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화소록:석창포편"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nn
이동: 둘러보기, 검색
59번째 줄: 59번째 줄:
 
|-
 
|-
 
| R-16_007 || 삼요의 찬송 ||  ||  || 송나라 || 참료
 
| R-16_007 || 삼요의 찬송 ||  ||  || 송나라 || 참료
 +
|}
 +
 +
 +
=지도로 보는 조선 사신단의 한양-일본 서방사 이동 경로=
 +
 +
<html><iframe src="https://www.google.com/maps/d/embed?mid=1fT1UjshpycQaou9voGIZFOUUc3O2MorF&ehbc=2E312F" width="640" height="480"></iframe></iframe></html>
 +
 +
 +
=더 읽을 거리=
 +
 +
 +
{| class="wikitable"
 +
! type !! resource !! title !! url
 +
|-
 +
| 해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 창포(菖蒲)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55551
 +
|-
 +
| 해설 || 위키실록사전 || 석창포(石菖蒲) ||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석창포(石菖蒲)
 +
|-
 +
| 해설 || 본초감별도감 || 석창포 || https://herba.kr/boncho/?m=view&t=dogam&id=261
 +
|-
 +
| 해설 || 농사로 || 석창포-잎을 관상하는 실내식물 || https://nongsaro.go.kr/portal/ps/psz/psza/contentSub.ps;jsessionid=f3CYaORuUF1LVtPxMSoJQJGUdvvNKV13Y7lMTx0g0EN0KDQ50bi1N4ayc0islNOw.nongsaro-web_servlet_engine1?menuId=PS00376&cntntsNo=19457&totalSearchYn=Y
 +
|-
 +
| 참고 || 농업인신문 || 불로장생의 대표적인 약초 ‘석창포’ || https://www.nongup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67723
 +
|-
 +
| 참고 || 시사저널 || 신선이 알려줬다는 불로장생약, 석창포 || https://www.sisajournal.com/news/articleView.html?idxno=179624
 +
|-
 +
| 참고 || 효능백과 || 석창포의 효능과 부작용, 먹는법-석창포차 만드는 법, 입욕제, 베개 활용법 || https://baroblog.tistory.com/339
 +
|-
 +
| 논문 || 원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석창포 추출물의 생리활성에 관한 연구 || https://scienceon.kisti.re.kr/srch/selectPORSrchArticle.do?cn=DIKO0014024842&dbt=DIKO
 
|}
 
|}
  
76번째 줄: 105번째 줄:
 
<html><iframe width="560" height="315" src="https://www.youtube.com/embed/PF4xfTCq2M4" title="YouTube video player" frameborder="0" allow="accelerometer; autoplay; clipboard-write; encrypted-media; gyroscope; picture-in-picture" allowfullscreen></iframe></html>
 
<html><iframe width="560" height="315" src="https://www.youtube.com/embed/PF4xfTCq2M4" title="YouTube video player" frameborder="0" allow="accelerometer; autoplay; clipboard-write; encrypted-media; gyroscope; picture-in-picture" allowfullscreen></iframe></html>
  
=지도로 보는 조선 사신단의 한양-일본 서방사 이동 경로=
 
 
<html><iframe src="https://www.google.com/maps/d/embed?mid=1fT1UjshpycQaou9voGIZFOUUc3O2MorF&ehbc=2E312F" width="640" height="480"></iframe></iframe></html>
 
  
  
 
[[분류:양화소록]]
 
[[분류:양화소록]]

2022년 5월 23일 (월) 15:11 판

양화소록 관련 위키 목록 양화소록


석창포.jpg
석창포
편명(한자) 石菖蒲
학명 Acorus gramineus
영명 Japanese sweet flag, Japanese rush
천남성과 Araceae
생육상 여러해살이풀
개화기 4~5월

양화소록 원문&번역

石菖蒲

<중국에서 유래한 정보들> 格物論, 菖蒲一名昌歜, 生池沼間, 其根盤屈有節, 狀如馬鞭, 一寸而九節者佳. 今一種根苗纖細. 所爲石菖蒲也. 大根者乃昌陽也, 不可服. 退之謂昌陽引年, 誤以昌陽為菖蒲耳.
○本草云, “久服, 輕身, 聡耳目, 不忘, 不迷惑, 延年, 益心智, 高志, 不老, 一名堯韭.”
○養菖蒲法, “以積年溝渠瓦為末種之.”
○又云, “初種圓石上, 再種好石上, 則葉細.”
○澆花法, 石菖蒲喜洗根, 頻洗則葉細而秀, 極怕烟, 人家多置之神佛供養, 纔被香烟遶者, 無不爛死.
○又用石泉及天雨水, 不可用井水河水, 如無油膩塵垢, 不必易水. 夜移露天, 旦起見日, 即收之, 則可久也.
或云, “缸貯雨水三五日, 一次用杓瓝過別缸, 去其滓涕, 如是三五次, 其水清方可, 頻頻換浸.”
昌歜非獨文王好嘗之, 後世名士韻釋, 亦多愛之, 播諸歌詠. 東坡云, “菖蒲人不識, 生此亂石溝. 山高霜雪苦, 黃[苗]葉不得抽. 下有千歲根, 蹙縮如盤虯. 長有鬼神守, 德薄安敢偷."
○謝疊山歌曰,“異根不帶塵土[埃]氣, 孤操愛結泉石盟. 明窓淨几有宿契, 花林草砌無交情.” ○參寥頌云,“寒溪之濱, 沙石之竇. 産此靈苗, 蔚然而秀. 有美君子, 採持而歸. 文石相并, 涵畜清漪. 根盤九節, 霜雪不枯(槁). 置之幽齋, 永以為好”以此觀之, 物以類聚, 氣同相親, 宣其為高流所愛玩也.


<강희안이 쓴 이야기>

初春採盤根細葉者, 剪鬚根, 列置怪石下, 用碎石鎭之, 依古方, 以石泉浸灌, 不令水有臭氣, 自然生根盤結石上. 又於別器, 盛溪邊圓石, 上植八九根, 頻頻易水卽盛.
夜讀書置案上, 可收燈烟, 不薰眼, 最是良法. 但恨浸灌歲久, 則葉漸長, 還如書帶. 唯種階砌, 不受水氣者, 乃得葉細不長. 收藏勿使太暖, 以致萎敗. 鼎爐用磁器.
○近歲有一名相, 奉使日本, 到西方寺, 參謁一老宿, 少憩廳事. 老宿令沙彌棒一海螺來示, 螺背有物, 如龍虵(蛇)蟠蜓之狀, 纏結數重, 間有鬐鬣細如針.
熟視之乃菖蒲也, 如龍虵(蛇)者根也, 而如針者葉也. 相甚異之, 欲試其意, 因戲語云, “願賜奇寶, 以侈吾行"
老宿曰 “積至數百年乃成, 儻出塵世必枯朽, 此神物也. “ 遂令還置舊處. 何其奇怪一至於此, 固異於世之菖蒲也. 余始錄之以竢知者.


석창포편에 나오는 인용문

id 문헌 챕터 시대 저자
R-16_001 격물론 고금합벽사류비요 송나라 사유신
R-16_002 본초 증류본초 권6 증류본초
R-16_003 창포를 기르는 법 거가필용사류전집
R-16_004 석창포꽃에 물을 주는 법 쇄쇄록 송나라
R-16_005 소동파의 시 송나라 소동파
R-16_006 사첩산의 노래 송나라 사침산
R-16_007 삼요의 찬송 송나라 참료


지도로 보는 조선 사신단의 한양-일본 서방사 이동 경로


더 읽을 거리

type resource title url
해설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창포(菖蒲)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55551
해설 위키실록사전 석창포(石菖蒲)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석창포(石菖蒲)
해설 본초감별도감 석창포 https://herba.kr/boncho/?m=view&t=dogam&id=261
해설 농사로 석창포-잎을 관상하는 실내식물 https://nongsaro.go.kr/portal/ps/psz/psza/contentSub.ps;jsessionid=f3CYaORuUF1LVtPxMSoJQJGUdvvNKV13Y7lMTx0g0EN0KDQ50bi1N4ayc0islNOw.nongsaro-web_servlet_engine1?menuId=PS00376&cntntsNo=19457&totalSearchYn=Y
참고 농업인신문 불로장생의 대표적인 약초 ‘석창포’ https://www.nongup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67723
참고 시사저널 신선이 알려줬다는 불로장생약, 석창포 https://www.sisajournal.com/news/articleView.html?idxno=179624
참고 효능백과 석창포의 효능과 부작용, 먹는법-석창포차 만드는 법, 입욕제, 베개 활용법 https://baroblog.tistory.com/339
논문 원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석창포 추출물의 생리활성에 관한 연구 https://scienceon.kisti.re.kr/srch/selectPORSrchArticle.do?cn=DIKO0014024842&dbt=DIKO


석창포를 사랑하는 요즘의 강희안들

  • 채널명: SK and HANI Story
  • 제목: 석창포 교육(이론 및 실습)
  • 설명: 춘천들꽃수목연구회에서 실시한 석창포 식재 교육, 강사 문용기 회장


  • 채널명: 김승호 들꽃 TV
  • 제목: 석창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