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합천 해인사 용성선사 승탑 및 탑비

HeritageWiki
강혜원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0년 4월 25일 (토) 20:44 판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합천 해인사 용성선사 승탑 및 탑비
Stupa and Stele of Master Yongseong at Haeinsa Temple, Hapcheon
합천 해인사 용성선사 승탑 및 탑비,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합천 해인사 용성선사 승탑 및 탑비
영문명칭 Stupa and Stele of Master Yongseong at Haeinsa Temple, Hapcheon
한자 陜川 海印寺 龍城禪師 僧塔 및 塔碑
주소 경상남도 합천군 해인사길 144-19 (가야면, 용탑선원)
지정번호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492호
지정일 2009년 12월 3일
분류 유적건조물/종교신앙/불교/탑
시대 일제강점기
수량/면적 부도1기, 탑비1기
웹사이트 합천 해인사 용성선사 승탑 및 탑비,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백용성(白龍城, 1864-1940)선사는 3ㆍ1운동 때 민족대표 33인 중 불교계의 대표로서 부처님의 정법을 전수한 명안조사이다. 한문경전을 최초로 한글로 번역 출간하였으며, 일제강점기 왜색화된 계율을 불교 본래 모습으로 회복하는데 전력을 다하였다. 큰스님이 1940년 2월 입적 후 승탑이 조성되었고 1941년에 사리탑비가 조성되었다.

부도는 고려시대의 강원도 원주 영전사지 보제존자 사리탑(1388년) 2기 외에는 없는 희소한 형식의 불탑형 부도(승탑)이고, 비슷한 높이의 이중 기단이나 3층의 탑신 형식 등은 해인사 경내의 길상탑을 모방한 것으로 보인다.

탑비는 전체 높이가 약 341㎝이며 이주 지대석 위에 귀부(龜趺)ㆍ비신(碑身)ㆍ이수(螭首)를 올려놓았다. 귀부는 웅크린 채 네 다리에 힘을 주는 형상을 하고 있으며 윗면에는 귀갑무늬가 새겨져 있다. 이수는 반룡 두 마리가 마주 보게 장식되어 있다.

비는 조선시대의 전통을 잘 계승하는 조각 형태와 수법을 갖추고 있으며, 비신의 우측면에는 ‘용운근찬(龍雲謹撰) 오세창전(吳世昌篆)’이라 되어있어, 찬문(撰文)은 한용운(韓龍雲)이 비문을 짓고, 비신의 두전(頭篆) 전액(篆額) 오세창선생, 비문(碑文)은 최종한(崔宗澣)이 썼음을 알 수 있다.

영문

Stupa and Stele of Buddhist Monk Baek Yong-seong at Haeinsa Temple, Hapcheon

These are the stupa and stele of the Buddhist monk and independence activist Baek Yong-seong (1864-1940). A stupa is a structure built to enshrine the relics or cremated remains of a Buddhist monk. A stele recording the monk's life and achievements was commonly erected together with the stupa.

Baek Yong-seong became a monk at the age of 16 at Geungnagam Hermitage of Haeinsa Temple. He played a leading role in promoting Buddhism in Korea by publishing Buddhist sutras which he had translated from Classical Chinese into vernacular Korean. He was also one of the 33 national leaders who formed the core of the March 1st Independence Movement in 1919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1910-1945).

The stupa was built in the year of his death. It was built in the shape of a pagoda, which for enshrining the remains of the Buddha, and is therefore a very uncommon design for a stupa. It consists of a two-tiered base, three sets of body and roof stones, and a decorative top.

The stele was erected in 1941 and is composed of a two-tiered platform, a tortoise-shaped pedestal, a body stone, and a capstone engraved with two dragons. The epitaph on the front of the stele records the life and achievements of Baek Yong-seong. The epitaph on the right side of the stele was composed by the monk and poet Han Yong-un (1879-1944), and the name of the stele was calligraphed by the calligrapher O Se-chang (1864-1953), both of whom were also among the 33 national leaders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영문 해설 내용

승려이자 독립운동가였던 백용성(1864-1940)의 승탑과 그의 생애와 업적을 기리는 탑비이다. 승탑은 스님의 사리나 유골을 모셔 놓은 일종의 무덤이며, 스님의 사후에 승탑과 탑비가 함께 조성된다.

백용성(1864-1940)은 16세에 해인사 극락암에서 출가했다. 한문으로 된 불교 경전을 최초로 한글로 번역하여 출간하는 등 불교의 대중화를 위해 앞장섰다. 일제강점기 3.1운동 당시 민족대표 33인 중 1인으로 참여하였다.

승탑은 선사가 입적한 바로 그 해에 조성되었다. 부처의 사리를 모시는 탑의 형태로 만들어졌는데, 이런 형식으로 만들어진 승탑은 매우 드물다. 2층으로 된 기단, 3층의 몸돌과 지붕돌, 머리장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탑비는 1941년에 세워졌으며, 2층의 바닥돌, 거북 모양의 받침돌, 몸돌, 용 두 마리가 새겨진 머릿돌로 이루어져 있다. 앞면의 비문에는 백용성의 일대기가 기록되어 있다. 오른쪽 측면에는 승려이자 시인인 한용운(1879-1944)이 비문을 짓고, 서화가인 오세창(1864-1953)이 비 제목의 글씨를 썼음을 기록하였다. 두 사람은 모두 백용성과 함께 민족대표 33인에 이름을 올렸던 사람들이다.

참고 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