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기안 선생 묘"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사진=정기안선생묘.jpg |사진출처=디지털포천문화대전 |대표명칭=정기안 선생 묘 |영문명칭= |한자=鄭基安 先生...)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6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문화유산정보
 
|사진=정기안선생묘.jpg
 
|사진=정기안선생묘.jpg
 
|사진출처=디지털포천문화대전  
 
|사진출처=디지털포천문화대전  
 
|대표명칭=정기안 선생 묘
 
|대표명칭=정기안 선생 묘
|영문명칭=
+
|영문명칭=Tomb of Jeong Gi-an
 
|한자=鄭基安 先生 墓
 
|한자=鄭基安 先生 墓
 
|주소=경기도 포천시 가산면 가산리 산42-1
 
|주소=경기도 포천시 가산면 가산리 산42-1
 
|소장처=
 
|소장처=
|지정번호=포천시 향토유적 제9호
+
|지정번호=포천시 향토유적 제11호
 
|지정일=1986년 4월 9일
 
|지정일=1986년 4월 9일
 
|분류=
 
|분류=
22번째 줄: 21번째 줄:
  
 
=='''해설문'''==
 
=='''해설문'''==
===기존 국문===
+
===국문===
 +
조선 영조 때의 문신 정기안(鄭基安, 1695~1767)과 부인 진주유씨·안산김씨의 합장묘이다. 정기안은 영조 4년(1728) 별시문과에 급제한 뒤 여러 관직을 역임하였으며, 1752년(영조 28) 사은사로 청나라에 다녀오기도 하였다. 노년에는 연로한 고위 문신들의 친목 및 예우를 위해 설치한 관서인 기로소에 들어갔다. 저서로는 『만모유고』가 있다. 유교·불교·선교는 물론 의술·음률·산수에도 정통했다.
  
===수정 국문===
+
봉분은 낮은 호석을 둘렀으며, 앞에는 묘비 2기와 상석·향로석·망주석 등이 배치되어 있다. 묘비는 순조 31년(1831) 아들 정만석(鄭晩錫, 1758~1834)이 세운 것이다. 이보다 규모가 큰 묘비가 묘소 우측에도 있는데 순조 20년(1820) 건립한 것이다. 문신 김재찬(金載瓚, 1746~1827)이 짓고 이익회(李翊會, 1767~1843)가 글씨를 썼으며 유한지(兪漢芝, 1760~1834)가 전서체로 제액(題額)*을 썼다.
====초고====
+
----
 +
*제액(題額): 비석의 상단부에 새긴 비의 명칭.
  
====1차 수정====
+
===영문===
 +
'''Tomb of Jeong Gi-an'''
  
===영문===
+
This is the tomb of Jeong Gi-an (1695-1767), a civil official of the Joseon period (1392-1910), and his first and second wives, Lady Yu and Lady Kim.
 +
 
 +
Jeong was an erudite scholar well-read in religious studies including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as well as practical studies like medicine, music, and mathematics. He passed the state examination in 1728 and served various official posts. In 1752, he went to Qing China as an emissary. In his later years, he served at an office organizing social gatherings and taking care of elderly civil officials.
  
===영문 해설 내용===
+
The tomb mound is surrounded at the base by stones. There are two tombstones, a stone table, a stone incense table, and two stone pillars. The tombstone at the center was erected in 1831 by his son Jeong Man-seok (1758-1834). The tombstone to the right was erected earlier in 1820. The epitaph was composed and calligraphed by the civil officials Kim Jae-chan (1746-1827) and Yi Ik-hoe (1767-1843), respectively, while the title was calligraphed by the civil official Yu Han-ji (1760-1834).
  
==참고 자료==
 
  
 
[[분류:문화유산해설문]]
 
[[분류:문화유산해설문]]
39번째 줄: 42번째 줄:
 
[[분류:향토유적]]
 
[[분류:향토유적]]
 
[[분류:묘]]
 
[[분류:묘]]
 +
[[분류:2020 국문집필]]
 +
[[분류:2020 영문집필]]

2020년 7월 14일 (화) 01:35 기준 최신판

정기안 선생 묘
Tomb of Jeong Gi-an
디지털포천문화대전
대표명칭 정기안 선생 묘
영문명칭 Tomb of Jeong Gi-an
한자 鄭基安 先生 墓
주소 경기도 포천시 가산면 가산리 산42-1
지정번호 포천시 향토유적 제11호
지정일 1986년 4월 9일
소유자 사유



해설문

국문

조선 영조 때의 문신 정기안(鄭基安, 1695~1767)과 부인 진주유씨·안산김씨의 합장묘이다. 정기안은 영조 4년(1728) 별시문과에 급제한 뒤 여러 관직을 역임하였으며, 1752년(영조 28) 사은사로 청나라에 다녀오기도 하였다. 노년에는 연로한 고위 문신들의 친목 및 예우를 위해 설치한 관서인 기로소에 들어갔다. 저서로는 『만모유고』가 있다. 유교·불교·선교는 물론 의술·음률·산수에도 정통했다.

봉분은 낮은 호석을 둘렀으며, 앞에는 묘비 2기와 상석·향로석·망주석 등이 배치되어 있다. 묘비는 순조 31년(1831) 아들 정만석(鄭晩錫, 1758~1834)이 세운 것이다. 이보다 규모가 큰 묘비가 묘소 우측에도 있는데 순조 20년(1820) 건립한 것이다. 문신 김재찬(金載瓚, 1746~1827)이 짓고 이익회(李翊會, 1767~1843)가 글씨를 썼으며 유한지(兪漢芝, 1760~1834)가 전서체로 제액(題額)*을 썼다.


  • 제액(題額): 비석의 상단부에 새긴 비의 명칭.

영문

Tomb of Jeong Gi-an

This is the tomb of Jeong Gi-an (1695-1767), a civil official of the Joseon period (1392-1910), and his first and second wives, Lady Yu and Lady Kim.

Jeong was an erudite scholar well-read in religious studies including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as well as practical studies like medicine, music, and mathematics. He passed the state examination in 1728 and served various official posts. In 1752, he went to Qing China as an emissary. In his later years, he served at an office organizing social gatherings and taking care of elderly civil officials.

The tomb mound is surrounded at the base by stones. There are two tombstones, a stone table, a stone incense table, and two stone pillars. The tombstone at the center was erected in 1831 by his son Jeong Man-seok (1758-1834). The tombstone to the right was erected earlier in 1820. The epitaph was composed and calligraphed by the civil officials Kim Jae-chan (1746-1827) and Yi Ik-hoe (1767-1843), respectively, while the title was calligraphed by the civil official Yu Han-ji (1760-18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