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녕 교동과 송현동 고분군 - 교동 I지구

HeritageWiki
강혜원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0년 11월 25일 (수) 15:40 판 (참고자료)

이동: 둘러보기, 검색
창녕 교동과 송현동 고분군 - 교동 I지구
Goto.png 종합안내판: 창녕 교동과 송현동 고분군



해설문

국문

창녕 교동과 송현동 고분군은 화왕산에서 이어지는 구릉의 경사면과 서쪽으로 뻗은 가지능선, 계곡부를 경계로 크게 4개의 지구로 나누어진다. 그동안 발굴 조사된 무덤 명칭을 고려하여 각 지구의 이름은 ‘교동 지구’와 ‘송현동 지구’로 구분하는데 각각 교동 I·II지구, 송현동 I·II지구라고 부른다.

교동 I지구는 고분군의 서쪽에 뻗어 있는 구릉 꼭대기의 대형 무덤을 중심으로 그 무덤을 둘러싸고 있는 중소형 무덤과 이곳에서 남서쪽으로 이어지는 가지능선을 따라 흩어져 있는 소형 무덤을 포함한다. 이곳에서 봉분이 남아 있는 무덤은 22기, 봉분이 남아 있지 않은 무덤은 60여 기 이상 확인된다.

현재 교동 I지구에는 7호분을 중심으로 14기의 봉분이 정비·복원되어 있다. 7호분은 교동과 송현동 고분군 내에서 가장 큰 무덤이며, 그보다 작은 대·중‧소형 무덤이 주위를 둘러싼 형태로 밀집되어 있다. 7호분을 중심으로 5~11호분이 둘러싸고 있고, 11호분의 남동쪽 능선 아래로는 12~14호분이 일렬로 배치되어 있다. 7호분에서 다시 북쪽으로 뻗은 능선에도 1~4호분이 일렬로 자리하고 있다.

교동 I지구의 중심에 자리잡고 있는 7호분은 무덤 규모와 흙을 쌓아 올린 방식 면에서 교동과 송현동 고분군을 대표하는 무덤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런가 하면 12호분은 신라의 전형적인 무덤 형식인 돌무지덧널무덤(積石木槨墓)*으로 비화가야와 신라의 교류관계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무덤으로 평가된다.


  • 지상이나 지하에 시신과 껴묻거리 등을 넣은 나무덧널을 짜 놓고 그 위에 돌무지를 쌓은 다음 흙으로 봉분을 세운 무덤 양식.

영문

Ancient Tombs in Gyo-dong and Songhyeon-dong - Gyo-dong Zone I

The ancient tomb complex in Gyo-dong and Songhyeon-dong is divided into four zones: Gyo-dong I, Gyo-dong II, Songhyeon-dong I, and Songhyeon-dong II. The Gyo-dong I zone, located WHERE WITHIN THE COMPLEX, consists of over 80 tombs, among which, 22 were discovered with burial mounds.

Tomb No. 7, located at the top of the slope near the western end of the complex, is the largest of the tombs in the entire ancient tomb complex. It is surrounded by small-medium tombs (Nos. 5-11), with other smaller tombs (Nos. 1-4 and 12-14) scattered in the vicinity. Tomb No. 12 is a Silla-style wooden chamber tomb with stone mound and is therefore of particular value in the research of cultural exchange between Bihwa Gaya and the Silla kingdom.

영문 해설 내용

교동과 송현동 고분군은 교동 I·II지구, 송현동 I·II지구 등 총 4개의 지구로 구분된다. 교동 I지구는 봉분이 남아 있는 22기의 무덤을 포함하여 약 80여 기의 무덤으로 이루어져 있다.

고분군 서쪽에 뻗어 있는 구릉 꼭대기에 위치한 7호분은 교동과 송현동 고분군 내에서 가장 큰 무덤이다. 그 주변에 중소형 무덤(5-11호분)과 소형 무덤(1-4호분, 12-14호분)이 흩어져 있다. 12호분은 신라의 전형적인 무덤 양식인 돌무지덧널무덤으로, 비화가야와 신라의 교류관계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된다.

참고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