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천 해인사 장경판전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합천 해인사 장경판전
Janggyeongpanjeon Depositories of Haeinsa Temple, Hapcheon
합천 해인사 장경판전,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합천 해인사 장경판전
영문명칭 Janggyeongpanjeon Depositories of Haeinsa Temple, Hapcheon
한자 陜川 海印寺 藏經板殿
주소 경상남도 합천군 가야면 해인사길 122
지정번호 국보 제52호
지정일 1962년 12월 20일
분류 유적건조물/종교신앙/불교/기타
시대 조선시대
수량/면적 4동
웹사이트 합천 해인사 장경판전,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팔만대장경판은 부처님께서 진리의 세계에 대해 차별 없이 말씀하신 법과 그에 대한 주석서를 포함한 일체의 총서(이를 경·율·론 3장이라 한다)를 목판에 새겨 놓은 것이다. 해인사를 ‘법보종찰’이라 부르는 것은 바로 이 대장경판을 봉안하고 있기 때문이다.

법보공간은 대적광전 뒤로 가파른 계단 위에 ‘팔만대장경(八萬大藏經)’이라는 현판을 단 문 뒤로 위치한 네 건물을 포함한다. 마당 앞쪽의 동서로 긴 건물은 수다라장(修多羅藏)이고 뒤에 있는 긴 건물은 법보전(法寶殿)이다. 이 두 건물에 고려대장경판이 모셔져 있다. 그 양쪽 끝에 있는 작은 건물은 고려각판(高麗刻板)을 모신 동(東)·서(西) 사간판전(寺刊板殿)이다.

장경판전은 대장경을 보관하는 데 필요한 기본 구조만 갖추고 있어 겉으로는 평범해 보인다. 그러나 장경판전은 건물의 위치ㆍ건물 배치와 좌향(坐向)ㆍ건물 구조와 창호 처리ㆍ판가(板架) 구조ㆍ경판 배열 등의 측면에서 통풍이 잘되고 일조량도 적당하다. 그래서 목판을 보존하는데 최적의 조건인 항온ㆍ항습의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있다. 예컨대 판전 외벽의 앞ㆍ뒷면에는 크기가 다른 살창이 칸마다 아래위로 나 있어서 건물 뒤쪽으로 내려오는 습기를 억제하고 판전으로 불어온 바람이 건물 안에서 골고루 퍼진 다음 밖으로 나가도록 되어 있다. 대장경판이 지금까지 잘 보존되어 있는 것은 이처럼 기후환경이 자연적으로 조절되도록 설계되어 있기 때문이다. 해인사에는 조선 후기에 일곱 차례나 불이 났지만, 다행히도 장경판전에는 불길이 미치지 않았다.

영문

Janggyeongpanjeon Depositories of Haeinsa Temple, Hapcheon

The Janggyeongpanjeon Depositories are home to over 87,000 printing woodblocks of the Tripitaka Koreana and other Buddhist texts. Its carefully picked location and deliberately designed conservation methods have played a crucial role in the preservation of the woodblocks to this day. In recognition of these outstanding values, Janggyeongpanjeon Depositories were inscribed on the UNESCO World Heritage List in 1995.

The depositories are the oldest buildings in Haeinsa Temple. Although it is unknown when they were first built, records state they were renovated in 1488. Since then, they have undergone only minor renovations.

The depositories' location within the temple is not only symbolic, as it is higher than the main worship hall, but also functional. The depositories are protected from behind by the shaded mountain to the north and face the open grounds of the temple to the south, which is a secure location and encourages air circulation.

The depositories consist of four buildings, arranged in a rectangular layout with a courtyard in the middle. The two longer buildings in the front and back, Sudarajang Hall and Beopbojeon Hall, store the Tripitaka Koreana, and the two shorter buildings on the sides store the other various Buddhist texts. The exteriors are simple and lack decoration. Inside, the floors are covered with a mix of charcoal, lime powder, salt, and sand to control humidity. The windows have different shapes and sizes to provide an appropriate amount of sunlight and ventilation. The shelves are designed to be exposed on all sides, and the woodblocks themselves have thick handles, which creates gaps between woodblocks to enhance air circulation.

영문 해설 내용

장경판전은 팔만대장경을 포함한 87,000장 이상의 경판을 보관하고 있는 건물이다. 건물의 위치와 보존 구조는 대장경판이 지금까지 잘 보존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장경판전은 그 탁월한 가치를 인정받아 1995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되었다.

장경판전은 해인사에서 가장 오래된 건물이다. 처음 지어진 시기는 알 수 없지만, 기록에 따르면 1488년에 중수하였고, 이후 여러 차례 보수되었다.

법당보다 높은 곳에 위치하여 상징적인 의미를 가질뿐만 아니라, 기능적으로도 중요한 요인을 갖추고 있다. 북쪽은 산으로 높게 막혀 있고 남쪽은 뚫려 있어, 보안상으로도 유효하고 통풍에도 좋은 위치이다.

장경판전은 4개의 건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가운데에 마당을 중심으로 ㅁ자형을 이루고 있다. 앞쪽과 뒤쪽에 위치한 긴 두 건물은 대장경을 보관하고 있는 수다라장과 법보전이며, 양옆에 짧은 두 건물은 다른 불교 전적들을 보관하고 있다. 외관은 단순하고 장식이 없다. 내부 바닥에는 숯, 횟가루, 소금, 모래 등을 섞어서 습도를 조절할 수 있게 하였다. 또 각기 다른 모양과 크기를 가진 창을 내어 충분한 일조량을 확보하면서도 통풍이 잘 되도록 했다. 판가도 사방이 뚫려 있고 경판마다 두꺼운 마구리를 끼워 넣어 경판들 사이의 간격이 벌어지게 하여 공기가 잘 순환되도록 하였다.

3D Model

참고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