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합천 구평 윤씨 신도비

HeritageWiki
Maria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1년 2월 15일 (월) 17:56 판 (영문)

이동: 둘러보기, 검색


합천 구평 윤씨 신도비
Steles of the Papyeong Yun Clan, Hapcheon
작성자 申祺丞, 합천 가회면 구평, 申祺丞의 伸天之路, 다음 블로그.
대표명칭 합천 구평 윤씨 신도비
영문명칭 Steles of the Papyeong Yun Clan, Hapcheon
한자 陜川 龜坪 尹氏 神道碑
주소 경상남도 합천군 오리밭길 85-26 (가회면, 제각)
지정번호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320호
지정일 2002년 8월 14일
분류 기록유산/서각류/금석각류/비
시대 조선시대
수량/면적 2기(15.30㎡)
웹사이트 합천 구평 윤씨 신도비,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신도비는 2품 이상의 벼슬을 지낸 사람의 행적을 기록하여 무덤 앞이나 무덤으로 가는 길목에 세운 비석을 말한다. 이 신도비는 구산 윤탁(龜山 尹鐸, 1554~1593)과 추담 윤선(秋潭 尹銑, 1559~1639) 선생을 기리기 위해 1901년에 세운 것으로 2기가 나란히 서 있다.

구산 윤탁은 조선 선조 25년(1592)에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의병을 일으키고, 1593년에는 진주성에 들어가 왜적을 막다가 순절하였다. 추담 윤선은 임진왜란 기간 동안 세자(世子)의 막하에서 활동하였고, 광해군 때 의정부 우참찬을 지냈다.

두 비석은 내용만 다를 뿐 비의 재질과 모양 및 크기가 서로 같다. 아래에 거북받침돌을 하고, 그 위에 비몸[碑身]을 세운 뒤 머릿돌을 얹었다. 정면 바라보는 쪽에서 오른편이 구산 윤탁, 왼편에 있는 비석이 추담 윤선의 신도비이다.

이 신도비는 인조반정(仁祖反正)* 이후 남명학파가 와해되어 북인(北人)*이 거의 사라지고 없는 상황에서 조선 후기까지 북인임을 자처했던 집안에서 세운 비석이라는 점에서 그 역사적 의의가 있다.


  • 인조반정(仁祖反正) : 1623년 이귀, 김유 등 서인(西人) 일파가 정변을 일으켜 광해군을 폐위시키고 인조를 왕위에 앉힌 사건.
  • 북인(北人) : 조선 중기의 정파(政派).

영문

Steles of the Papyeong Yun Clan, Hapcheon

These steles record the life and achievements of Yun Tak (1554-1593) and Yun Seon (1559-1639), civil officials of the Joseon period. The two steles were erected by the descendants of the Papyeong Yun Clan. The stele of Yun Tak is on the right, and the stele of Yun Seon is on the left.*

Yun Tak passed the military state examination in 1585. With the outbreak of Japanese invasions in 1592, he mobilized a civilian army and fought the enemy. In 1593, he died in the battle of Jinjuseong Fortress. Yun Seon passed the state examination in 1588 and served various official posts. With the outbreak of the Japanese invasions in 1592, Yun escorted to refuge the then crown prince. When the crown prince later became King Gwanghaegun (r. 1608-1623), Yun was rewarded with various official posts.

Two steles are similar shape and size, and were made of the same material. Each stele consists of tortoise-shaped pedestal, a body stone made of sandstone, and a capstone shaped like a Korean-style tile-roof with decorated eaves.

The inscription on the stele of Yun Tak was composed by Yi Man-do (1842-1910), a scholar and independence activist, and the one on the stele of Yun Seon was composed by the civil official Heo Jeon (1797-1886). Both inscriptions were calligraphed by the scholar Ha In-su (1830-1904).

  • It would be interesting to mention their connection (cousins?).

영문 해설 내용

조선시대의 학자이자 무신인 윤탁(1554-1593)과 문신 윤선(1559-1639)의 생애와 업적을 기리기 위해 세운 신도비이다. 오른쪽이 윤탁의 비이고 왼쪽이 윤선의 비이며, 두 비 모두 파평윤씨 문중에서 1901년에 세웠다.

윤탁은 1585년 무과에 급제하였고, 임진왜란 때 의병을 일으켜 활약하다가 1593년 진주성 전투에서 전사하였다. 윤선은 1588년 문과에 급제하였고, 임진왜란 당시 세자였던 광해군(재위 1608-1623)을 수행했으며, 광해군이 왕위에 오른 후 여러 고위 관직을 역임하였다.

두 비석은 재질, 모양, 크기가 서로 같다. 거북 모양의 받침돌, 사암 재질의 몸돌, 지붕 모양의 머릿돌로 이루어져 있다. 윤탁의 비는 학자이자 독립운동가인 이만도(1842-1910)가 비문을 지었고, 윤선의 비는 문신 허전(1797-1886)이 비문을 지었다. 2기 모두 학자 하인수(1830-1904)가 글씨를 썼다.

참고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