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팽성읍객사

HeritageWiki
Ssrssa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9년 7월 5일 (금) 23:19 판

이동: 둘러보기, 검색


팽성읍객사
"경기도지정 유형문화재", 평택시史, 평택시.
대표명칭 팽성읍객사
한자 彭城邑客舍
주소 경기도 평택시 팽성읍 동서촌로 101-3
지정번호 시도유형문화재 제137호
지정일 1989년 6월 1일
분류 유적건조물/정치국방/궁궐·관아/관아
시대 조선시대
수량/면적 일곽
웹사이트 "팽성읍객사",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팽성읍객사는 왕을 상징하는 전패(殿牌)를 모시고 관리들이 한달에 두번 궁궐을 바라보며 행하는 예(절)을 하던 곳이며, 다른 지방에서 온 관리들이 머물던 숙소로 사용되었다.

조선 성종 19년(1488)에 크게 지었으며, 그 후로 2번의 수리를 거쳤다. 일제시대에는 양조장으로 바뀌었다가 주택으로 사용되었는데, 1994년 해체·수리하면서 옛 모습을 되찾게 되었다. 현재는 대문간채와 본채가 남아 있으며, 규모가 그리 크지 않지만, 조선 후기의 전형적인 객사의 모습을 잘 간직하고 있다.



  • 전패(殿牌) : 조선시대 지방관청의 객사(客舍)에 왕의 초상을 대신하여 봉안하던 목패(木牌).


영문

영문 해설 내용

객사는 각 고을에 설치했던 관아로, 고을 수령이 망궐례를 행하거나 관리나 사신이 숙소로 사용했던 시설이다.

팽성읍객사는 조선시대 팽성현의 객사이다. 망궐례가 행해지는 건물인 정청을 중심으로 숙소로 사용되는 동헌과 서헌이 양 옆에 있다. 정청은 동헌과 서헌보다 높게 지어졌으며 지붕 위 용마루의 양 끝에는 용 모양의 장식 기와가 올려져 있다. 이와 같은 기와는 맞은 편 대문의 지붕 용마루에도 놓여져 있는데, 이는 관아로서의 위엄을 나타냈다.

이 객사는 성종 19년(1488)에 지어졌으며, 그 후로 2번의 수리를 거쳤다. 일제강점기에는 양조장으로 바뀌었다가 주택으로 사용되었으며, 1994년 복원되었다.

  • 망궐례: 직접 궁궐에 나아가서 왕을 뵙지 못할 때 멀리서 궁궐을 바라보고 행하는 예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