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녕 교동과 송현동 고분군 - 송현동 I지구 6, 7호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영문)
 
(다른 사용자 한 명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27번째 줄: 27번째 줄:
 
These two tombs in Songhyeon-dong Zone I are located at the very center of the Gyo-dong and Songhyeon-dong ancient tomb complex and together form the largest gourd-shaped burial mound on the site. Both tombs are stone chamber tombs with a horizontal entrance built at the turn of the 6th and 7th centuries. Part of the burial mound of Tomb No. 6 was removed to construct Tomb No. 7. Gourd-shaped tombs like this one are typical of the Silla kingdom (57 BCE-935 CE).
 
These two tombs in Songhyeon-dong Zone I are located at the very center of the Gyo-dong and Songhyeon-dong ancient tomb complex and together form the largest gourd-shaped burial mound on the site. Both tombs are stone chamber tombs with a horizontal entrance built at the turn of the 6th and 7th centuries. Part of the burial mound of Tomb No. 6 was removed to construct Tomb No. 7. Gourd-shaped tombs like this one are typical of the Silla kingdom (57 BCE-935 CE).
  
The two tombs were excavated between 2004 and 2006. Each burial mound* measures 20 by 22 m in diameter and features a stone chamber which measures 8.4 to 8.5 m in length, 1.6 to 1.8 m in width, and 2.6 m in depth. Each chamber was covered with eight to nine capstones, had an entrance on the narrow northern wall**, and was lined at the bottom with wooden planks of which traces remain.
+
The two tombs were excavated between 2004 and 2006. Each burial mound measures 20-22 m in diameter and features a stone chamber which measures 8.4-8.5 m in length, 1.6-1.8 m in width, and 2.6 m in depth. Each chamber was covered with eight to nine capstones, had an entrance on the narrow northern wall, and was lined at the bottom with wooden planks of which traces remain.
  
The walls of the stone chamber in Tomb No. 6 were covered entirely with red and dark brown plaster. In Tomb No. 7, a coffin made of Japanese camphor tree was found, proving there was active exchange between Bihwa Gaya and Japan. Accessories found in the tombs*** are similar to the ones discovered in Silla tombs, such as Hwangnamdaechong or Cheonmachong in Gyeongju, which makes these tombs valuable in the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exchange between Bihwa Gaya and Silla.
+
The walls of the stone chamber in Tomb No. 6 were covered entirely with red and dark brown plaster. In Tomb No. 7, a coffin made of Japanese camphor tree was found, proving there was active exchange between Bihwa Gaya and Japan. Accessories found in the tombs are similar to the ones discovered in Silla tombs, such as Hwangnamdaechong and Cheonmachong in Gyeongju, which makes these tombs valuable in the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exchange between Bihwa Gaya and Silla.
 
 
 
 
*each mound of the two? or the whole thing?
 
** there was an entrance at first, and then they blocked it, right? the wall can’t be “used as an entrance”, can it? (unless you’re a spirit)
 
*** both 6 and 7 or just 7?
 
  
 
===영문 해설 내용===
 
===영문 해설 내용===
송현동 I지구 6, 7호분은 교동과 송현동 고분군에서 가장 중심에 위치하고 있으며, 가장 규모가 큰 표형분이다. 5세기 후반에서 6세기 초반에 만들어진 앞트기식 돌방무덤이며, 6호분의 봉분을 일부 파서 7호분을 만들었다. 이와 같이 2개의 봉분을 이어 붙인 표형분은 신라에서 주로 만들어진 무덤의 형태이다.
+
송현동 I지구 6, 7호분은 교동과 송현동 고분군에서 가장 중심에 위치하고 있으며, 가장 규모가 큰 표형분이다. 5세기 후반에서 6세기 초반에 만들어진 앞트기식 돌방무덤이며, 6호분의 봉분을 일부 파서 7호분을 만들었다. 이와 같은 표형분은 신라에서 주로 만들어진 무덤의 형태이다.
 
 
두 무덤은 2004년~2006년에 발굴 조사되었다. 봉분은 직경 20~22m이며, 돌방은 길이 8.4~8.5m, 너비 1.6~1.8m, 깊이 2.6m 정도이다. 뚜껑돌은 8~9매가 사용되었고 돌방의 북쪽 짧은 벽을 입구로 사용하였으며 바닥에는 각목을 이용한 흔적이 공통적으로 확인된다.
 
  
6호분은 돌방 벽면 전체에 붉은색과 짙은 갈색의 안료를 발랐다. 7호분에서는 일본산 녹나무로 만든 관이 출토되어, 비화가야와 일본의 교류가 있었음을 보여준다. 또한 경주 황남대총이나 천마총 등 신라 고분에서 출토된 것과 유사한 장신구류가 발견되어, 비화가야와 신라의 교류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무덤이다.  
+
두 무덤은 2004년~2006년에 발굴 조사되었다. 봉분은 직경 20~22m이며, 돌방은 길이 8.4~8.5m, 너비 1.6~1.8m, 깊이 2.6m 정도이다. 뚜껑돌은 8~9매가 사용되었고 돌방의 북쪽 짧은 벽에 입구를 만들었으며 바닥에는 각목을 이용한 흔적이 공통적으로 확인된다.
  
 +
6호분은 돌방 벽면 전체에 붉은색과 짙은 갈색의 안료를 발랐다. 7호분에서는 일본산 녹나무로 만든 관이 출토되어, 비화가야와 일본의 교류가 있었음을 보여준다. 또한 경주 황남대총이나 천마총 등 신라 고분에서 출토된 것과 유사한 장신구류가 발견되어, 비화가야와 신라의 교류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무덤이다.
  
  

2020년 11월 25일 (수) 15:20 기준 최신판

창녕 교동과 송현동 고분군 - 송현동 I지구 6, 7호분
Goto.png 종합안내판: 창녕 교동과 송현동 고분군



해설문

국문

송현동 I지구 6・7호분은 교동과 송현동 무덤들 중에 가장 규모가 크고 중심이 되는 곳에 있는 표형분(瓢形墳)*이다. 2004년~2006년 발굴 조사되었다. 6호분의 봉분을 일부 파서 7호분을 만들었는데, 2기의 봉분을 이어 붙인 표형분은 신라에서 주로 만들어지는 무덤의 형태이다.

송현동 I지구 6・7호분은 앞트기식돌방무덤(橫口式石室墓)**으로 5세기 후반~6세기 초반에 만들어졌다. 봉분은 직경 20~22m이며, 돌방은 길이 8.4~8.5m, 너비 1.6~1.8m, 깊이 2.6m 정도이다. 뚜껑돌은 8~9매가 사용되었고 돌방의 북쪽 짧은 벽을 입구로 사용하였으며 바닥에는 각목을 이용한 시설이 공통적으로 확인된다.

6호분은 돌방 벽면 전체에 붉은색과 짙은 갈색의 안료를 발랐고 7호분에는 나무배의 아래 판을 재활용한 일본산 녹나무 관이 출토되었다. 출토된 장신구류는 경주 황남대총이나 천마총 등 신라 고분의 출토품과 유사하고, 표형분의 형태도 신라와 유사하여 비화가야와 신라의 교류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무덤이다. 말띠꾸미개(雲珠)와 녹나무 관은 비화가야와 일본의 교류를 보여주는 중요한 유물이다.


  • 두 개의 봉분이 표주박처럼 서로 이어 붙어 있는 무덤 양식.
  • 돌로 세 벽을 쌓고 천장돌을 덮어 무덤방을 만든 다음, 한쪽으로 시신을 넣고 무덤 입구를 막아 추가 합장이 가능하도록 만든 무덤 양식.

영문

Ancient Tombs in Gyo-dong and Songhyeon-dong - Songhyeon-dong Zone I - Tombs No. 6 and 7

These two tombs in Songhyeon-dong Zone I are located at the very center of the Gyo-dong and Songhyeon-dong ancient tomb complex and together form the largest gourd-shaped burial mound on the site. Both tombs are stone chamber tombs with a horizontal entrance built at the turn of the 6th and 7th centuries. Part of the burial mound of Tomb No. 6 was removed to construct Tomb No. 7. Gourd-shaped tombs like this one are typical of the Silla kingdom (57 BCE-935 CE).

The two tombs were excavated between 2004 and 2006. Each burial mound measures 20-22 m in diameter and features a stone chamber which measures 8.4-8.5 m in length, 1.6-1.8 m in width, and 2.6 m in depth. Each chamber was covered with eight to nine capstones, had an entrance on the narrow northern wall, and was lined at the bottom with wooden planks of which traces remain.

The walls of the stone chamber in Tomb No. 6 were covered entirely with red and dark brown plaster. In Tomb No. 7, a coffin made of Japanese camphor tree was found, proving there was active exchange between Bihwa Gaya and Japan. Accessories found in the tombs are similar to the ones discovered in Silla tombs, such as Hwangnamdaechong and Cheonmachong in Gyeongju, which makes these tombs valuable in the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exchange between Bihwa Gaya and Silla.

영문 해설 내용

송현동 I지구 6, 7호분은 교동과 송현동 고분군에서 가장 중심에 위치하고 있으며, 가장 규모가 큰 표형분이다. 5세기 후반에서 6세기 초반에 만들어진 앞트기식 돌방무덤이며, 6호분의 봉분을 일부 파서 7호분을 만들었다. 이와 같은 표형분은 신라에서 주로 만들어진 무덤의 형태이다.

두 무덤은 2004년~2006년에 발굴 조사되었다. 봉분은 직경 20~22m이며, 돌방은 길이 8.4~8.5m, 너비 1.6~1.8m, 깊이 2.6m 정도이다. 뚜껑돌은 8~9매가 사용되었고 돌방의 북쪽 짧은 벽에 입구를 만들었으며 바닥에는 각목을 이용한 흔적이 공통적으로 확인된다.

6호분은 돌방 벽면 전체에 붉은색과 짙은 갈색의 안료를 발랐다. 7호분에서는 일본산 녹나무로 만든 관이 출토되어, 비화가야와 일본의 교류가 있었음을 보여준다. 또한 경주 황남대총이나 천마총 등 신라 고분에서 출토된 것과 유사한 장신구류가 발견되어, 비화가야와 신라의 교류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무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