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조공근 선생 묘 및 신도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사진= |사진출처= |대표명칭=조공근 선생 묘 및 신도비 |영문명칭= |한자=趙公瑾 先生 墓 ― 神道碑 |주소= |소장...)
 
6번째 줄: 6번째 줄:
 
|영문명칭=
 
|영문명칭=
 
|한자=趙公瑾 先生 墓 ― 神道碑
 
|한자=趙公瑾 先生 墓 ― 神道碑
|주소=
+
|주소=경기도 양평군 양평읍 도곡리 산30-8
 
|소장처=
 
|소장처=
 
|지정번호=양평군 향토유적 제2호
 
|지정번호=양평군 향토유적 제2호
17번째 줄: 17번째 줄:
 
|수량/면적=
 
|수량/면적=
 
|웹사이트=
 
|웹사이트=
|위도=
+
|위도=37.477274
|경도=
+
|경도=127.528672
 
}}
 
}}
  

2019년 9월 1일 (일) 00:45 판


조공근 선생 묘 및 신도비
대표명칭 조공근 선생 묘 및 신도비
한자 趙公瑾 先生 墓 ― 神道碑
주소 경기도 양평군 양평읍 도곡리 산30-8
지정번호 양평군 향토유적 제2호



해설문

국문

소옹(梳翁) 조공근(1547~1629)은 선조 25년(1592) 임진왜란 때 왕실과 나라의 신주(神主, 죽은 사람의 위패)를 모시고 피난하였고, 이후 광해군을 모신 공로로 공신이 되었다. 광해군 때 인목대비를 자리에서 몰아내려는 논의가 있자 병을 이유로 관직에서 물러나 양근(현재 양평읍 도곡리)에 머물렀다. 묘에는 부인 풍천 임씨가 함께 묻혀 있다.

신도비는 인물의 생애와 업적을 기록한 비석이다. 조공근 신도비는 숙종 16년(1690)에 건립되었다. 비석의 글은 조경(趙絅)이 짓고 이삼달(李三達)이 글자를 썼다. 신도비는 대리석으로 만들어졌고, 비석의 머리 부분인 용머리(螭首)의 조각이 정교하다.

영문

영문 해설 내용

조선 중기의 문신 조공근(1547-1629)의 묘와 그의 생애와 업적을 기리는 비이다.

조공근은 1592년 임진왜란 때 종묘에 모셔져 있던 조선시대 선대왕들의 신주를 모시고 피난하였다. 또한 당시 세자였던 광해군(재위 1608-1623)을 호종한 공로로, 광해군이 즉위한 후 공신이 되었다. 관직에서 물러난 뒤에는 양근(현재 양평읍 도곡리)에 머물렀다.

묘에는 부인 풍천임씨가 함께 묻혀 있다. 신도비는 1690년에 세워졌으며, 비문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며 조공근과 같은 한양조씨 가문의 조경(1586-1669)이 지었고 글씨는 이삼달이 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