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구들 주거지(화성)"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영문)
1번째 줄: 1번째 줄: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문화유산정보
 
|사진=
 
|사진=
 
|사진출처=
 
|사진출처=
 
|대표명칭=조선시대 구들 주거지
 
|대표명칭=조선시대 구들 주거지
|영문명칭=
+
|영문명칭=Underfloor Heating System of the Joseon Period
 
|한자=
 
|한자=
 
|주소=
 
|주소=
39번째 줄: 38번째 줄:
 
This is a reproduction of an underfloor heating system from the Joseon period (1392-1910) found during the excavation of a house in Cheonggye-ri, Hwaseong, in the 2000s.
 
This is a reproduction of an underfloor heating system from the Joseon period (1392-1910) found during the excavation of a house in Cheonggye-ri, Hwaseong, in the 2000s.
  
The traditional Korean underfloor heating system, called ''ondol'' ("warm stones"), consists of a firebox, flues, and a chimney. Fire produced in the firebox generates heat and smoke that passes through flues installed underneath a stone slab floor before exiting through the chimney. The flues heat the floor which in turn heats the room. The firebox is installed lower than the flues, and the flues are designed so that the heat and smoke entering from the firebox flows smoothly toward the chimney. The chimney allows the smoke to escape and blocks outside wind from entering.
+
The traditional Korean underfloor heating system, called ''ondol'' (“warm stones”), consists of a firebox, flues, and a chimney. Fire produced in the firebox generates heat and smoke that passes through flues installed underneath a stone slab floor before exiting through the chimney. The flues heat the floor which in turn heats the room. The firebox is installed lower than the flues, and the flues are designed so that the heat and smoke entering from the firebox flows smoothly toward the chimney. The chimney allows the smoke to escape and blocks outside wind from entering.
  
 
The reproduction consists of a firebox, flues, and a chimney, which are connected in a linear layout. This kind of heating system was commonly used in both thatch roof and tile roof houses during the Joseon period.
 
The reproduction consists of a firebox, flues, and a chimney, which are connected in a linear layout. This kind of heating system was commonly used in both thatch roof and tile roof houses during the Joseon period.
  
 
===영문 해설 내용===
 
===영문 해설 내용===
이곳은 화성 청계리에서 2000년대에 발굴된 조선시대 가옥의 온돌 시설을 본떠 재현한 것이다.  
+
이곳은 화성 청계리에서 2000년대에 발굴된 조선시대 가옥의 온돌 시설을 본떠 재현한 것이다.
  
온돌은 아궁이, 고래, 굴뚝으로 이루어진 한국 고유의 난방장치이다. 아궁이에 불을 지피면 따뜻한 열기와 연기가 방바닥 아래에 설치된 고래를 통과하면서 방을 따뜻하게 해주고 연기는 굴뚝으로 배출된다. 아궁이는 고래 바닥보다 낮게 설치되며, 고래는 아궁이에서 넘어온 열기와 연기를 원활하게 굴뚝으로 흐르게 한다. 굴뚝은 연기를 배출하며, 외부에서 들어오는 바람을 막는 기능을 한다.
+
한국의 전통적인 난방시설인 온돌은 아궁이, 고래, 굴뚝으로 이루어져 있다. 아궁이에 불을 지피면 따뜻한 열기와 연기가 방바닥 아래에 설치된 고래를 통과하고 연기는 굴뚝으로 배출된다. 고래가 방바닥을 따뜻하게 하면서 방이 따뜻해진다. 아궁이는 고래보다 낮게 설치되며, 고래는 아궁이에서 넘어온 열기와 연기를 원활하게 굴뚝으로 흐르게 한다. 굴뚝은 연기를 배출하며, 외부에서 들어오는 바람을 막는 기능을 한다.
  
이곳에 재현된 조선시대 온돌은 아궁이, 고래, 굴뚝 각 부분이 ‘l’ 자형으로 연결되는 구조이다. 조선시대 초가집이나 기와집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었던 난방 시설이다.
+
이곳에 재현된 온돌은 아궁이, 고래, 굴뚝 각 부분이 ‘l’ 자형으로 연결되는 구조이다. 조선시대 초가집이나 기와집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었던 난방 시설이다.
 
 
* 아래 블로그에서 사진 확인할 수 있음.  
 
  
 
=='''참고자료'''==
 
=='''참고자료'''==

2024년 3월 20일 (수) 16:13 판

조선시대 구들 주거지
Underfloor Heating System of the Joseon Period
대표명칭 조선시대 구들 주거지
영문명칭 Underfloor Heating System of the Joseon Period



해설문

국문

온돌(구들)은 아궁이에 불을 때면 뜨거운 불기운이 방밑을 지나 방바닥 전체를 덥게 하는 우리나라 고유의 난방장치이다. 아궁이에 불을 지피면 따뜻한 열기와 연기가 고래를 통과하면서 구들장을 데워 방을 따뜻하게 해주고 연기는 굴뚝으로 배출된다.

아궁이는 고래 바닥보다 낮게 설치되며, 고래는 아궁이에서 넘어온 열기와 연기를 원활하게 굴뚝으로 흐르게 한다. 굴뚝은 연기를 배출하며, 외부에서 들어오는 바람을 막는 기능을 한다.

조선시대 정면 3칸의 가옥에 설치된 구들 시설은 바닥 전면에 조성되었다. 구들 시설의 형태는 아궁이・고래・굴뚝 각 부가 ‘l’ 자형으로 연결되는 구조이다. 조선시대 초가집이나 기와집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었던 난방 시설이다.

본 시설물은 화성 청계리에서 발굴된 조선시대 구들 주거지를 본떠 재현한 휴게 시설물이다.


  • 고래: 방의 구들장 밑으로 나 있는, 불길과 연기가 통하여 나가는 길.

영문

Underfloor Heating System of the Joseon Period

This is a reproduction of an underfloor heating system from the Joseon period (1392-1910) found during the excavation of a house in Cheonggye-ri, Hwaseong, in the 2000s.

The traditional Korean underfloor heating system, called ondol (“warm stones”), consists of a firebox, flues, and a chimney. Fire produced in the firebox generates heat and smoke that passes through flues installed underneath a stone slab floor before exiting through the chimney. The flues heat the floor which in turn heats the room. The firebox is installed lower than the flues, and the flues are designed so that the heat and smoke entering from the firebox flows smoothly toward the chimney. The chimney allows the smoke to escape and blocks outside wind from entering.

The reproduction consists of a firebox, flues, and a chimney, which are connected in a linear layout. This kind of heating system was commonly used in both thatch roof and tile roof houses during the Joseon period.

영문 해설 내용

이곳은 화성 청계리에서 2000년대에 발굴된 조선시대 가옥의 온돌 시설을 본떠 재현한 것이다.

한국의 전통적인 난방시설인 온돌은 아궁이, 고래, 굴뚝으로 이루어져 있다. 아궁이에 불을 지피면 따뜻한 열기와 연기가 방바닥 아래에 설치된 고래를 통과하고 연기는 굴뚝으로 배출된다. 고래가 방바닥을 따뜻하게 하면서 방이 따뜻해진다. 아궁이는 고래보다 낮게 설치되며, 고래는 아궁이에서 넘어온 열기와 연기를 원활하게 굴뚝으로 흐르게 한다. 굴뚝은 연기를 배출하며, 외부에서 들어오는 바람을 막는 기능을 한다.

이곳에 재현된 온돌은 아궁이, 고래, 굴뚝 각 부분이 ‘l’ 자형으로 연결되는 구조이다. 조선시대 초가집이나 기와집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었던 난방 시설이다.

참고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