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중"의 두 판 사이의 차이

mokpo
이동: 둘러보기, 검색
(Node Description)
1번째 줄: 1번째 줄:
 +
__NOTOC__
 +
 
==Definition==
 
==Definition==
[[김현|김현(金炫, 1942~1990)]]은 김윤식과 더불어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문학평론가. 1942년 전라남도 진도군 진도읍에서 태어나 목포에서 중학교를 졸업하고 서울의 경복고등학교로 전학, 서울대학교 문리대 및 동대학원 불문학과를 졸업하고 프랑스 스트라스부르 대학에서 수학했다. 1962년 서울대 불문학과 재학시절 에 『자유문학』에 문학평론 「나르시스의 시론 -시와 악의 문제-」를 발표하며 등단한 뒤, ‘68그룹’<ref>김현을 비롯하여 우리나라 최초의 소설 동인지『산문시대』 2호에 참여한 강호무·김산초·김성일·염무웅·김치수·서정인 이른바 4·19 세대가 참여한 동인회</ref>을 결성하고, 『문학과 지성』을 기획, 편집하며 대한민국 평론문학의 독보적인 존재로 군림하다가 1990년 6월 지병으로 세상을 떠났다.<ref>김현이 죽은 뒤 시인 황지우는 백년에 한번 나올까 말까 한 평론가라고 평했다.</ref>
+
정치가. 15대 대통령. 전남 무안군(현 신안군) 하의도에서 태어나 목포제일공립고통학교와 목포공립상업학교 졸업. 해방 직후 목포 건국준비위원회에 참여했고 1956년 9월 민주당에 입당, 1960년 민주당 대변인으로 활동하였으나 1963년 2월까지 정치활동 금지대상자가 되었다. 1963년 민주당 재건에 참여하여 대변인이 되었으며 제6대 국회의원 선거에 목포에서 출마해 당선되었다. 1970년 신민당 7대 대통령 후보로 선출되었으나 1971년 대통령선거에서 낙선. 1976년 3월 1일에는 윤보선, 정일형, 함석헌, 문익환 재야인사들과 함께 ‘3·1 민주 구국 선언’을 발표하여 구속됨. 1979년 10월 26일 박정희 대통령이 암살된 이후 가택 연금에서 해제되고 1980년 3월 1일 사면 복권되어 정치활동 재개. 1980년 김대중 내란 음모 사건으로 사형 선고, 1981년 11월 수감 중에 ‘브루노 크라이스키 인권상’ 수상, 1997년 제15대 대통령에 취임. 2000년 평양에서 남북정상회담을 개최하고 6.15 남북공동선언 발표 12월에 노벨평화상 수상.  
 +
 
 
==Semantic Data==
 
==Semantic Data==
 +
 
===Node Description===
 
===Node Description===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 style="width:100px" |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iconUrl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width:100%; background:white;"
 +
!no||id||class||groupName||partName||label||hangeul||hanja||english||infoUrl||iconUrl||작성자||검토자||확인자
 
|-
 
|-
|김대중||Actor||인물||역사||김대중(金大中, 1924~2009)||김대중||金大中||||[https://www.mokpo.go.kr/www/introduce/current?category_1=4%EA%B6%8C 목포시, 『목포시사』, 4권 제 6편 목포의 주요인물, 2017, 523p]||[https://100.daum.net/multimedia/47_C0A8CA3C00000121BD90A7E0001F2B0.jpeg Daum백과]
+
| 59 || [[김대중]] || Actor || 인물 || 역사 || 김대중 (金大中, 1924~2009) || 김대중 || 金大中 || || http://dh.aks.ac.kr/~mokpo/wiki/index.php/김대중 ||  || [[편찬항목:이선영|이선영]]||  ||
 
|-
 
|-
 
|}
 
|}
  
 
===Additional Attributes===
 
===Additional Attributes===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propertyName || value
+
! propertyName || value  
 
|-
 
|-
| id || 김현
+
| id || 김대중
 
|-
 
|-
|본명||
+
|본명||  
 
|-
 
|-
 
|창씨개명||  
 
|창씨개명||  
 
|-
 
|-
|이칭|| 광남(光南)
+
|이칭||  
 
|-
 
|-
 
|유형|| 인물
 
|유형|| 인물
 
|-
 
|-
|성별|| 남
+
|성별|| 남  
 
|-
 
|-
|활동분야|| 문학
+
|활동분야|| 역사
 
|-
 
|-
|성격|| 불문학자
+
|성격|| 정치가     
 
|-
 
|-
|대표작품|| 존재와 언어, 한국문학의 위상
+
|대표작품||  
 
|-
 
|-
|생년|| 1942
+
|생년|| 1924
 
|-
 
|-
|몰년|| 1990
+
|몰년|| 2009
 
|-
 
|-
|출생지|| 전라남도 진도군
+
|출생지|| 전라남도 무안군(현 신안군)
 
|-
 
|-
|사망지||
+
|사망지|| 서울 서대문구 
 
|-
 
|-
|시대|| 현대
+
|시대|| 현대  
 
|-
 
|-
|국적||
+
|국적||  
 
|-
 
|-
|출신지||
+
|출신지||  
 
|-
 
|-
|배우자||  
+
|배우자|| 이희호
 
|-
 
|-
|부||
+
|부|| 김운식
 
|-
 
|-
|모||  
+
|모|| 장수근
 
|-
 
|-
 
|형제||  
 
|형제||  
 
|-
 
|-
|자녀||
+
|자녀|| 김홍걸, 김홍업
 +
|-
 +
|관련인물|| 박정희, 김영삼 장면, 윤보선, 정일형, 함석헌, 문익환 , 김종필
 +
|-
 +
|관련사건|| 김대중 내란음모사건, 서경원의원 밀입북사건
 +
|-
 +
|}
 +
 
 +
===Contextual Relations===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
| [[김대중]] || [[목포공립상업학교]]  ||  ||  졸업
 +
|-
 +
| [[김대중]] || [[전남기선 주식회사 ]]  ||  ||  근무
 +
|-
 +
| [[김대중]] || [[목포 건국준비위원회 ]]  ||  ||  참여
 +
|-
 +
| [[김대중]] || [[목포일보 ]]  ||  ||  운영
 +
|-
 +
| [[김대중]] || [[한국노동문제연구소 ]]  ||  ||  주간
 +
|-
 +
| [[김대중]] || [[장면 ]]  ||  ||  대부
 +
|-
 +
| [[김대중]] || [[민주당 ]]  ||  ||  대변인
 +
|-
 +
| [[김대중]] || [[국회의원 ]]  ||  || 제6대 국회의원 (목포)
 +
|-
 +
| [[김대중]] || [[민중당 ]]  ||  ||  대변인, 정책심의위원회 의장
 +
|-
 +
| [[김대중]] || [[신민당]]  ||  ||  대변인, 7대 대통령 후부
 +
|-
 +
| [[김대중]] || [[사선개헌반대 범국민투쟁위원회 ]]  ||  ||  참여
 +
|-
 +
| [[김대중]] || [[장충단 공원 ]]  ||  ||  1971년 대통령 선거유세
 +
|-
 +
| [[김대중]] || [[민주회복국민회의 ]]  ||  || 참여
 +
|-
 +
| [[김대중]] || [[3.1 민주구국선언]]  ||  ||  윤보선, 정일형, 함석헌, 문익환과 함께 발표, 이로 인해 구속
 +
|-
 +
| [[김대중]] || [[브루노 크라이스키 인권상]]  ||  ||  수상
 +
|-
 +
| [[김대중]] || [[민주화추진협의회(민추협) ]]  ||  ||  공동 의장
 +
|-
 +
| [[김대중]] || [[김영삼 ]]  ||  ||  신당 창당
 +
|-
 +
| [[김대중]] || [[평화민주당 ]]  ||  ||  창당, 총재, 대통령 후보
 +
|-
 +
| [[김대중]] || [[신민주연합당]]  ||  ||  창당
 +
|-
 +
| [[김대중]] || [[아시아태평양평화재단 ]]  ||  ||  창립
 +
|-
 +
| [[김대중]] || [[새정치국민회의 ]]  ||  ||  창당
 +
|-
 +
| [[김대중]] || [[김종필 ]]  ||  ||  후보단일화
 +
|-
 +
| [[김대중]] || [[대한민국 대통령 ]]  ||  ||  제15대 대통령 취임 
 +
|-
 +
| [[김대중]] || [[남북정상회담 ]]  ||  ||  6.15 남북공동선언 발표
 +
|-
 +
| [[김대중]] || [[노벨평화상 ]]  ||  ||  2000년 노벨평화상 수상
 +
|-
 +
|}
 +
 
 +
==Spatial Data==
 +
 
 +
===Spactial Information Nodes===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 gid || region || label || hanja || latitude || longitude || altitue || description
 +
|-
 +
|[[김대중 노벨평화상기념관 ]]|| 전라남도 목포시  || 김대중 노벨평화상 기념관 || || 34.7826013|| 126.3916383||  ||
 +
|-
 +
|}
 +
 
 +
===Spatial Relations===
 +
 
 +
==Temporal Data==
 +
 
 +
===Temporal Information Nodes===
 +
* 해당 아이디의 시간정보를 기록한다.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 tid || timeSpan || label || hanja || koreanAge || japaneseAge || indexDate || description
 +
|-
 +
| 김대중_출생 || 1924 ||  김대중_출생 || 金大中 出生 || || || ||
 +
|-
 +
| [[목포공립상업학교]] || 1943|| 목포공립상업학교  || ||  ||  || ||  졸업
 +
|-
 +
| [[민의원 선거 ]] || 1954|| 민의원 선거 || ||  ||  || ||  무소속 출마 했으나 낙선
 +
|-
 +
| [[천주교 영세 ]] || 1956|| 천주교 영세 || ||  ||  || ||  명동성당, 장면 대부
 +
|-
 +
| [[민주당 입당 ]] || 1956|| 민주당 입당 || ||  ||  || || 
 +
|-
 +
| [[강원도 인제군 민의원 출마 ]] || 1958|| 강원도 인제군 민의원 출마 || ||  ||  || ||  낙선
 +
|-
 +
| [[강원도 인제군 민의원 출마 ]] || 1960|| 강원도 인제군 민의원 출마 || ||  ||  || ||  낙선
 +
|-
 +
| [[민주당 대변인 ]] || 1960|| 민주당 대변인 || ||  ||  || ||  임명
 +
|-
 +
| [[강원도 인제군 민의원 보궐선거]] || 1961|| 강원도 인제군 민의원 보궐선거|| ||  ||  || ||  당선
 +
|-
 +
| [[민주당 재건 ]] || 1963|| 민주당 재건 || ||  ||  || ||  참여, 대변인 활동
 +
|-
 +
| [[제6대 국회의원 선거]] || 1963|| 제6대 국회의원 선거|| ||  ||  || ||  목포 출마 당선
 +
|-
 +
| [[필리버스터 ]] || 1964|| 필리버스터 || ||  ||  || ||  김종필-오히라 메모를 폭로한 김준연 의원 구속동의안 처리를 막기 위하여 5시간 19분 필리버스터
 +
|-
 +
| [[민중당 ]] || 1965|| 민중당 || ||  ||  || ||  대변인, 정책심의위원회 의장
 +
|-
 +
| [[신민당 ]] || 1967|| 신민당 || ||  ||  || ||  대변인
 +
|-
 +
| [[삼선개헌반대 범국민투쟁위원회]] || 1968|| 삼선개헌반대 범국민투쟁위원회|| ||  ||  || || 개헌 반대 연설
 +
|-
 +
| [[신민당 대통령 후보]] || 1970|| 신민당 대통령 후보|| ||  ||  || ||  김영삼과 40대 기수론 주장 
 +
|-
 +
| [[장충단 선거유세 ]] || 1971|| 장충단 선거유세 || ||  ||  || ||  서울 장충단 공원의 선거유세
 +
|-
 +
| [[유신반대 성명]] || 1972|| 유신반대 성명|| ||  ||  || ||  미국과 일본을 오가며 유신반대운동 
 +
|-
 +
| [[김대중 납치미수사건 ]] || 1973|| 김대중 납치미수사건 || ||  ||  || || 김대중 납치미수사건으로 수장될 뻔하였으나 생환되어 동교동 자책에 연금
 +
|-
 +
| [[민주회복국민회의]] || 1974|| 민주회복국민회의|| ||  ||  || ||  참여 
 +
|-
 +
| [[3.1민주 구국선언 ]] || 1976|| 3.1민주 구국선언 || ||  ||  || ||  윤보선, 정일형,
 +
함석헌, 문익환 등 재야인사들과 함께 ‘3·1 민주 구국 선언’발표 후 구속
 +
|-
 +
| [[가택연금 해제]] || 1981|| 가택연금 해제|| ||  ||  || || 박정희 대통령 암살 후 가택연금 해제 
 +
|-
 +
| [[브루노 크라이스키 인권상 수상]] || 1985|| 브루노 크라이스키 인권상 수상|| ||  ||  || ||  수감 중에 수상
 +
|-
 +
| [[민주화추진협의회(민추협) 공동 의장]] || 1987|| 민주화추진협의회(민추협) 공동 의장|| ||  ||  || || 
 +
|-
 +
| [[신당창당 ]] || 1987|| 신당창당 || ||  ||  || ||  김영삼과 함께 신당창당
 +
|-
 +
| [[사면, 복권 ]] || 1987|| 사면, 복권 || ||  ||  || ||  1987년 6.29 선언 이후 복권
 +
|-
 +
| [[평화민주당 창당 ]] || 1987|| 평화민주당 창당 || ||  ||  || || 김영삼과 후보단일화 실패, 평화민주당 창당
 +
|-
 +
| [[신민주연합당 창당 ]] || 1991|| 신민주연합당 창당 || ||  ||  || || 민주당과 통합
 +
|-
 +
| [[14대 대통령 선거 출마 ]] || 1992|| 14대 대통령 선거 출마 || ||  ||  || ||  낙선, 12월에 정계은퇴 선언
 +
|-
 +
| [[아시아 태평양 평화재단 ]] || 1995|| 아시아 태평양 평화재단 || ||  ||  || ||  창립
 +
|-
 +
| [[새정치국민회의 ]] || 1995|| 새정치국민회의 || ||  ||  || || 정계복귀 후 창당 
 +
|-
 +
| [[후보단일화 ]] || 1997|| 후보단일화 || ||  ||  || ||  김종필과 후보단일화 성공 
 +
|-
 +
| [[제15대 대통령  ]] || 1997|| 제15대 대통령  || ||  ||  || || 취임
 +
|-
 +
| [[남북정상회담 ]] || 2000|| 남북정상회담 || ||  ||  || ||  6·15 남북공동선언발표
 +
|-
 +
| [[김대중 내란 음모 사건 재심]] || 2004|| 김대중 내란 음모 사건 재심|| ||  ||  || ||  무죄 선고
 +
|-
 +
| [[김대중 서거 ]] || 2009|| 김대중 서거 || ||  ||  || ||  2009년 8월 서거 
 +
|-
 +
|}
 +
 
 +
===Temporal Relations===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관련인물|| [[김윤식]]
+
|}
 +
 
 +
 
 +
==Online Reference==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 type || resource || title || desctription/caption || URL
 
|-
 
|-
|관련사건||
+
| 해설 || 목포시사 || 김대중 ||  || https://www.mokpo.go.kr/www/introduce/current?category_1=4권
 +
|}
 +
==Bibliography==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 author || title || publication || edition || URL
 
|-
 
|-
 +
| 목포시사편찬위원회 || 「김대중」, 『목포시사』 4권 , 2017, 523p || 목포시 ||  || https://www.mokpo.go.kr/www/introduce/current?category_1=4권
 
|}
 
|}
  
 
==Notes==
 
==Notes==
 +
 
<references/>
 
<references/>
 +
 +
 
[[분류:목포근대문화자산아카이브]] [[분류:Actor]] [[분류:Actor-인물]] [[분류:이선영]]
 
[[분류:목포근대문화자산아카이브]] [[분류:Actor]] [[분류:Actor-인물]] [[분류:이선영]]

2020년 11월 1일 (일) 21:18 판


Definition

정치가. 15대 대통령. 전남 무안군(현 신안군) 하의도에서 태어나 목포제일공립고통학교와 목포공립상업학교 졸업. 해방 직후 목포 건국준비위원회에 참여했고 1956년 9월 민주당에 입당, 1960년 민주당 대변인으로 활동하였으나 1963년 2월까지 정치활동 금지대상자가 되었다. 1963년 민주당 재건에 참여하여 대변인이 되었으며 제6대 국회의원 선거에 목포에서 출마해 당선되었다. 1970년 신민당 7대 대통령 후보로 선출되었으나 1971년 대통령선거에서 낙선. 1976년 3월 1일에는 윤보선, 정일형, 함석헌, 문익환 등 재야인사들과 함께 ‘3·1 민주 구국 선언’을 발표하여 구속됨. 1979년 10월 26일 박정희 대통령이 암살된 이후 가택 연금에서 해제되고 1980년 3월 1일 사면 복권되어 정치활동 재개. 1980년 김대중 내란 음모 사건으로 사형 선고, 1981년 11월 수감 중에 ‘브루노 크라이스키 인권상’ 수상, 1997년 제15대 대통령에 취임. 2000년 평양에서 남북정상회담을 개최하고 6.15 남북공동선언 발표 12월에 노벨평화상 수상.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no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작성자 검토자 확인자
59 김대중 Actor 인물 역사 김대중 (金大中, 1924~2009) 김대중 金大中 http://dh.aks.ac.kr/~mokpo/wiki/index.php/김대중 이선영

Additional Attributes

propertyName value
id 김대중
본명
창씨개명
이칭
유형 인물
성별
활동분야 역사
성격 정치가
대표작품
생년 1924
몰년 2009
출생지 전라남도 무안군(현 신안군)
사망지 서울 서대문구
시대 현대
국적
출신지
배우자 이희호
김운식
장수근
형제
자녀 김홍걸, 김홍업
관련인물 박정희, 김영삼 장면, 윤보선, 정일형, 함석헌, 문익환 , 김종필
관련사건 김대중 내란음모사건, 서경원의원 밀입북사건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김대중 목포공립상업학교 졸업
김대중 전남기선 주식회사 근무
김대중 목포 건국준비위원회 참여
김대중 목포일보 운영
김대중 한국노동문제연구소 주간
김대중 장면 대부
김대중 민주당 대변인
김대중 국회의원 제6대 국회의원 (목포)
김대중 민중당 대변인, 정책심의위원회 의장
김대중 신민당 대변인, 7대 대통령 후부
김대중 사선개헌반대 범국민투쟁위원회 참여
김대중 장충단 공원 1971년 대통령 선거유세
김대중 민주회복국민회의 참여
김대중 3.1 민주구국선언 윤보선, 정일형, 함석헌, 문익환과 함께 발표, 이로 인해 구속
김대중 브루노 크라이스키 인권상 수상
김대중 민주화추진협의회(민추협) 공동 의장
김대중 김영삼 신당 창당
김대중 평화민주당 창당, 총재, 대통령 후보
김대중 신민주연합당 창당
김대중 아시아태평양평화재단 창립
김대중 새정치국민회의 창당
김대중 김종필 후보단일화
김대중 대한민국 대통령 제15대 대통령 취임
김대중 남북정상회담 6.15 남북공동선언 발표
김대중 노벨평화상 2000년 노벨평화상 수상

Spatial Data

Spactial Information Nodes

gid region label hanja latitude longitude altitue description
김대중 노벨평화상기념관 전라남도 목포시 김대중 노벨평화상 기념관 34.7826013 126.3916383

Spatial Relations

Temporal Data

Temporal Information Nodes

  • 해당 아이디의 시간정보를 기록한다.
tid timeSpan label hanja koreanAge japaneseAge indexDate description
김대중_출생 1924 김대중_출생 金大中 出生
목포공립상업학교 1943 목포공립상업학교 졸업
민의원 선거 1954 민의원 선거 무소속 출마 했으나 낙선
천주교 영세 1956 천주교 영세 명동성당, 장면 대부
민주당 입당 1956 민주당 입당
강원도 인제군 민의원 출마 1958 강원도 인제군 민의원 출마 낙선
강원도 인제군 민의원 출마 1960 강원도 인제군 민의원 출마 낙선
민주당 대변인 1960 민주당 대변인 임명
강원도 인제군 민의원 보궐선거 1961 강원도 인제군 민의원 보궐선거 당선
민주당 재건 1963 민주당 재건 참여, 대변인 활동
제6대 국회의원 선거 1963 제6대 국회의원 선거 목포 출마 당선
필리버스터 1964 필리버스터 김종필-오히라 메모를 폭로한 김준연 의원 구속동의안 처리를 막기 위하여 5시간 19분 필리버스터
민중당 1965 민중당 대변인, 정책심의위원회 의장
신민당 1967 신민당 대변인
삼선개헌반대 범국민투쟁위원회 1968 삼선개헌반대 범국민투쟁위원회 개헌 반대 연설
신민당 대통령 후보 1970 신민당 대통령 후보 김영삼과 40대 기수론 주장
장충단 선거유세 1971 장충단 선거유세 서울 장충단 공원의 선거유세
유신반대 성명 1972 유신반대 성명 미국과 일본을 오가며 유신반대운동
김대중 납치미수사건 1973 김대중 납치미수사건 김대중 납치미수사건으로 수장될 뻔하였으나 생환되어 동교동 자책에 연금
민주회복국민회의 1974 민주회복국민회의 참여
3.1민주 구국선언 1976 3.1민주 구국선언 윤보선, 정일형,

함석헌, 문익환 등 재야인사들과 함께 ‘3·1 민주 구국 선언’발표 후 구속

가택연금 해제 1981 가택연금 해제 박정희 대통령 암살 후 가택연금 해제
브루노 크라이스키 인권상 수상 1985 브루노 크라이스키 인권상 수상 수감 중에 수상
민주화추진협의회(민추협) 공동 의장 1987 민주화추진협의회(민추협) 공동 의장
신당창당 1987 신당창당 김영삼과 함께 신당창당
사면, 복권 1987 사면, 복권 1987년 6.29 선언 이후 복권
평화민주당 창당 1987 평화민주당 창당 김영삼과 후보단일화 실패, 평화민주당 창당
신민주연합당 창당 1991 신민주연합당 창당 민주당과 통합
14대 대통령 선거 출마 1992 14대 대통령 선거 출마 낙선, 12월에 정계은퇴 선언
아시아 태평양 평화재단 1995 아시아 태평양 평화재단 창립
새정치국민회의 1995 새정치국민회의 정계복귀 후 창당
후보단일화 1997 후보단일화 김종필과 후보단일화 성공
제15대 대통령 1997 제15대 대통령 취임
남북정상회담 2000 남북정상회담 6·15 남북공동선언발표
김대중 내란 음모 사건 재심 2004 김대중 내란 음모 사건 재심 무죄 선고
김대중 서거 2009 김대중 서거 2009년 8월 서거

Tempor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Online Reference

type resource title desctription/caption URL
해설 목포시사 김대중 https://www.mokpo.go.kr/www/introduce/current?category_1=4권

Bibliography

author title publication edition URL
목포시사편찬위원회 「김대중」, 『목포시사』 4권 , 2017, 523p 목포시 https://www.mokpo.go.kr/www/introduce/current?category_1=4권

Not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