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화소록"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nn
(새 문서: {{clickable button | 양화소록 관련 위키 목록 }} =『양화소록』문헌 소개= 『양화소록』은 조선 초기의 문신 강희안 (姜希顔, 1...) |
(→Bibliography) |
||
54번째 줄: | 54번째 줄: | ||
{| class="wikitable" | {| class="wikitable" | ||
− | ! type bibliographic index online resource | + | ! type !! bibliographic index !! online resource !! url |
|- | |- | ||
− | | 논문 | + | | 논문 || 권정은, 「‘양화소록’과 ‘부생육기’에 내포된 화훼 취미의 자연미와 치유적 가치」, 『문학치료연구』 44, 한국문학치료학회, 2017.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248853 |
|- | |- | ||
− | | 논문 | + | | 논문 || 문영란, 「강희안의 양화소록(養花小錄)을 통해 본 화예정신에 관한 연구」, 『한국화예디자인학연구』 25, 한국화예디자인학회, 2011.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623622 |
|- | |- | ||
− | | 논문 | + | | 논문 || 박희성, 윈쟈옌, 「「양화소록(養花小錄)」과 『장물지(長物志)』 화목류에 나타난 문인원림 취미 비교」, 『한국조경학회지』 44-3(통권 175호), 한국조경학회, 2016.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126233 |
|- | |- | ||
− | | 논문 | + | | 논문 || 김동현, 이원호, 「조선시대 정원의 지식정보 전개와 수용 - 15~19세기 편찬된 정원 및 화훼 관련서적을 중심으로」,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8-1(통권 111호), 한국전통조경학회, 2020.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577602 |
|- | |- | ||
− | | 논문 | + | | 논문 || 노재현, 오현경, 한상엽, 「「비해당사십팔영(匪懈堂四十八詠)」의 출현식물이 조선시대 원예 관련서에 미친 영향」,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7-2(통권 68호), 한국전통조경학회, 2009. || riss || http://www.riss.kr/link?id=A76500122 |
|- | |- | ||
− | | 논문 | + | | 논문 || 김희, 「『養花小錄』에 담겨진 유가적 의미체계에 대한 철학적 연구」, 『동양철학연구』 52, 동양철학연구회, 2007.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202730 |
|- | |- | ||
− | | 논문 | + | | 논문 || 이호철, 「「양화소록(襄花小錄)」에 담긴 15세기 꽃 · 나무 사랑법」, 『농업사연구』 3-1, 한국농업사학회, 2004.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249133 |
|- | |- | ||
− | | 논문 | + | | 논문 || 강기래, 「조선초기(朝鮮初期) 사대부(士大夫) 강희안(姜希顔)의 양화개념고찰(養花槪念考察)」,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7-3, 한국정원학회, 2009. || riss || http://www.riss.kr/link?id=A76564615 |
|- | |- | ||
− | | 논문 | + | | 논문 || 신혜경, 「양화소록(養花小錄)에 나타난 석창포의 양생법(養生法)에 관한 연구」, 대구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 riss || http://www.riss.kr/link?id=T8950966 |
|- | |- | ||
− | | 논문 | + | | 논문 || 강아람, 「양화원(養花園) 설계 : 강희안·강희맹 형제의 삶과 사상을 테마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 riss || http://www.riss.kr/link?id=T12919014 |
|- | |- | ||
− | | 논문 | + | | 논문 || 최서임, 「강희안의 문학 연구」, 세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 riss || http://www.riss.kr/link?id=T11727469 |
|- | |- | ||
− | | 논문 | + | | 논문 || 심규영, 「조선 전기 서적 간행 현황과 서발문의 문체적 특징」, 서강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20. || riss || http://www.riss.kr/link?id=T15628190 |
|- | |- | ||
− | | 논문 | + | | 논문 || 최유정, 「전통공간에 도입된 배롱나무의 경관적 가치와 배식 특성」, 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9. || riss || http://www.riss.kr/link?id=T15051603 |
|} | |} | ||
− | |||
− | |||
=출처= | =출처= |
2022년 3월 17일 (목) 22:40 판
『양화소록』문헌 소개
『양화소록』은 조선 초기의 문신 강희안 (姜希顔, 1417~1464, 호는 인재)이 화훼를 기르며 직접 터득한 재배법과 중국 문헌을 통해 습득한 화초 재배법 등을 종합하여 정리한 책으로 1449년(세종31) 경에 편찬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후 동생 강희맹이 1473년(성종4) 할아버지인 강회백, 아버지인 강석덕, 형 강희안의 시문을 모아 『진산세고』를 편찬하였고, 이때 양화소록을 진산세고의 마지막 권 4에 수록하였다. 진산세고로 엮여 출간될 때 책의 첫머리에 신숙주, 최항, 정창손의 서문과 책 끝에 김종직, 서거정의 발문이 추가되었다. 권1은 강회백의 행장과 그의 시문집을 담고 있고, 권2는 강석덕의 행장과 그의 시문집을, 권3은 강희안의 행장과 그의 시문집을 담고 있다.
출판 현황
양화소록 | 이미지 | 출판사 | 간행년 | 비고 |
---|---|---|---|---|
양화소록 | 강희맹, 필사본 / 규장각 소장 | 1449년(세종31)[1]조선 세조 때[2] | ||
진산세고 | 강희맹, 목판본 / 박영돈 소장 | 1476년(성종7) 추정 | 보물 제1290호 | |
이병훈 역 | 을유문화사 | 1973년, 2000년 | 절판 | |
서윤희, 이경록 공역 | 눌와 | 1999년, 2012년 | 절판 | |
이종묵 역 | 아카넷 | 2012년 | 절판 |
Web Resource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
해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 양화소록(養花小錄)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35879 | |
해설 | 한국민속대백과사전 | 양화소록 | https://folkency.nfm.go.kr/kr/topic/detail/8926 | |
해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 진산세고(晉山世稿)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54727 | |
해설 | 두산백과 | 양화소록(養花小錄) | 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51522 | |
참고 | 국립중앙박물관 > 큐레이터 추천 소장품 | 「양화소록(養花小錄)」 - 『진산세고(晉山世稿)』 속, 강희안의 꽃 기르는 마음을 담은 글 | https://www.museum.go.kr/site/main/relic/recommend/view?relicRecommendId=165935 | |
해설 | 위키백과 | 진산세고 | https://ko.wikipedia.org/wiki/진산세고 | |
참고 | 국가문화유산포털 | 진산세고 |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1121112900000&pageNo=1_1_2_0 |
Bibliography
type | bibliographic index | online resource | url |
---|---|---|---|
논문 | 권정은, 「‘양화소록’과 ‘부생육기’에 내포된 화훼 취미의 자연미와 치유적 가치」, 『문학치료연구』 44, 한국문학치료학회, 2017.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248853 |
논문 | 문영란, 「강희안의 양화소록(養花小錄)을 통해 본 화예정신에 관한 연구」, 『한국화예디자인학연구』 25, 한국화예디자인학회, 2011.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623622 |
논문 | 박희성, 윈쟈옌, 「「양화소록(養花小錄)」과 『장물지(長物志)』 화목류에 나타난 문인원림 취미 비교」, 『한국조경학회지』 44-3(통권 175호), 한국조경학회, 2016.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126233 |
논문 | 김동현, 이원호, 「조선시대 정원의 지식정보 전개와 수용 - 15~19세기 편찬된 정원 및 화훼 관련서적을 중심으로」,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8-1(통권 111호), 한국전통조경학회, 2020.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577602 |
논문 | 노재현, 오현경, 한상엽, 「「비해당사십팔영(匪懈堂四十八詠)」의 출현식물이 조선시대 원예 관련서에 미친 영향」,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7-2(통권 68호), 한국전통조경학회, 2009. | riss | http://www.riss.kr/link?id=A76500122 |
논문 | 김희, 「『養花小錄』에 담겨진 유가적 의미체계에 대한 철학적 연구」, 『동양철학연구』 52, 동양철학연구회, 2007.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202730 |
논문 | 이호철, 「「양화소록(襄花小錄)」에 담긴 15세기 꽃 · 나무 사랑법」, 『농업사연구』 3-1, 한국농업사학회, 2004.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249133 |
논문 | 강기래, 「조선초기(朝鮮初期) 사대부(士大夫) 강희안(姜希顔)의 양화개념고찰(養花槪念考察)」,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7-3, 한국정원학회, 2009. | riss | http://www.riss.kr/link?id=A76564615 |
논문 | 신혜경, 「양화소록(養花小錄)에 나타난 석창포의 양생법(養生法)에 관한 연구」, 대구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 riss | http://www.riss.kr/link?id=T8950966 |
논문 | 강아람, 「양화원(養花園) 설계 : 강희안·강희맹 형제의 삶과 사상을 테마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 riss | http://www.riss.kr/link?id=T12919014 |
논문 | 최서임, 「강희안의 문학 연구」, 세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 riss | http://www.riss.kr/link?id=T11727469 |
논문 | 심규영, 「조선 전기 서적 간행 현황과 서발문의 문체적 특징」, 서강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20. | riss | http://www.riss.kr/link?id=T15628190 |
논문 | 최유정, 「전통공간에 도입된 배롱나무의 경관적 가치와 배식 특성」, 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9. | riss | http://www.riss.kr/link?id=T15051603 |
출처
- ↑ 심규영, 「조선 전기 서적 간행 현황과 서발문의 문체적 특징」, 서강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20. - 19쪽 표6
-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양화소록|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358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