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합천 청량사 석등

HeritageWiki
이슬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0년 4월 9일 (목) 23:22 판 (새 문서: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사진=합천청량사석등.jpg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1123802530000 합천 청량사 석...)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합천 청량사 석등
Stone Lantern of Cheongnyangsa Temple, Hapcheon
합천 청량사 석등,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합천 청량사 석등
영문명칭 Stone Lantern of Cheongnyangsa Temple, Hapcheon
한자 陜川 淸凉寺 石燈
주소 경상남도 합천군 가야면 황산리 973
지정번호 보물 제253호
지정일 1963년 1월 21일
분류 유적건조물/종교신앙/불교/석등
시대 통일신라
수량/면적 1기
웹사이트 합천 청량사 석등,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석등의 네모난 지대석 위의 아랫돌인 하대석은 팔각이다. 각각의 면에 안상을 파고 그 속에 번갈아 사자상과 운상누각(雲上樓閣)을 돋을새김 해놓았다. 장구 모습을 닮아 고동형(鼓胴刑)이라 칭하는 간석(竿石) 즉, 중간돌은 아래위로 각각 복련과 앙련이 조각되어 있으며 중간에 솟아 나온 원형의 중심엔 띠를 두른 꽃을 부조해 놓았다. 화사석(火舍石)은 팔각으로 네면에는 구멍이 뚫린 화창(火窓)이 있고, 나머지 네면에는 사천왕상을 조각하였다. 지붕돌은 비교적 얇은 편이며 상륜은 소실되어 없다.

전체적으로 균형을 잃지않아 안정감을 보이고 있는 전형적인 통일신라시대 석등이다. 다만 고동형의 간주석, 비교적 평평한 지붕돌 그리고 조각이 얇은 점, 더욱이 장식적 경향이 강한 것으로 미루어 보아 제작시기는 9세기경으로 추정된다.


영문

영문 해설 내용

석등은 불전에 등불을 공양하기 위해 세우는 구조물이다.

삼층석탑과 나란히 놓여있는 이 석등은 9세기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바닥돌, 받침돌, 기둥돌, 화사석, 지붕돌로 구성되어 있으며, 머리장식은 거의 소실되었다.

아래 받침돌에는 사자상과 향로, 연꽃이 새겨져 있고, 기둥돌은 장구 형태를 하고 있다. 화사석은 네 면은 항을 내고 나머지 면에는 사천왕상을 새겼다.

2013년에 석탑과 석등의 위치를 서로 바꾸어 현재 형태로 배치하였다.

청량사는 창건연대가 확실하지 않으나 『삼국사기』에 최치원(857-?)이 즐겨 찾았던 곳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오랫동안 폐사되었던 것을 1811년 중수하였고, 이후 여러 차례 중건을 거쳐 지금에 이르고 있다.


참고 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