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함안 주세붕 묘역"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영문)
32번째 줄: 32번째 줄:
  
 
===영문===
 
===영문===
'''Tombs of Ju Se-bung and his family'''
+
'''Tombs of Ju Se-bung and His Family, Haman'''
  
 
These tombs belong to the family of Ju Se-bung (1495-1554), a civil official and scholar of the early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1392-1910).
 
These tombs belong to the family of Ju Se-bung (1495-1554), a civil official and scholar of the early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1392-1910).
  
Born in Haman, Ju Se-bung passed the state examination in 1522 and served various official posts. In 1543, he became the magistrate of Punggi and established Baegundongseowon Confucian Academy, the pioneer Confucian academy in Korea. He was well known for his academic achievements and Confucian education for ordinary people.
+
Born in Haman, Ju Se-bung passed the state examination in 1522 and served various official posts. In 1543, he became the magistrate of Punggi and established Baegundongseowon Confucian Academy, the first private Confucian academy in Korea. He was well known for his academic achievements and for educating ordinary people about Confucianism.
  
The square-shaped tomb at the top is for the parents of Ju Se-bung. The tomb mound is surrounded by stone walls that bear an inscription of the family tree.  
+
The rectangular tomb mound at the top of the slope is for the parents of Ju Se-bung. The base is surrounded by stones that bear an inscription of the family's genealogical records.  
  
The round tomb in the middle is for Ju Se-bung. There is a tombstone, a stone table, a stone incense table, and a stone pillar. The square stone pillar bears an inscription quoted from the ''Book of Odes'' that highlights his filial piety.  
+
The round tomb in the middle is for Ju Se-bung. There is a tombstone, a stone table, a stone incense table, and a stone pillar. The stone pillar bears a quote from the ''Book of Odes'' that highlights his filial piety.  
  
 
The round tomb in the front is for Ju Jo, a nephew of Ju Se-bung.
 
The round tomb in the front is for Ju Jo, a nephew of Ju Se-bung.

2019년 11월 27일 (수) 10:18 판


주세붕 묘역
함안 주세붕 묘역,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주세붕 묘역
한자 周世鵬 墓域
주소 경상남도 함안군 칠서면 계내리 576
지정번호 시도기념물 제33호
지정일 1976년 4월 15일
분류 유적건조물/무덤/무덤/기타
시대 조선시대
수량/면적 3대묘역
웹사이트 함안 주세붕 묘역,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주세붕 묘역은 선생의 부모, 선생, 큰조카 등 3대의 무덤으로 이루어져 있다. 주세붕은 함안군 칠서 출신으로 자는 경유(景游)이고, 호는 신재(愼齋)이다. 죽은 뒤에 예조판서 벼슬이 내려지고, 문민(文敏)이란 시호가 주어졌다.

그는 어려서부터 효성과 학문으로 이름났다. 중종 17년(1522)에 문과에 급제하여 여러 벼슬을 거쳤다. 1543년에는 우리나라 최초의 서원인 백운동서원(白雲洞書院)을 건립하여 성리학을 도입했던 안향(安珦, 1243~1306)을 제사 지내고, 유학 교육에 힘썼다.

묘역 위쪽 네모난 무덤은 아버지 주문보(周文俌)와 어머니 창원 황씨를 함께 모신 곳이다. 무덤 주위에는 잘 다듬어진 둘레돌과 상석(床石)이 갖추어져 있고, 둘레돌의 표면에는 가계 현황이 기록되어 있다. 가운데의 둥근 무덤은 주세붕의 것으로 앞에는 묘비와 상석이, 옆에는 비석과 망주가 잘 갖추어져 있다. 사각의 망주에는 ‘누구인들 부모가 없으며[수무부모(誰無父母)]’, ‘누구인들 사람의 자식이 아니겠는가[숙비인자(孰非人子)]’라는 󰡔시경󰡕의 글귀가 새겨져 있어 그의 효성을 잘 보여준다. 아래의 둥근 무덤은 큰조카 주조(周造)의 것이다.

묘역은 조선 중기 영남 지역 양반들의 묘제 문화를 연구하는데 자료적 가치가 높다.

영문

Tombs of Ju Se-bung and His Family, Haman

These tombs belong to the family of Ju Se-bung (1495-1554), a civil official and scholar of the early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1392-1910).

Born in Haman, Ju Se-bung passed the state examination in 1522 and served various official posts. In 1543, he became the magistrate of Punggi and established Baegundongseowon Confucian Academy, the first private Confucian academy in Korea. He was well known for his academic achievements and for educating ordinary people about Confucianism.

The rectangular tomb mound at the top of the slope is for the parents of Ju Se-bung. The base is surrounded by stones that bear an inscription of the family's genealogical records.

The round tomb in the middle is for Ju Se-bung. There is a tombstone, a stone table, a stone incense table, and a stone pillar. The stone pillar bears a quote from the Book of Odes that highlights his filial piety.

The round tomb in the front is for Ju Jo, a nephew of Ju Se-bung.

영문 해설 내용

조선 전기의 문신이자 학자인 주세붕과 부모, 큰조카 등 3대의 무덤이다.

주세붕(1495~1554)은 함안군 출신으로 1522년에 과거에 급제하여 여러 벼슬을 거쳤다. 1543년에는 풍기군수로 재임하면서 1543년 우리나라 최초의 서원인 백운동서원을 세웠다. 또한 산삼공출에 시달리는 군민을 위해 최초로 인삼을 재배하는 등 백성을 사랑하는 마음이 깊었다. 홍문관·성균관 등 학문기관에서 관직을 맡았고, 지방관으로 나아가서는 유학 진흥을 통한 백성 교화에 힘썼다.

묘역 위쪽 네모난 무덤은 아버지 주문보와 어머니 창원 황씨를 함께 모신 곳이다. 무덤 주위에는 상석이 있고, 둘레돌의 표면에는 가계 현황이 기록되어 있다.

가운데의 둥근 무덤은 주세붕의 묘로 앞에는 묘비와 상석, 향로석, 망주가 있다. 사각의 망주에는 ‘누구인들 부모가 없으며’, ‘누구인들 사람의 자식이 아니겠는가’라는 󰡔시경󰡕의 글귀가 새겨져 있어 그의 효성을 잘 보여준다.

아래의 둥근 무덤은 큰조카 주조의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