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충주 미륵대원지 석조보살의좌상

HeritageWiki
이슬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0년 10월 26일 (월) 18:10 판 (새 문서: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사진=충주미륵대원지석조보살의좌상.jpg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3413300470000...)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충주 미륵대원지 석조보살의좌상
0
충주 미륵대원지 석조보살의좌상,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충주 미륵대원지 석조보살의좌상
영문명칭 0
한자 忠州 彌勒大院址 石造菩薩倚坐像
주소 충청북도 충주시 수안보면 미륵리 55
지정번호 충청북도 문화재자료 제47호
지정일 2005년 5월 6일
분류 유물/불교조각/석조/보살상
시대 고려시대
수량/면적 1
웹사이트 충주 미륵대원지 석조보살의좌상,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현재 미륵대원지 석굴 앞에 놓여 있지만 원래는 석굴 벽면을 장식했던 부조상(浮彫像)이었을 가능성이 크다. 높이 95cm 정도의 보살상은 탁자모양의 평상에 앉아 있다.

전체적으로 훼손이 심하여 신체의 모습을 알아보기 어렵다. 얼굴은 갸름하며 머리에는 보관*을 썼는데 관장식이 어깨까지 흘러내렸다. 법의(法衣)는 우견편단*으로 보이나 마모가 심하여 정확한 형태는 알 수 없다. 양팔은 밖으로 벌리고 있으며 오른손은 배 앞에 대고, 왼손은 어깨까지 들어 올려 옷자락을 잡고 있는 듯이 보인다. 왼다리는 아래로 내리고 오른발은 왼다리 뒤에 대고 있다. 탁자 아래에 연꽃이 피어 올라 오른 무릎과 왼발을 받치고 있는 모습이다.

이러한 형태의 의좌상(倚坐像)은 전국적으로 흔치 않으며 절터에서‘彌勒(미륵)’이 새겨진 기와가 출토된 점으로 볼 때 미륵보살로 추정된다.


*보관(寶冠) : 보배로운 관 *우견편단(右肩偏袒) : 오른쪽 어깨를 드러낸 채, 법의(法衣)를 왼쪽 어깨 에서 오른쪽 겨드랑이로 걸치는 방식.

영문

영문 해설 내용

이 불상은 고려 전기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지금은 미륵리 석조여래입상(보물 제96호)의 오른쪽에 놓여 있지만, 원래는 석굴의 벽면을 장식했던 것으로 보인다.

불상은 왼발을 아래로 내리고, 오른발을 왼쪽 종아리 뒤에 댄 자세로 앉아 있다. 머리에는 보관을 쓴 것으로 보이며 목에 수행의 단계를 상징하는 삼도가 표현되었다.

불상이 자리한 미륵대원지는 고려초기에 조성된 석굴사원이 있었던 곳으로, 이곳에 있었던 사찰은 미륵불을 모시며 원(院)을 겸하던 대규모 가람으로 추정되고 있다.

1977년부터 1991년 사이에 5차례의 발굴조사가 이루어진 결과 ‘대원사’라는 사찰명을 비롯해 ‘미륵’이라는 명문이 새겨진 기와 조각들이 다수 출토되었고 1192년(명종 22)에 중수되었던 사실 등이 확인되었다.

  • 사찰터 설명 - 충주 미륵리 석조여래입상 동일하게 작성.

참고 자료

  • 2018 한국의 사지 현황조사 보고서, 문화재청 -> 충주 미륵대원지 석조보살의좌상은 충청북도 문화재자료 제47호로 지정되었고, 높이 95㎝, 어깨 너비 27㎝이다. 머리에는 보관을 쓴 것으로 보이며 관식은 어깨까지 내려온다. 목에는 삼도가 표현되었으며, 왼손은 법의자락을 잡고 있고, 오른손은 배 부분에 있다. 왼발은 수직으로 내렸으며 오른발은 왼발 종아리 뒤쪽에 대고 있다. 제작시기는 고려시대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