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익종 태봉 석조물"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영문)
47번째 줄: 47번째 줄:
 
[[분류:향토유적]]
 
[[분류:향토유적]]
 
[[분류:석물]]
 
[[분류:석물]]
[[분류:태봉]]
+
[[분류:태실]]
 
[[분류:2020 국문집필]]
 
[[분류:2020 국문집필]]
 
[[분류:2020 영문집필]]
 
[[분류:2020 영문집필]]

2020년 7월 5일 (일) 00:53 판


익종 태봉 석조물
대표명칭 익종 태봉 석조물
한자 翼宗 胎封 石造物
주소 경기도 포천시 영중면 성동리 640-1
지정번호 포천시 향토유적 제30호
지정일 1986년 4월 9일
소유자 포천시



해설문

국문

익종(효명세자, 1809~1830)의 태(胎)를 묻은 곳이다.

익종은 조선 순조(1800~1834 재위)의 아들이며 헌종(1834∼1849 재위)의 아버지이다. 순조 12년(1812) 왕세자로 책봉되었으며, 순조 27년(1827)부터 왕을 대신하여 정사를 돌보았지만 4년 후에 향년 22세로 죽었다. 헌종이 즉위한 후 익종으로 추존하였다.

태실은 왕자·왕녀의 태를 묻은 무덤이다. 옛사람들은 태를 소중하게 여겨 좋은 땅에 묻으면 태의 주인이 지혜롭게 될 뿐만 아니라 병 없이 오래 살 수 있다고 믿었다. 특히 왕실에서는 높고 정결한 곳을 태를 묻기에 좋은 땅으로 여겨, 산봉우리 정상을 선택하였다.

이 태실은 일제강점기 전국의 태실이 훼손되는 과정에서 해체되었다. 남아 있던 연엽주석과 옹석 등 석조물은 한국전쟁 이후 당시 육군 제5군단에서 인수하여 보관하였다고 전해지며, 1977년 소공원이 조성될 때 이전하였다. 익종의 태실 조성 의식절차를 기록한 의궤 2건이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에 소장되어 있다.

영문

Placenta Chamber of King Ikjong

This is the place where the placenta chamber of King Ikjong (also known as Crown Prince Hymyeong, 1809-1830) was buried.

A placenta chamber is a stone chamber enshrining a placenta of a prince or princess placed in a jar. When a royal baby was born, an auspicious site for the placenta chamber was chosen with a wish for the baby’s happiness and a long, healthy life. Because such a place was usually located at the top of a mountain, it was called taebong, meaning “a placenta mountaintop.”

King Ikjong was the son of King Sunjo (r.1800-1834) and the father of King Heonjong (r.1834-1849). He became the crown prince in 1812 and governed instead of his father from 1827. After four years, however, he died early at the age of 22. Although King Ikjong did not ascended the throne, technically, his son bestowed the title as he became the king in 1834.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1910-1945), the Japanese authorities relocated most of the Joseon royal family's placenta jars and destroyed the chambers. This chamber was also destroyed at that time and the placenta jar was relocated. The remaining stone monuments were taken and preserved by the Korean Army after the Korea War (1950-1953), and relocated in 1977 to the park (?). The two records of procedures establishing this placenta chamber is currently stored at Kyujanggak Institute for Korean Studies at Seoul National University.