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문"의 두 판 사이의 차이

논문연구
이동: 둘러보기, 검색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229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논문의 주제==
+
<strong><big>
 +
== '''기록문화유산의 디지털 큐레이션 모델 연구''' : 국채보상운동 기록물을 중심으로==
  
  
*'''문화유산정보의 보존과 활용: [[국채보상운동]] 기록물의 디지털큐레이션 연구
+
'''*주제어:디지털 인문학, 디지털 아카이브, 온톨로지, 시맨틱 데이터,
'''* 수정:  디지털 큐레이션을 통한 기록문화유산의 보존과 활용 - 국채보상운동 기록물을 중심으로 –
+
디지털 큐레이션, 역사서사, 디지털 문화유산, 국채보상운동, 역사재현, 엔사이브 
키워드
+
*Keywords:Digital Archive, Digital Curation, Ontology, Semantic Data, Historical Narratives, Digital Heritage, Digital Humanities,
*디지털인문학 (Digital Humanities) 디지털역사학 (Digital History) 디지털아카이브(Digital Archive) *디지털큐레이션(Digital Curation
+
National Debt redemption Movement, History Representation, Encyves
온톨로지 (Ontology) 문화유산(Cultural Heritage) *데이터생애주기 (Data Lifecycle) 역사기술 (Historical narratives)
 
*아시아 지식인 연계(Republic of Letters in Asia)
 
  
==질문들==
+
'''
*운동관련 지식의 노드들을 DB화 할 때 어떤 지식요소를 선정하여야 유용한 지식자원이 되는가?
+
[[파일:small_19070316_신보의연금광고.jpg|150픽셀|국채보상의연자 광고 대한매일신보 19007. 3. 16]]  [[파일:김윤란영수증.png|150픽셀|김윤란 의연금 영수증]]   
*국채보상운동에 대한 영역별 연구는 운동의 역사적 실체, 동기, 국내외 상황을 분야별로 보여 준다.  
+
[[파일:월남망국사.jpg|150픽셀|월남망국사]] [[파일:고령군단연상채회.png|300픽셀|고령군단연상채회회문]] [[파일:배설.png|170픽셀|대한매일신보사장 배설 T.A. Bethell]] [[파일:계산성당.jpg| 300픽셀|계산성당]]
*디지털역사학의 구현: 경제사적, 정치학적, 언론학적, 사회학(여성운동)적으로 수행된 영역별 연구를 통합적으로 디지털 큐레이션한다.
 
*운동의 발단과 과정, 중요한 인물과 그들의 역할을 입체적으로 보여 주는 디지털역사학 (Digital History)의 접근법을 시도한다.  
 
*온톨로지 기반의 디지털아카이빙 방법으로 개별 지식요소의 통합적 연계가 가능함을 구현하는 모델은 제시한다.
 
*동시 진행된 교육 계몽 운동, 의병운동, 동아시아 역내 계몽적 지식인과 인쇄물의 교류와 확산 현상을 연계, 구현한다.  
 
*동아시아의 편지공화국 (Republic of Letters)현상을 사실을 바탕으로 연출할 수 있지 않을까.  
 
  
 +
=='''[[논문 보기]]''' ==
 +
=='''[[국채보상운동 지식요소 관계망(네트워크)그래프로 보기]]'''==
 +
"http://dh.aks.ac.kr/~joanne20/graph/DRM_ex/DRM_ex.htm"
  
==연구 목적과 대상자료==
 
* 이 연구의 목적은 역사적 사건에 관련된 기록물의 보존과 활용 방법의 구체적 모델을 제시하는 것이다.
 
* 보존과 활용을 위해 디지털 데이타로 아카이빙하기 위하여 관련 지식요소 (노드)를 온톨로지를 기반으로 데이터화 한다.
 
* 활용할 전문가와 일반인 등의 필요에 맞게 큐레이팅하는 “디지털 큐레이팅”의 사례를 제시한다. 
 
* 연구의 대상 기록물은 대한제국 망국기의 5년 1905년 -1910년 기간에 일어난 국채보상운동과 당시의 국내외적 상황에 관한 기록물이다.
 
  
==[[디지털 인문학]]과 [[디지털 역사학]] 연구==
+
'''[[네트워크 그래프 사례보기]]'''
* [[디지털 문화유산의 보존과 활용]]
 
* [[디지털 인문학적인 연구 방법 ]]
 
* [[디지털 역사학]]의 구현: 디지털 보존과 역사기술 (history narratives)
 
  
===문화유산보존을 위한 [[디지털 아카이브]]===
+
=='''[[참고사이트 보기]]'''==
* 데이터의 생산과 활용 파라다임변화 [[데이터 생애주기]]
 
* 문화유산의 보존과 디지털 아카이브
 
* 진본성, 신뢰성, 무결성, 이용가능성: MIDAS Heritage, SPECTRUM
 
  
===[[LOD ]]와 [[시맨틱웹]]시대 [[디지털 큐레이션]]===
+
[[파일:보도추이도표1.png|600픽셀|섬네일|오른쪽|국채보상운동 신문보도빈도]],<br/>[[파일:small군별인구비순.png|1200픽셀|섬네일|가운데| 군별인구비순 모금액]]
* Linked Open Data 시대의 [[ 콘텐트 큐레이션]]
 
* 지식요소의 발견, 결합, 재창조: 큐레이션은 [디지털역사학]] 구현이다.
 
("과거는 외국이다" : 인식, 환경, 지식등 근본문제 연구.)
 
                                     
 
==국채보상운동==
 
* 국채보상운동은 무엇인가?: 그 시작과 과정과 종말
 
* 국채보상운동의 시대적 환경과 촉발원인
 
* [[국채보상운동 기록물]]
 
* [[국채보상운동 디지털 아카이브]]
 
* 근대의 SNS [[아시아의 지식사회연계: 문예공화국 (Republic of Letters)]]
 
 
 
===연구대상자료 기록물: 1907-1910 국채보상운동 및 관련 기록물===
 
* [[운동발기문등 중요 문서 12건]]
 
* [[통감부 및 기타문서 140건]]
 
* [[신문기사 2,260건]]
 
* [[민간기록물 59건 ]]
 
* [[외교관계 자료 100건]]
 
* [[연구문헌  97건]]
 
* [[여성단체]]
 
 
 
그림: [[파일:보도추이도표1.png]]
 
 
 
===기록물 현황 과 유형별 특징===
 
{|class="wikitable"
 
!생산자별||민간생산||정부 공기관||언론기관||단체모임||기타 ||
 
|-||||||||||
 
|||71||121||2,260||120||||
 
|-||||||||||
 
!연도별 ||1907||1908||1909||1910||||
 
|-||||||||||
 
|||1,806||286||45||123||||
 
|-||||||||||
 
!유형별||국한문수기||국한문인쇄||한문수기||한문인쇄||일문수기||영문
 
|-||||||||||
 
|||6||11||70||4||121||90
 
|}
 
 
 
==[[온톨로지 설계]]와 DB 구축 ==
 
*역사기록물에 관련된 [[지식요소]]를 온톨로지로 설계. 
 
*모금운동진행관련 기록물, 관련인물, 사건, 문헌, 스토리, 연구자원
 
*[[애국계몽운동]][[자주독립운동]][[의병투쟁운동]][[교육운동]][[자강운동]][[국채보상운동]]
 
*[[모금 참가자 명단]] [[언론보도]] [[의병기록 통계]] 과 연계.
 
*편지, 공문등에 기록된 [[일본의 탄압정책]], 일영관계 등 국제관계의 맥락에서.
 
*아시아 지식인연계망 (문예공화국), 서포, 인물, 번역과 출판을 통한 지적인 교류와 상호영향.
 
*연대별 의병, 모금, 운동등 사건 상황의 변화 가시화(1907. 1908, 1909, 1910 년)
 
 
 
[[연표]]
 
*주제별 (모금운동진행 기록물,  참가자명단과 금액등 언론보도내용. 관련인물과 스토리, 한국-일본-영국 국제관계)
 
[[지도]]
 
*지역별 참가자 수, 모금액의 분포와 인구대비 참가율.
 
그림: [[파일:small군별인구비순.png]]
 
 
 
==결론==
 
*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으로 취약한 디지털자원을 선별적으로 기록하고 영구보존한다. 영역연구의 결실인 지식자산을 통합적 디지털 아카이브로 구축.
 
* 디지털적 지식의 내용은 백과사전적으로 무한히 연결되어, 유물 실체와 디지털적 재현물, 해석 콘텐트등이 통합지식자원화 된다.
 
* 아카이빙의 궁극적 목적은 보존과 기록, 검색과 지속성이 가능한 지식자원화 하여 활용하는 것이다.
 
* 대상 인물, 사건, 유물 등을 포괄적으로 파악하기 위한 온톨로지를 구축하여 연관된 지식요소간의 관계를 데이터로 구축한다.
 
 
* 과잉 정보 환경에서 가치있고 유용한 지식만을 선별, 제작, 관리하는 권위있고 신뢰받는 전문적 디지털 큐레이팅의 역할이 부상함.
 
* 역사적사실이나 인물, 사건의 요소에서 학문영역과 지리적 경계를 넘어 목적에 맞게 지식을 편집하고 제시하는 것이 전문적 콘텐트 큐레이팅. 
 
* 맥락있는 내러티브를 연출하는 (production) 하는 큐레이션 방법론을 제시한다.
 
 
 
* 통합적 데이터 모델로 구축된 국채보상운동의 지식요소들은 학문영역을 초월하여 당시의 상황을 드러낸다. 
 
  즉 그동안의 분야별 연구에서 누락되거나 소홀히 다루어진 막후의 국제관계와 주요 인물들의 숨겨진 역할, 중국, 일본,
 
  한국의 지식인들 간의 교류는 인문학적 공동체(Republic of Letters)(편지공화국 / 문예공화국)을 이루어 개화기에
 
  국민 계몽과 국권회복 운동에 큰 자극이 되었슴을 밝힌다. 디지털역사학 접근법의 새로운 성과물의 사례이다.
 
 
 
===참고자료===
 
* [https://1drv.ms/b/s!AiPnp8V1t5myi2tY8TEErfWmUJJy 워커힐과 예술], [[김지명]]
 
====reference====
 
* [[Digital Keywords]]
 
*[https://ko.wikipedia.org/wiki/%EC%9C%84%ED%82%A4%EB%B0%B1%EA%B3%BC:%EC%9C%84%ED%82%A4_%EB%AC%B8%EB%B2%95 위키문법]
 
 
 
 
 
====연구자 인적사항 ====
 
* [[김지명]]
 

2020년 7월 14일 (화) 05:16 기준 최신판

기록문화유산의 디지털 큐레이션 모델 연구 : 국채보상운동 기록물을 중심으로

*주제어:디지털 인문학, 디지털 아카이브, 온톨로지, 시맨틱 데이터, 디지털 큐레이션, 역사서사, 디지털 문화유산, 국채보상운동, 역사재현, 엔사이브

  • Keywords:Digital Archive, Digital Curation, Ontology, Semantic Data, Historical Narratives, Digital Heritage, Digital Humanities,

National Debt redemption Movement, History Representation, Encyves

국채보상의연자 광고 대한매일신보 19007. 3. 16 김윤란 의연금 영수증 월남망국사 고령군단연상채회회문 대한매일신보사장 배설 T.A. Bethell 계산성당

논문 보기

국채보상운동 지식요소 관계망(네트워크)그래프로 보기

"http://dh.aks.ac.kr/~joanne20/graph/DRM_ex/DRM_ex.htm"


네트워크 그래프 사례보기

참고사이트 보기

국채보상운동 신문보도빈도
,
군별인구비순 모금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