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인각사 발굴조사 출토 부재

HeritageWiki
이슬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0년 8월 11일 (화) 01:19 판 (새 문서: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사진=인각사발굴조사출토부재.jpg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s_kdcd=&s_ctcd=37&ccbaKdcd=13&ccb...)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인각사 발굴조사 출토 부재
대표명칭 인각사 발굴조사 출토 부재
주소 경상북도 군위군 고로면 삼국유사로 250



해설문

국문

이곳에 전시된 석재는 인각사지(사적 제374호)를 정비하려고 발굴하는 과정에서 수습된 것으로 인각사 창건(642년)부터 고려시대까지 인각사에 사용된 것으로 보이는 석재 중 중요 부재를 모아놓은 것이다.

인각사는 보각국사 일연 대선사의 하안소(下安所)*로 지정(1284년) 되었던 곳으로, 여기서 민족의 고전 『삼국유사』가 집필되었다. 1992년부터 2009년까지 실시한 발굴조사 결과 건물터, 탑, 회랑(回廊)*시설 등이 발견되어 옛 부터 큰 사찰이었음을 알 수 있다. 정교하게 다듬어진 석재를 활용하여 건물을 증축*하거나 개축*한 것으로 보이며, 대부분이 통일신라~고려시대에 제작된 석재로 확인된다.

전시된 부재는 연화문 석등(石燈)*, 각종 대석(臺席)*, 지붕모양 옥개석(屋蓋石)*, 심초석(心礎石)*, 방형초석(方形礎石)*, 원형초석(圓形礎石)*, 기단석(基壇石)* 등이 있다.

이 중 2005년 극락전 해체과정에서 확인된 심초석은 인각사에 목탑이 있었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이다. 특히 현재까지도 보각국사비의 귀부(龜趺)* 이수(螭首)*의 일부분조차 발견되지 않고 있는데, 그 비석에 사용했을법한 지붕모양 옥개석(屋蓋石) 좌우측 돌과 비석의 받침돌로 추정되는 석재들은, ‘특이한 형태의 보각국사비 옥개석’ 용도일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어, 원형을 복원하는데 중요한 단서가 될 자료이다.

또한, 발굴조사를 통해 출토된 대표적 유물인 ‘군위 인각사 출토 공양구 일괄’(보물 제2022호)은 금속공예품과 도자류 등 총18점으로 구성되어 있고, 제작 시기는 통일신라~고려 초기로 추정된다.


  • 하안소 : (불교) 하산소라고도 하며, 국사國師나 왕사王師로 책봉된 뒤 활동하다가 은퇴한 뒤 머무는 사원
  • 국사 : (불교) 통일신라‧고려 시대의 지덕智德이 높아 온 국민의 스승이 될 만한 승려 오직 한분에게만 국가에서 ‘국가의 스승’이라 호칭하는 최고 승계僧階
  • 왕사 : (불교) 통일신라‧고려 시대의 특별 법계 가운데 하나. 교종과 선종의 구별 없이 교종에서는 승통 중에서, 선종에서는 대선사 중에서 ‘왕의 스승’으로 모신다.
  • 회랑回廊 : 사원寺院이나 궁전건축에서 주요부분을 둘러싼 지붕이 있는 긴 복도
  • 증축 : 원래 있던 건물을 늘려 짓는 것과 같은 대지 내에서 추가로 건물을 짓는 것
  • 개축 : 건물 전부 또는 일부를 허물고 다시 짓는 것
  • 석등 : (불교) 경내에 불을 밝히기 위해 돌로 만든 것
  • 대석 : 바닥을 받치고 있는 돌
  • 옥개석 : (불교) 석탑과 부도 및 석등에서 공통으로 사용하는 용어로, 지붕 형상을 하고 있는 돌
  • 심초석 : 가장 중앙에 있는 초석. 목탑지에서 주로 나타나며 중앙 심주를 받치는 돌
  • 방형초석 : 네모난 모양으로 건물의 기둥을 세우기 위해 받쳐 놓은 돌
  • 원형초석 : 동그란 모양으로 건물의 기둥을 세우기 위해 받쳐 놓은 돌
  • 기단석 : 건축물의 터를 반듯하게 다듬은 다음에 터보다 한 층 높게 쌓은 단을 두르는 돌
  • 귀부 : 거북 모양으로 만든 비석의 받침돌
  • 이수 : 건축물이나 비석 위에 뿔이 없는 용의 모양을 새긴 돌

영문

영문 해설 내용

이곳에 있는 석재들은 인각사지(사적 제374호)의 발굴 과정에서 수습된 여러 부재들을 모아둔 것이다.

1992년부터 2009년까지 실시한 발굴조사 결과 사찰 동쪽에서는 통일신라시대의 사찰 영역이, 지금의 사역을 중심으로는 고려시대의 사찰 영역이 확인되었으며, 해당 구역이 사찰 영역에 포함되는 곳임을 알려주는 석재 및 유물들이 함께 출토되었다.

전시된 부재는 연꽃이 장식된 석등 부재, 다양한 모양의 받침돌, 지붕돌, 사각형 및 원형 초석, 석탑재, 난간석, 기단석 추정 부재, 심초석 등이다.

이 중 2005년 극락전 해체 과정에서 확인된 심초석은 인각사에 목탑이 있었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이며, 지붕돌이나 받침돌 일부는 보각국사비의 부재였을 가능성이 있어 탑비의 원형을 복원하는데 중요한 단서가 된다.

한편 발굴조사를 통해 출토된 대표적 유물 중 금속공예품과 도자류 등 총18점으로 구성되어 있는 ‘군위 인각사 출토 공양구 일괄’(보물 제2022호)은 서울 종로구에 있는 불교중앙박물관으로 옮겨져 전시되었다.

참고 자료

  • Culture & History Traveling, 개인 블로그 http://www.dapsa.kr/blog/?p=51552 -> 안내문 제시
  • 기리여원, 다음 블로그 http://blog.daum.net/99sangk/3475 -> 보물 2022호 현황
  • 한국의 사지현황 조사보고서 上, 문화재청, 2015 -> (2015년 기준) 유물 대략적 수량 제시 및 청동유물 관련 언급 (현재 경내에 있는 석조유물의 대략적인 수량은 초석 69매, 고맥이초석 10매, 석탑재 2매, 승탑보주 추정 석재, 석등재 5매, 심초석 1매, 소맷돌 4매, 난간석 3매, 팔각석 주 1매, 돌확 5매, 대좌편 2매, 기단면석 추정 석재, 판석, 기단석 추정 석재 등을 포함한 치석재 80여매 등이다. / 인각사 5차 발굴조사시 출토된 청동유물 일괄은 현재 불교중앙박물관에 위탁보관되어 있다. 이 유물들은 …… 승려와 관련된 종교의례용 유물임은 분명하며, 제작시기는 통일신라후기로 편년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