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양 우명리 정씨고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2차 수정)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4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문화유산정보
 
|사진=함양우명리정씨고가.jpg
 
|사진=함양우명리정씨고가.jpg
 
|사진출처=[https://www.kogl.or.kr/recommend/recommendDivView.do?recommendIdx=764&division=img 함양 우명리 정씨고가], 공공누리
 
|사진출처=[https://www.kogl.or.kr/recommend/recommendDivView.do?recommendIdx=764&division=img 함양 우명리 정씨고가], 공공누리
|대표명칭=함양우명리정씨고가
+
|대표명칭=함양 우명리 정씨고가
|영문명칭=0
+
|영문명칭=House of the Jeong Family in Umyeong-ri, Hamyang
|한자=咸陽牛鳴里鄭氏古家
+
|한자=咸陽 牛鳴里 鄭氏古家
|주소=경남 함양군 수동면 효리길 6 (우명리)
+
|주소=경상남도 함양군 수동면 효리길 6 (우명리)
 
|소장처=
 
|소장처=
 
|지정번호=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121호
 
|지정번호=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121호
22번째 줄: 21번째 줄:
  
 
=='''해설문'''==
 
=='''해설문'''==
===기존 국문===
+
===국문===
이곳은 일두 정여창(一蠹 鄭汝昌)선생의 후손이 정착하여 살던 곳이다. 선생의 7대 손 희운(凞運)이 효리마을에 정착한 것은 조선 경종년간이며, 그 아들 조헌(祖獻)이 분가하여 현재 이 고택이 있는 곳에 처음 초가 4칸을 세웠다. 이후 희운의 4대 손 환식(煥植)이 1895년 무렵에 안채를 비롯한 여러 건물을 증축하여 지금에 이르게 되었다. 일두 선생은 성리학의 종사(宗師)로 받들어지는 조선전기 대표적인 명유이며, 희운가의 형제들도 영조대 정희량(鄭希亮)의 난에 종군하여 충절을 다함으로써 관직에 추증되기도 하였다. 건물은 안채, 사랑채, 대문채가 앞뒤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으며, 사랑채의 동편을 돌아 안채에 출입하게 되어 있다. 건물의 배치에는 전통적인 남녀의 생활상의 공간분화가 추구되고 있으며, 안마당과 바깥마당이 구분되고 안채의 부엌은 서편에 두어 밖으로 드러나지 않게 하였다.
+
우명리 정씨 고가는 조선 전기의 대표적인 유학자로 알려진 일두 정여창(一蠹 鄭汝昌)의 7대손 희운의 다섯째 아들이 분가하여 지은 집으로서, 1895년 무렵에 안채를 비롯한 여러 건물을 증축하여 지금에 이르고 있다.
  
대문채가 우뚝한 것에 비하여 사랑채의 규모는 작은 편이지만, 뒤편 가묘는 유교 전통에 충실했던 가풍을 잘 보여 주고 있다,
+
건물은 안채, 사랑채, 대문채가 앞뒤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건물을 배치할 때 남녀의 생활상에 따라 공간을 나누었는데, 안마당과 바깥마당이 구분되고 사랑채의 동편을 돌아서 안채에 출입하게 한 것이나 안채의 부엌은 서편에 두어 밖으로 드러나지 않게 한 것 등에서 이를 찾아볼 수 있다.
  
===수정 국문===
+
대문채가 우뚝한 것에 비해 사랑채의 규모는 작은 편이지만, 뒤편에 둔 사당은 유교 전통에 충실했던 가풍을 잘 보여주고 있다. 안채의 후면에는 별당인 세한정이 있는데, 정면 4칸에 측면 2칸의 홑처마이며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여덟 팔()자 모양인 팔작지붕이다.
====초고====
 
우명리(牛鳴里)는 정여창(鄭汝昌, 1450~1504)의 7대손 정희운(鄭凞運)이 경종 연간[1720~1724]에 입향한 후 후손들이 세거한 곳으로 본 가옥은 정희운이 정착한 이후 경종 3년(1723)에 정희운의 아들 정지헌(鄭志獻)이 분가하여 건립한 것이다. 정환식(鄭煥植)이 1895년 안채, 바깥사랑채, 안사랑채, 사당 등을 증축하였다. 사당은 안채의 동쪽 담장 밖에 있으며 안채는 담과 기타 건물들에 둘러싸여 내외가 분명한 조선시대의 가옥 형태를 나타낸다.
 
  
영조 4년(1728) 이인좌(李麟佐, ?~1728)가 난을 일으키자 정희량(鄭希亮, ?~1728)이 합세하였는데 정희운의 아들 중헌(重獻), 사헌(師獻), 상헌(相獻)과 재종간 일가 9명 등이 이 반란을 진압하는 데 공을 세워 관직에 추증되었다. 이들의 충절을 기리고자 세운 구충각(九忠閣)이 도로변에 세워져 있다.
+
===영문===
 +
'''House of the Jeong Family in Umyeong-ri, Hamyang'''
  
====1차 수정====
+
This house was built in the 18th century by Jeong Ji-heon, an 8th-generation descendant of the renowned scholar Jeong Yeo-chang (1450-1504) and was expanded in 1895. Hyori Village, where the house is located, has been home to the Jeong family ever since Jeong Ji-heon’s father Jeong Hui-un settled here in the 1720s.
이 집은 조선시대의 대학자인 정여창(鄭汝昌, 1450~1504)의 8세손 정지헌(鄭志獻)이 처음 건립하였다. 이 집이 위치한 우명리 효리마을은 정지헌의 아버지인 정희운(鄭凞運)이 경종(재위 1720~1724) 때에 입향한 후 그 후손들이 대대로 살았다.  
 
  
정지헌은 본래 초가집을 지었으나, 이후 후손인 정환식(鄭煥植)이 1895년 안채, 바깥사랑채, 안사랑채, 사당 등을 증축하여 지금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안채는 담장과 다른 건물들에 둘러싸여 있고 사당은 안채 오른쪽에 별도의 담장으로 둘러싸여 있어, 남성과 여성의 공간을 구분하고 생활공간과 제향공간을 분리한 조선시대 가옥의 특징을 잘 보여준다.  
+
The house’s buildings are oriented around its outer and inner courtyards. The outer courtyard features the main gate quarters and the men’s quarters. The inner courtyard features the women’s quarters, a storehouse, and an auxiliary quarters. This inner courtyard area is accessed via a passageway at the right of the men’s quarters. This layout blocks the view of the women’s quarters from outsiders in accordance with the Confucian principle of separation of the sexes. The complex also features a family shrine, located inside an enclosure wall to the right of the women’s quarters, and a detached quarters, located behind the house near the woods.
  
집에서 북쪽으로 약 2.5km 떨어진 곳에는 정희운을 비롯한 하동정씨 일가 아홉 사람의 정려를 모신 구충각(九忠閣)이 있다. 영조 4년(1728) 이인좌(李麟佐, ?~1728)가 청주에서 난을 일으키자, 함양 지역에서는 정희량(鄭希亮, ?~1728)이 병사를 일으켜 이인좌에 합세하였다. 이때 정희운의 아들 중헌(重獻), 사헌(師獻), 상헌(相獻)과 육촌 형제 등이 반란을 진압하는 데 공을 세워 관직에 추증되었으며, 나라에서 정려를 내렸다.  
+
===영문 해설 내용===
 +
집은 대학자인 정여창(1450-1504)의 8대손 정지헌이 18세기에 건립하였고, 1895년에 여러 건물을 증축하였다. 이 집이 위치한 효리마을은 정지헌의 아버지인 정희운이 1720년대에 입향한 후 그 후손들이 대대로 산 곳이다.
  
====자문의견====
+
집의 건물들은 안마당과 바깥마당을 향해 배치되어 있다. 바깥마당에는 대문채와 사랑채가 있고, 안마당에는 안채, 곳간채와 별당이 있다. 안마당은 사랑채의 오른쪽으로 돌아서 출입하게 하였으며, 안채는 밖으로 드러나지 않게 하였다. 이는 남성과 여성의 공간을 구분하는 조선시대 가옥의 특징을 잘 보여준다. 사당은 안채 오른쪽에 별도의 담장으로 구분하였고, 별당은 집 뒤편에 있다.
# 분야별 자문위원 1
 
#*집은 조선시대의 대학자인 정여창(鄭汝昌, 1450~1504)의 '''8대손''' 정지헌(鄭志獻)이 처음 건립하였다.
 
# 분야별 자문위원 2
 
#*
 
# 읽기 쉬운 문안 자문위원
 
#*''이 곳 효리 마을은 성리학의 종사(宗師)로 받들어지는 조선전기 대학자인 일두 정여창(一蠹 鄭汝昌, 1450~1504)의 7대손 희운(凞運)이 경종(재위 1720~1724) 때에 입향한 후 그 후손들이 대대로 산 곳이다. 그 아들 8세손 정지헌(鄭志獻)이 분가하며 처음에는 초가집을 지었으나, 이후 그의 3대손인 환식(煥植)이 1895년에 증축하여 지금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br/> 안채는 담장과 다른 건물들에 둘러싸여 있고 사당은 안채 오른쪽에 별도의 담장으로 둘러싸여 있어, 남성과 여성의 공간을 구분하고 생활공간과 제향공간을 분리한 조선시대 가옥의 특징을 잘 보여준다.<br/> 건물은 안채, 사랑채, 대문채가 앞뒤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으며, 사랑채의 동편을 돌아 담장과 다른 건물들에 둘러싸인 안채에 출입하게 되어 있다. 건물의 배치에는 남녀의 생활상의 공간이 나눠져 있으며, 안마당과 바깥마당이 구분되고 안채의 부엌은 서편에 두어 밖으로 드러나지 않게 하는 등 생활공간과 뒤편 가묘 등의 제향공간을 분리하였다. 대문채가 우뚝한 것에 비하여 사랑채의 규모는 작은 편이지만, 조선시대 양반 가옥의 특징을 잘 보여준다.<br/> 이 집에서 북쪽으로 약 2.5km 떨어진 곳에는 정희운을 비롯한 하동정씨 일가 아홉 사람의 정려를 모신 구충각(九忠閣)이 있다. 영조 4년(1728) 이인좌(李麟佐, ?~1728)가 청주에서 난을 일으키자, 함양 지역에서는 정희량(鄭希亮, ?~1728)이 병사를 일으켜 이인좌에 합세하였다. 이때 정희운의 아들 중헌(重獻), 사헌(師獻), 상헌(相獻)과 육촌 형제 등이 이 반란을 진압하는 데 공을 세워 관직에 추증되었다.''
 
 
 
====2차 수정====
 
우명리 정씨고가는 조선시대의 대학자인 일두 정여창(一蠹 鄭汝昌, 1450~1504)의 8대손 정지헌(鄭志獻)이 처음 건립하였다. 이 집이 위치한 효리마을은 정지헌의 아버지인 정희운(鄭凞運)이 경종(재위 1720~1724) 때에 입향한 후 그 후손들이 대대로 산 곳이다.
 
 
 
정지헌은 본래 초가집을 지었으나, 이후 그의 3대손인 정환식(鄭煥植)이 1895년에 증축하여 지금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앞쪽에서부터 대문채, 사랑채, 안채가 배치되어 있으며, 안채와 사랑채 사이 안마당의 양옆에는 아래채와 곳간채가 있다. 안채는 담장과 다른 건물들에 둘러싸여 있고 사당은 안채 오른쪽에 별도의 담장으로 둘러싸여 있어, 남성과 여성의 공간을 구분하고 생활공간과 제향공간을 분리한 조선시대 가옥의 특징을 잘 보여준다.
 
 
 
이 집에서 북쪽으로 약 2.5km 떨어진 곳에는 정희운을 비롯한 하동정씨 일가 아홉 사람의 정려를 모신 구충각(九忠閣)이 있다. 영조 4년(1728) 이인좌(李麟佐, ?~1728)가 청주에서 난을 일으키자, 함양 지역에서는 정희량(鄭希亮, ?~1728)이 병사를 일으켜 이인좌에 합세하였다. 이때 정희운의 아들 중헌(重獻), 사헌(師獻), 상헌(相獻)과 육촌 형제 등이 이 반란을 진압하는 데 공을 세워 관직에 추증되었으며, 나라에서 정려를 내렸다.
 
  
 
=='''문맥요소'''==
 
=='''문맥요소'''==
70번째 줄: 55번째 줄:
 
[[분류:문화유산해설문]]
 
[[분류:문화유산해설문]]
 
[[분류:함양군 문화유산]]
 
[[분류:함양군 문화유산]]
[[분류:주거건축]]
+
[[분류:문화재자료]]
 
[[분류:가옥]]
 
[[분류:가옥]]
[[분류:하동정씨]]
 
 
[[분류:2021 국문집필]]
 
[[분류:2021 국문집필]]
 
[[분류:2021 국문초안지원사업]]
 
[[분류:2021 국문초안지원사업]]
 +
[[분류:2021 영문집필]]

2021년 7월 12일 (월) 16:02 기준 최신판

함양 우명리 정씨고가
House of the Jeong Family in Umyeong-ri, Hamyang
대표명칭 함양 우명리 정씨고가
영문명칭 House of the Jeong Family in Umyeong-ri, Hamyang
한자 咸陽 牛鳴里 鄭氏古家
주소 경상남도 함양군 수동면 효리길 6 (우명리)
지정번호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121호
지정일 1985년 1월 23일
분류 유적건조물/주거생활/주거건축/가옥
수량/면적 6동
웹사이트 함양 우명리 정씨고가,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우명리 정씨 고가는 조선 전기의 대표적인 유학자로 알려진 일두 정여창(一蠹 鄭汝昌)의 7대손 희운의 다섯째 아들이 분가하여 지은 집으로서, 1895년 무렵에 안채를 비롯한 여러 건물을 증축하여 지금에 이르고 있다.

건물은 안채, 사랑채, 대문채가 앞뒤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건물을 배치할 때 남녀의 생활상에 따라 공간을 나누었는데, 안마당과 바깥마당이 구분되고 사랑채의 동편을 돌아서 안채에 출입하게 한 것이나 안채의 부엌은 서편에 두어 밖으로 드러나지 않게 한 것 등에서 이를 찾아볼 수 있다.

대문채가 우뚝한 것에 비해 사랑채의 규모는 작은 편이지만, 뒤편에 둔 사당은 유교 전통에 충실했던 가풍을 잘 보여주고 있다. 안채의 후면에는 별당인 세한정이 있는데, 정면 4칸에 측면 2칸의 홑처마이며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여덟 팔(八)자 모양인 팔작지붕이다.

영문

House of the Jeong Family in Umyeong-ri, Hamyang

This house was built in the 18th century by Jeong Ji-heon, an 8th-generation descendant of the renowned scholar Jeong Yeo-chang (1450-1504) and was expanded in 1895. Hyori Village, where the house is located, has been home to the Jeong family ever since Jeong Ji-heon’s father Jeong Hui-un settled here in the 1720s.

The house’s buildings are oriented around its outer and inner courtyards. The outer courtyard features the main gate quarters and the men’s quarters. The inner courtyard features the women’s quarters, a storehouse, and an auxiliary quarters. This inner courtyard area is accessed via a passageway at the right of the men’s quarters. This layout blocks the view of the women’s quarters from outsiders in accordance with the Confucian principle of separation of the sexes. The complex also features a family shrine, located inside an enclosure wall to the right of the women’s quarters, and a detached quarters, located behind the house near the woods.

영문 해설 내용

이 집은 대학자인 정여창(1450-1504)의 8대손 정지헌이 18세기에 건립하였고, 1895년에 여러 건물을 증축하였다. 이 집이 위치한 효리마을은 정지헌의 아버지인 정희운이 1720년대에 입향한 후 그 후손들이 대대로 산 곳이다.

이 집의 건물들은 안마당과 바깥마당을 향해 배치되어 있다. 바깥마당에는 대문채와 사랑채가 있고, 안마당에는 안채, 곳간채와 별당이 있다. 안마당은 사랑채의 오른쪽으로 돌아서 출입하게 하였으며, 안채는 밖으로 드러나지 않게 하였다. 이는 남성과 여성의 공간을 구분하는 조선시대 가옥의 특징을 잘 보여준다. 사당은 안채 오른쪽에 별도의 담장으로 구분하였고, 별당은 집 뒤편에 있다.

문맥요소

Nodes

Links

참고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