선교사들로 시작되었던 조선의 천주교회는 1897년 목포 본당 신설을 결정하고 데예 신부를 임명하였으며, 데예 신부는 이듬해 1898년 7월에 목포로 이주하여 전교를 시작하였다. 1898년 산정동 산 97번지에 토지와 초가를 매입하고 이곳에 성당을 건축, 이듬해 1899년 벽돌양옥으로 건립하였다. 데예 신부는 본당 신자들의 신심함양을 이끌며 봉사활동에 함께 노력하였고, 목포 앞바다 신안 지역의 섬지역 전교에 열심을 내어 지도, 도초도, 비금도, 자은도, 압해도 등지에 여러 공소를 설립하였다. 그는 11년간의 목포 초기 천주교 전교사역을 마치고 1909년 서울 주교관으로 전임되었다. 이후에도 프랑스 선교사들이 번갈아 부임하며 목포 천주교회를 이끌었으며, 1922년 한국인으로는 처음으로 주재용(바오로) 신부가 6대 본당 주임으로 부임하였다. 일제강점말기 일본 군대에 의해 성당이 징발당하기도 하며, 6.25 때에는 신부들이 순교 당하는 등의 시련 속에서도 성장과 발전을 거듭하였다. 1952년 목포시 경동에 성당을 분립하였고, 목포천주교회는 산정동 성당이라 하였다. 이후에도 도시가 확장되고 신자들이 늘어감에 따라 북교동성당, 용당동성당, 하당성당, 옥암동 성당 등을 분립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한편 복음 전파사역과 함께 의료 봉사활동도 하였으니, 1955년 아일랜드 성골롬반회 수녀들에 의해 세워진 '성 골롬반 병원'은 2002년 문을 닫을 때까지 전라남도 일대의 최초 최대 종합병원으로서 목포와 전라남도 의료 사역의 중심역할을 하였다. 1966년에는 간호 인력을 양성하는 '성 골롬반 간호학교'도 개설하였고, 이는 2000년 '목포가톨릭대학교'로 변경 승격되었다. 목포천주교회는 현재 광주대교구 산하에 소속되어 있으며, 산정동 성당 인근 옛 병원 부지에 성지사업을 조성하여 '산정동 레지오마리애 기념성당'과 역사박물관을 지었으며, 옛 교구청 건물은 복원하여 등록문화재 513호로 지정되어 있다. <ref> 목포시, 『목포시사』, 2권 제 4편 목포의 종교, 2017, 581-606 쪽. </ref>
+
[[달성사|달성사(達聖寺, 1915~ )]]는 노대련 선사가 1915년 4월에 목포 유달산 동남방 기슭에 지역 유지의 협찬을 받아 절을 신축하고 1917년 9월 15일 목포 시민과 신도 수백여 명과 함께 법회를 열었다. 달성사에 있는 건물은 법당 1동, 명부전 1동, 요사채 2동, 산신각 및 종각 각 1동과 3층석탑 1기 등이 있다. 대웅전에 봉안된 목조아미타삼존불좌상은 전라남도유형문화재 228호로, 명부전에 있는 목조지장보살반가상은 보물 제 2011호로 각각 지정되어 있다. 경내에 있는 나무아미타불 석탑에는 창건 당시의 신도들 이름이 빼곡이 새겨져 있으며, 창건주를 기리기 위한 노대련 선사 창건비도 있고, 그 옆에는 노대련 선사가 기도의 영험으로 굴착하였다는 옥정이라는 우물이 있다. 또한 불사 참여에 공적을 쌓았던 신도들의 공적을 기리는 달성사중수공덕비와 현기봉영세불망비 등이 있다. 달성사는 대한불교조계종 대둔사의 말사로 전통사찰 69호이다. <ref> 목포시, 『목포시사』, 2권 제 4편 목포의 종교, 2017, 553-579 쪽. </ref>
  
 
==Semantic Data==
 
==Semantic Data==
12번째 줄: 12번째 줄:
 
! style="width:100px" |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style="width:100px" |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 [[목포천주교회]] || Actor || 단체 || 종교 || 목포천주교회(木浦天主敎會, 1898~ ) || 목포천주교회 || 木浦天主敎會 || Mokpo Catholic Church || http://dh.aks.ac.kr/~mokpo/wiki/index.php/목포천주교회 ||  
+
| [[달성사]] || Actor || 단체 || 종교 || 달성사(達聖寺, 1915~ ) || 달성사 || 達聖寺 || Dalseung Temple || http://dh.aks.ac.kr/~mokpo/wiki/index.php/달성사 ||  
 
|-
 
|-
 
|}
 
|}
23번째 줄: 23번째 줄:
 
! propertyName || value
 
! propertyName || value
 
|-
 
|-
| id || [[목포천주교회]]
+
| id || [[달성사]]
 
|-
 
|-
|이칭|| [[산정동성당]]
+
|이칭||  
 
|-
 
|-
 
|유형|| 단체
 
|유형|| 단체
31번째 줄: 31번째 줄:
 
|성격|| 종교
 
|성격|| 종교
 
|-
 
|-
|창립자|| [[데예]]
+
|창립자|| [[노대련]]
 
|-
 
|-
|창립일|| 1898년 7월
+
|창립일|| 1915년 
 
|-
 
|-
 
|변경일||  
 
|변경일||  
39번째 줄: 39번째 줄:
 
|해산일||  
 
|해산일||  
 
|-
 
|-
|주요업무|| 천주교 예배 선교
+
|주요업무|| 불교 법회
 
|-
 
|-
|담당업무|| 예배, 교제, 선교
+
|담당업무|| 법회
 
|-
 
|-
|소재지|| 전라남도 목포시 노송길 32-6
+
|소재지|| 전라남도 목포시 유달로 173
 
|-
 
|-
|관련기관|| [[목포경동성당]] [[목포용당동성당]] [[목포하당성당]] [[목포옥암동성당]]
+
|관련기관||  
 
|-
 
|-
 
|관련인물||  
 
|관련인물||  
 
|-
 
|-
|관련단체|| [[목포가톨릭대학교]] [[목포레지오마리애기념관]]
+
|관련단체||
 
|-
 
|-
 
|관련사건||  
 
|관련사건||  
60번째 줄: 60번째 줄: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 [[목포천주교회]] || [[데예]]  || [[founder]]  || 설립자
+
| [[달성사]] || [[노대련]]  ||   || 설립자
 
|-
 
|-
| [[목포천주교회]] || [[주재용]]  ||  || 6대 주임, 한국인 최초 목포주임신부
+
| [[달성사]] || [[조선불교]]  ||  || 관련
 
|-
 
|-
| [[목포천주교회]] || [[목포산정동성당]]  ||  || 1952년 명칭 변경
+
| [[조선불교]] || [[일본불교]]  ||  || 관련
 
|-
 
|-
| [[목포천주교회]] || [[목포경동성당]]  ||  || 분립
+
| [[달성사]] || [[대한불교조계종]]  ||  || 소속 교단
 
|-
 
|-
| [[목포천주교회]] || [[성 골롬반 병원]]  ||  || 의료 봉사 기관
+
| [[달성사]] || [[목조아미타삼존불좌상]]  ||  || 전라남도유형문화재 제 228호 소장
 
|-
 
|-
| [[목포천주교회]] || [[목포가톨릭대학교]]  ||  || 교육 기관
+
| [[달성사]] || [[목조지장보살반가상]]  ||  || 보물 제 2011호 소장
|-
 
| [[목포천주교회]] || [[ 산정동 레지오마리애기념성당]]  ||  || 목포 가톨릭 성지 
 
 
|-
 
|-
 
|}
 
|}
83번째 줄: 81번째 줄:
 
! gid || region || label || hanja || latitude || longitude || altitue || description  
 
! gid || region || label || hanja || latitude || longitude || altitue || description  
 
|-
 
|-
|목포천주교회|| 전라남도 목포시 || 목포천주교회 || 木浦天主敎會 || 34.79873 || 126.38692 ||  ||  
+
|달성사|| 전라남도 목포시 || 달성사 || 達聖寺 || 34.79023 || 126.37539 ||  ||  
 
|-
 
|-
 
|}
 
|}
94번째 줄: 92번째 줄:
 
! tid || timeSpan || label || hanja || koreanEra || japaneseEra || indexDate || description
 
! tid || timeSpan || label || hanja || koreanEra || japaneseEra || indexDate || description
 
|-
 
|-
| [[목포천주교회-설립]] || 1898 ||  목포천주교회 설립 || 木浦天主敎會 設立 || 光武 2년  ||  ||  ||  
+
| [[달성사-창건]] || 1915 ||  달성사 창건 || 達聖寺 蒼健 ||   || 大正 4년 ||  ||  
 
|-
 
|-
 
|}
 
|}
103번째 줄: 101번째 줄:
 
! type || resource || title || desctription/caption || URL
 
! type || resource || title || desctription/caption || URL
 
|-
 
|-
| 해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산정동성당 ||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76780
+
| 참고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목포달성사목조아마타삼존불좌상 ||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67131
 +
|-
 +
| 참고 || 위키백과 || 목포 달성사 목조지장보살반가상 ||  ||https://ko.wikipedia.org/wiki/목포_달성사_목조지장보살반가상
 
|-
 
|-
 
|}
 
|}

2021년 8월 22일 (일) 06:22 기준 최신판


Definition

달성사(達聖寺, 1915~ )는 노대련 선사가 1915년 4월에 목포 유달산 동남방 기슭에 지역 유지의 협찬을 받아 절을 신축하고 1917년 9월 15일 목포 시민과 신도 수백여 명과 함께 법회를 열었다. 달성사에 있는 건물은 법당 1동, 명부전 1동, 요사채 2동, 산신각 및 종각 각 1동과 3층석탑 1기 등이 있다. 대웅전에 봉안된 목조아미타삼존불좌상은 전라남도유형문화재 228호로, 명부전에 있는 목조지장보살반가상은 보물 제 2011호로 각각 지정되어 있다. 경내에 있는 나무아미타불 석탑에는 창건 당시의 신도들 이름이 빼곡이 새겨져 있으며, 창건주를 기리기 위한 노대련 선사 창건비도 있고, 그 옆에는 노대련 선사가 기도의 영험으로 굴착하였다는 옥정이라는 우물이 있다. 또한 불사 참여에 공적을 쌓았던 신도들의 공적을 기리는 달성사중수공덕비와 현기봉영세불망비 등이 있다. 달성사는 대한불교조계종 대둔사의 말사로 전통사찰 69호이다. [1]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달성사 Actor 단체 종교 달성사(達聖寺, 1915~ ) 달성사 達聖寺 Dalseung Temple http://dh.aks.ac.kr/~mokpo/wiki/index.php/달성사

Additional Attributes

propertyName value
id 달성사
이칭
유형 단체
성격 종교
창립자 노대련
창립일 1915년
변경일
해산일
주요업무 불교 법회
담당업무 법회
소재지 전라남도 목포시 유달로 173
관련기관
관련인물
관련단체
관련사건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달성사 노대련 설립자
달성사 조선불교 관련
조선불교 일본불교 관련
달성사 대한불교조계종 소속 교단
달성사 목조아미타삼존불좌상 전라남도유형문화재 제 228호 소장
달성사 목조지장보살반가상 보물 제 2011호 소장

Spatial Data

Spactial Information Nodes

gid region label hanja latitude longitude altitue description
달성사 전라남도 목포시 달성사 達聖寺 34.79023 126.37539

Temporal Data

Temporal Information Nodes

tid timeSpan label hanja koreanEra japaneseEra indexDate description
달성사-창건 1915 달성사 창건 達聖寺 蒼健 大正 4년

Online Reference

type resource title desctription/caption URL
참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목포달성사목조아마타삼존불좌상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67131
참고 위키백과 목포 달성사 목조지장보살반가상 https://ko.wikipedia.org/wiki/목포_달성사_목조지장보살반가상
  • type: 해설, 참고, 3D_모델, VR_영상, 도해, 사진, 동영상, 소리, 텍스트

Bibliography

author title publication edition URL
목포시 『목포시사』, 2권 목포시 2017 https://www.mokpo.go.kr/www/introduce/current?category_1=2권

Notes

  1. 목포시, 『목포시사』, 2권 제 4편 목포의 종교, 2017, 553-579 쪽.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